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장애인교육]장애인 교육을 위한 특수아 가족참여를 위한 지원 및 중재

장애인 교육을 위한 특수아 가족참여를 위한 지원 및 중재
15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5.11.28 최종저작일 2005.12
15P 미리보기
[장애인교육]장애인 교육을 위한 특수아 가족참여를 위한 지원 및 중재
  • 미리보기

    소개

    장애인 교육을 위한 특수아 가족참여를 위한 지원 및 중재

    목차

    Ⅰ. 머리말

    Ⅱ. 장애아동이 가족에게 미치는 영향
    1. 부모에게 미치는 영향
    2. 형제자매에게 미치는 영향

    Ⅲ. 가족 참여의 이론적 배경
    1. 가족참여의 정의
    2. 가족 참여의 중요성

    Ⅳ. 가족 참여를 위한 지원 및 중재
    1. 가족의 필요 인식
    2. 가족이 참여해야 하는 프로그램의 특성 인식
    3. 가족 - 교사간의 효율적인 협력 관계 형성
    4. 가족 강화

    V. 맺는말

    본문내용

    아동의 교육에 있어서 부모를 포함한 가족의 참여와 역할은 그 교육의 성패를 좌우하는 결정적인 요인의 하나로 여겨진다. 특히 하루의 많은 시간을 집에서 부모와 함께 보내는 어린 나이의 아동이나 장애로 인하여 부모 참여의 필요성이 더욱 가중되고 있는 장애아를 교육하기 위해서는 부모 참여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으며, 이미 오래 전부터 많은 문헌들을 통해서 그 증거 자료가 제시되고 있다. Bronfenbrenner(1975)는 가정은 아동의 성장발달을 촉진시키기 위한 가장 효과적이고도 경제적인 `구조(system)`이며, 가족 구성원의 적극적인 참여는 교육 프로그램의 성공을 위한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결론을 제시하였다.
    특히 부모-자녀 관계에 있어서 부모가 자녀에게 일방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과거의 이론적 믿음이 사라지고 부모와 자녀가 양방향으로 서로에게 영향을 미친다는 현재의 이론적 논리가 보편화되면서 아동 교육에 있어서의 가족 참여는 더욱 중요하게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아동을 바라보는 견해에 있어서도 부모와 자녀를 넘어서는 더 넓은 구조의 이웃과 지역사회 안에서의 영향력을 강조하는 생태학적 모델(ecological model)(Bronfenbrenner, 1977)과 가족은 하나의 조직적인 단위로 존재하며 서로 균형을 이루기 위해서 갈등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더 복잡해지고 구성원들은 지속적으로 상호 영향을 미친다는 구조이론(system theory)(Steinglass, 1984)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러한 새로운 견해들을 근거로 특수교육에 있어서의 가족 참여에 대한 몇 가지 중요한 사실들이 재인식되기 시작하였다(Bailey & Simeonsson, 1988). 먼저 장애아동은 가족에게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재인식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특수교육은 가족들도 지원해야 한다는 당위성이 형성되었다. 또한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모든 중재가 가족에게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가족 구성원 중의 한 사람에게 제공되는 중재나 지원은 장애아동을 포함하는 기타 가족 구성원들에게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재인식되면서 장애아 교육에 있어서의 가족 참여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기 시작하였다.

    참고자료

    · Bailey, D. B., & Simeonsson, R. J. (1988). Family assessment in early intervention. Enlewood Cliffs, NJ: Merrill/Prentice Hall.
    · Bailey, D. B., Winton, P. J., Rouse, L., & Turnbull, A. P. (1990). Family goals in infants intervention: Analysis and issues. Journal of Early Intervention, 14, 15-26.
    · Beckman, P. J. (1991). Comparion of mothers` and fathers` perceptions of the effect of young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American Journal of Mental Retardation, 95, 585-595.
    · Bloom, B. (1964). Stability and change in human characteristics.
    · New York: John Wiley & Sons.
    · Bronfenbrenner, U. (1975). Is early intervention effective? In J.
    · Hellnuth(Ed.), Exceptional infants, Vol. 3. New York: Brunner/Mazel.
    · Bronfenbrenner, U. (1977). Toward an experimental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American Psychologist, 32, 513-531.
    · D`Asaro, A. (1998). Caring for yourself is caring for your family: Mehtods of coping with the everyday stresses of care giving. Exceptional Parent, 28(6), 38-40.
    · Duis, S. S., Summers, M., & Summers, C. R. (1997). Parent versus child stress in diverse family types: An ecological approach. Topics in Early Childhood and Special Education, 17, 53-73.
    · Dumas, J. E., Wolf, L. C., Fisman, S. N., & Culligan, A. (1991). Parenting stress, child behavior problems, and dysphoria in parents of children with autism, Down syndrome, behavior disorders, and normal develpment. Exceptionality, 2, 97-110.
    · Dunst, C., Cooper, C. Weeldreyer, J. Snyder, K. D., & Cahse, J. H. (1988). Family needs scale. In Cl Dunst, C. Trivette, & A. Deal (Eds.), Enabling and empowring families: Principles and guidelines for practice. Cambridge, MA: Brookline Books.
    · Dunst, C., Trivette, C., & Deal, A. (1988). Enabling and empowering
    · familes. Cambridge, MA: Brookline Books.
    · Dyson, L. L. (1997). Fathers and mothers of school-ag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arental stress, family functioning, and social support. American Journal on Mental Retardation, 102, 267-279.
    · Linder, Tl W. (1983).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Program
    · development and administration. Baltimore: Paul H. Brookes Publishing Co.
    · Hunt, J. McV. (1961). Intelligence and experience. New York: The Ronald Press Co.
    · Morrison, G. S. (1978). Parent involvment in the home, school and community. Colobus, OH: Charles E. Merrill Publishing Co.
    · Roos, P. (1978). Parents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misunderstood and mistreated. In A. P. Turnbull & H. R. Turnbull(Eds.), Parent speack out: Views form the other side of the two-way mirror. Colombus, OH: Merrill Publishing Co.
    · Peterson, N. L. (1987). Early Intervention for handicapped and at-risk children: An introduction to early childhood-special education. Denver, Colorado: Love
    · Publishing Co.
    · Powell, T. H., & Gallagher, P. A. (1993). Brothers and sisters: A special part of exceptional familes(2nd ed.). Baltimore, MD: Paul H. Brookes.
    · Steinglass, P. (1984). Family systems theory and therapy: A clinical application of general systems theory. Psychiatric Annals, 14(8), 582-586.
    · Turnbull, A. P., & Turnbull, H. R. (1997). Families, professionals, and exceptionality: A special partnership. Upper Saddle River, NJ: Merrill.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정보가 풍부하고, 내용이 명확하게 정리되어 있어 과제를 작성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매우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2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