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LVER
SILVER 등급의 판매자 자료

[한의학 원전 외과정의 제덕지]論營衛色脈參應之法 영위와 색맥으로 참고하는 방법

외과정의(外科精義) 書名. 2卷. 元代 齊德之가 撰함. 撰年未詳. 卷上은 外科理論으로 瘡腫珍候八室法 等 35篇이 論述됨. 그 中 瘡腫의 辨識, 脈法, 內服 및 外治諸法, 五發疽, 附骨疽, 陰瘡, 時毒, 疔瘡, 瘰癧, 痔瘡, 等 病의 證治가 포괄됨. 諸夏는 湯丸膏丹 모두 145方이 收錄되고, 諸藥의 炮制, 單方으로 瘡腫을 主療하는 法이 附論됨. 內容이 簡要하고, 選方도 實用에 適合함. 현재 印刷본이 나와 있음. - 漢醫學大辭典 醫史文獻編 (漢醫學大辭典編纂委員會) -
10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5.11.29 최종저작일 1997.01
10P 미리보기
[한의학 원전 외과정의 제덕지]論營衛色脈參應之法 영위와 색맥으로 참고하는 방법
  • 미리보기

    소개

    외과정의(外科精義)
    書名. 2卷. 元代 齊德之가 撰함. 撰年未詳. 卷上은 外科理論으로 瘡腫珍候八室法 等 35篇이 論述됨. 그 中 瘡腫의 辨識, 脈法, 內服 및 外治諸法, 五發疽, 附骨疽, 陰瘡, 時毒, 疔瘡, 瘰癧, 痔瘡, 等 病의 證治가 포괄됨. 諸夏는 湯丸膏丹 모두 145方이 收錄되고, 諸藥의 炮制, 單方으로 瘡腫을 主療하는 法이 附論됨. 內容이 簡要하고, 選方도 實用에 適合함. 현재 印刷본이 나와 있음.
    - 漢醫學大辭典 醫史文獻編 (漢醫學大辭典編纂委員會) -

    목차

    2논영위색맥참응지법
    3논지수결소식법

    본문내용

    *활맥(滑脈)
    맥상(脈象)의 하나. 맥의 왕래(往來)가 막힘이 없어 마치 쟁반 위에 구슬이 구르는 것처럼 매끄럽게 손에 와닿는 맥상을 말한다. 『맥경(脈經)』에서 “활맥(滑脈)은 가고 오며 나아가고 물러남이 매끄럽고 굴러오는 것처럼 계속 번갈아 가며 들어와 삭맥(數脈)과 비슷하다..”라고 하였다. 이는 담음(痰飮), 식적(食積), 실열(實熱) 등의 증상과 관련이 있으며, 또한 임신(姙娠)과도 관련이 있고 건강한 사람에게도 나타난다.
    *삽맥(澁脈)
    맥상(脈象)의 하나. 칼로 대나무를 긁듯이 맥의 흐름이 매끄럽지 못한 것. 『맥경(脈經)』에서 “삽맥(澁脈)은 세(細)하면서 지(遲)하니, 왕래(往來)가 어렵고 또한 흩어지며, 혹 1번 그쳤다가 다시 뛰기도 한다.(澀脈細而遲, 往來難, 且散, 或一止復來)”라고 하였다. 혈소상정(血少傷精), 진액휴손(津液虧損) 또는 기체혈어(氣滯血瘀)에 주로 생기는 맥상으로 빈혈, 심기능부전 등에서 나타난다.
    *지맥(遲脈)
    맥상의 하나로 맥박이 느리게 뛰는 것. 즉 1번 호흡하는 동안에 맥박수가 4차례를 넘지 않는 것을 말한다. 『맥경(脈經)』에서 “1번 호흡하는 사이에 3번 이르니, 맥(脈)의 왕래(往來)가 극히 늦다.”라고 하였다. 이는 대개 한증(寒證)에 속한다. 『맥결회변(脈訣滙辨)』에서 “그 것이 주(主)하는 병(病)은 침맥(沈脈)과 대략 서로 같은데, 다만 침맥(沈脈)의 병(病)은 음역양울(陰逆陽鬱)이며, 지맥(遲脈)의 병(病)은 음성양휴(陰盛陽虧)이다.”라고 하였다.
    *질맥(疾脈)
    맥상의 하나. 극맥(極脈)이라고도 함. 맥이 몹시 빠르게 뛰는데 삭맥(數脈)에 비해서 더욱 빠르며, 성인은 한 호흡에 7∼8번 뛴다. 『맥결회변(脈訣滙辨)』에 “6번 이상 이르는 맥(脈)은 2가지 명칭이 있으니, 혹 질(疾)이라고 하고 혹 극(極)이라고 하는데, 모두 급속(急速)한 맥(脈)으로서 삭(數)한 맥상(脈象)이 심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이는 양극음갈(陽極陰竭)이 원기의 탈진을 주도하는 것으로, 급성 열병이나 허손노상자(虛損勞傷者)에게 나타나는데, 대체로 위중한 증후이다. 임산부가 아무런 병이 없이 이 맥이 나타나면 임산(臨産) 맥상으로 이경맥(離經脈)이라 한다.

    何病所主 外觀形色 內察脈候.
    하병소주 외관형색 내찰맥후.
    진맥으로 어떤 병을 주관하는지를 살핀다. 밖으로는 형색을 보고 안으로는 맥의 증후를 살핀다.
    參詳處治以忠告之 不可輕言談笑.
    참상처치이충고지 불가경언담소.
    상세한 처지를 참고하여 충고하고, 가볍게 말하거나 농담을 해서는 안된다.
    亂說是非 左右瞻望 擧止忽畧 此庸醫也.
    난설시비 좌우섬망 거지홀략 차용의야.
    시비가 되는 말을 어지럽게 말하거나, 좌우에서 보고, 행동거지를 소홀하게 하면 이는 용렬한 의사이다.

    참고자료

    · http://cafe.daum.net/homeosta
    · 외과정의
  • 자료후기

      Ai 리뷰
      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체계적인 구성으로 되어 있어 복잡한 내용을 과제에 쉽게 활용 할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좋은 자료들이 많이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