Ⅰ. 비만의 병태생리 및 원인과 문제점
1. 서 론
현대 문명의 발달과 고도의 경제성장은 우리에게 생활수준의 향상은 물론 여가시간의 증대를 가져다 준 반면, 운동부족으로 인한 체력감소와 비만인구의 증가를 초래하여 인간의 제 생리적 기능이 저하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비만은 더 이상 선진국에서 만의 문제가 아니며 개발도상국에서도 비만과 관련된 만성병으로 사망률이 증가하고 있다(고려의학, 1995).
최근 경제성장과 더불어 생활환경이 변하고, 식생활이 서구식으로 변화되어 곡류, 채소 등과 같은 식물성 섭취는 감소하고, 동물성 단백질이나 지방의 섭취가 증가함에 따라 체중과다와 비만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위경애, 1994)
특히 소아비만은 발달성 비만으로 세포의 크기와 수의 증가로 성인 비만으로 이행될 확률이 높으며, 연령의 증가와 더불어 지방이 혈관 벽에 침착하여 혈관을 경화시키고 폐쇄하여 성인병을 유발시킨다.(경상북도교육청, 1995)
비만의 발생시기를 살펴보면 어느 시기에서나 발생할 수 있지만 특히 학령기 아동과 사춘기에 그 발생률이 높다고 한다. 또한 최근 청소년 비만이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신체적으로 성장이 왕성하여 체지방 세포수가 급격하게 증가하고(조규범, 1989 & Knittle,J.L, 1972), 이때 성장호르몬의 작용으로 체형의 변화가 일어난다. 특히 정신적으로 과다한 스트레스와 운동부족 등이 청소년 비만의 원인이 되고 있다(모수미, 1991).
비만아는 성인이 되어 비만이 될 확률이 높고 많은 비만아들이 성인에서 보이는 임상적 증상들을 이미 가지고 있으며, 지방 세포수가 증가된 이후에는 치료를 해도 반응이 좋지 않기 때문에, 비만은 소아시기부터 보다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조계성 외 4명, 1995)
Dietz(1984)에 의하면 비만의 위험인자를 크게 3가지로 나누어 첫째, 물리적인 환경인 계절, 지역적 특성, 인구밀도, 둘째, 사회적인 환경인 사회경제적 수준, 사회의 문명도, 셋째, 가족 환경인 부모의 비만정도, 경제수준, 부모의 교육수준, 부모의 나이, 출생순서, 가족의 크기라고 보았다.
서울시내 초, 중, 고교 학생들의 비만 빈도를 보면 남아는 1984년에 9%에서 1992년에 17.2%로, 여아는 7%에서 14.3%로 8년만에 2배나 증가되었다.(정승교, 1995)
경북도내 신체충실지수에 의한 연도별 비만 발생률을 보면 초등학생의 경우 91년도
에 남자아동 14.6%, 여자아동 11.2%에서 95년도에는 남자아동 16.5%, 여자아동 16.0%로 계속 비만아동이 증가 추세임을 알 수 있다. 1996년도 경북도내 소아 발육 표준치에 의거 비만으로 나타난 아동현황을 보면 초등학생의 경우 남자는 14.3%, 여자는 9%의 아동이 비만아동으로 나타나고 있다(경상북도교육청, 1995).
· 1. 홍창의편, 소아내분비학, 대한교과서, 1999년.
· 2. 이동환외 12명, 소아비만의 진단과 치료지침, 대한비만학회지별책, 1999.
· 3. 대한비만학회편, 임상비만학, 고려의학, 1995.
· 4. 대한가정의학회, 한국인의 평생건강증진, 고려의학, 1996.
· 5. 학생비만관리요령, 경상북도교육청, 1996.
· 6. 허갑범, 비만증, 웅진건강무크5, 1999
· 7. 김태운외 2명, 운동과 건강, 소문출판사, 1998.
· 8. 위경애, 월간국민영양, 대한영양사회지, 3월호, 1994.
· 9. 조계성외 4명, 가정의학회지, 16(6), 1995.
· 10. 정승교, 행동수정 프로그램에 의한 과체중 여자 중학생의 비만관리효과, 대한간호, 34(5), 1995.
· 11. 위경애, 어린이 성인병과 영양관리, 월간국민영양 3월호, 1994.
· 12. 조규범, 서성제, 학동기 및 청소년기 소아의 비만도 조사, 소아과학, 32(5), 1989.
· 13. 이동환외, 고도비만아의 합병증에 관한 연구, 소아과, 34(4) 445-453, 1991.
· 14. 이지훈, 아동의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6.
· 15. 김은미, 최근유행하는 비만식이, 대한비만학회지, 7(3), pp.254-261, 1998.
· 16. 대한비만학회 행동요법 위원회, 비만치료, 행동요법 지침, 대한비만학회지,7(2), pp.103-115, 1998.
· 17. 강재헌, 일차의료에서 비만의 진단과 관리, 가정의학회지, 18(9),1997.
· 18. 양윤준, 어린이의 운동, 가정의학회지, 18(6), 1997.
· 19. 서울대학교 운동생리학 실험실, 운동검사 및 처방, 보경문화사, 1989.
· 20. 의료보험관리공단, 비만예방과 치료, 1994.
· 21. 소아내분비학회, 비만증, 대한교과서, 1996.
· 22. 이수천, 운동영양?생화학, 경북대학교 출판부, 대구, 1994.
· 23. 백영호, 비만의 예방과 해소를 위한 식이와 운동처방, 부산대학교체육과학연구소 논문집 제5호, pp.65-100, 1989.
· 24. 허갑범 감수, 비만증, 웅진출판주식회사, 서울, pp.14-18, 1996.
· 25. 안부호, 비만증, 인간과학, 2(11), 1978.
· 26. 오연상, 비만과 운동요법과 효과, 의료정보, 160, 1988.
· 27. 강희성 역,
· ����저, 운동처방, 보경문화사, 1994.
· 28. 김영호 편저, 과학적 운동요법, 서림문화사, 서울, 1996.
· 29. 주현옥, 아동의 비만관리를 위한 체중조절 프로그램 개발, 부산대학교 대학원 간호학 박사 학위논문, 1998.
· 30. 한국스포츠과학원 역, 운동처방지침, 미국스포츠의학회, 보경문화사, 1988.
· 31. W.H:Childhood obesity, Susceptability, cause and management. J.P ed., 103, pp.676-686, 1983.
· 32. Ebstein, L.H.:Wing, R.R. and Valoski, A. :Chilhood obesity. Pediatr. Clin .North. Am., 32, pp.363-379, 1985.
· 33. Dublin, L.I. "Overweight", Today`s Health, 30(18):1952,pp.115-118 Frank 1988, Dietz 1983, Ebstein, 1985.
· 34. Williams, C.L., Bollella M. & Carter, B.J., Treatment of childhool obesity in pediatric practice, Williams, C.L. & Kimm, S.Y.S.(Ed),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hildhood Obesity. New York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pp.207-219, 1993.
· 35. Borg, G.V. , Psychophysical basis of perceived exertion, Medicine and Science in Spors Medicine, New York, Academic Press, pp230-253, 1982.
· 36. Wood. P.D, Haskell, W.L, The effects of exercise on plasma high density lipoprotein, Lipids 14, pp417-427, 1979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