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참고문헌>
· 강희갑,「환경법의 세계화와 국제환경법」, 『리서치 아카데미 논총』, 제1권, 1998, pp.71-110.
· 구본형, 『월드 클래스를 향하여』, 서울: 생각의 나무, 2000.
· 김관호, 『세계화와 글로벌 경제』, 서울: 박영사, 2003.
· 김두식,「세계화과정에서의 사회발전과 환경문제」,『사회과학연구』, 제4집 제2호, 1997, pp.289-303.
· 김병완, 「지방분권의 녹색화 구상」, 『환경과 생명』, 2003 여름.
· 대통령자문 지속가능발전위원회, 『OECD 환경전망』, 2001.
· 대통령직인수위원회 환경분야 자문위원회 내부자료, 2003. 2.
· 반다나 시바, 류지한 옮김, 『누가 세계를 약탈하는가』, 서울: 울력, 2003.
· 성경륭, 「세계화의 딜레마: 세계주의와 국지주의의 갈등」, 『한국사회학』, 제35집 제2호, 2001, pp.29-57.
· 윤영관․이근, 『세계화와 한국의 과제』, 서울: 한울, 2003.
· 윤창인, 한택환, 유상희, 『선진국 주요 환경조치가 한국의 수출경쟁력에 미치는 영 향과 대응방안』,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0.
· 이찬근, 「글로벌화로 야기되는 여러 모순들」, 『한국환경보고서 2000』, 서울: 녹 색연합 배달환경연구소, 2000.
· 이창우, 「신행정수도 건설, 원점에서 다시 시작하라」, 『환경과 생명』, 2003 여름.
· 임홍빈, 『세계화의 철학적 담론』, 서울: 문예출판사, 2002.
· 전형권, 「환경문제의 세계화와 정치적 성격」,『한국동북아논총』제13집, 1999, pp.73-93.
· 정구현, 『글로벌화와 한국경제의 선택』, 서울: 자유기업원, 2002.
· 정영근, 「WSSD 이후 한국의 과제: 한국의 지속가능성 확보 전략」, 녹색연합,『한 국환경보고서 2002-2003』, 서울: 녹색사회연구소, 2003.
· 정회성,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세계화의 영향」, 이론과 실천 모임 엮음, 권 태준 교수 퇴임기념논문집 『국토와 환경』, 서울: 한울 아카데미, 2002.
· 제러미 브레처 외, 이덕렬 옮김, 『아래로부터의 세계화』, 서울: 아이필드, 2002.
· 조지프 스티글리츠, 송철복 옮김, 『세계화와 그 불만』, 서울: 세종연구원, 2002.
· 피터 고완, 홍수원 옮김, 『세계없는 세계화』, 서울: 시유시, 2001.
· 한면희, 「세계화시대의 환경정의」, 『인문과학』, 제32집, 2002, pp.239-257.
· 허영도,「기업지배구조의 국제적 추세와 글로벌 스탠다드」, 『경영학연구논문집』, 제7권 2호, 2000, pp.45-65.
· 헤롤드 제임스, 이헌대․이명휘․최상오 옮김, 『세계화의 종말』, 서울: 한울, 2002.
· 헬레나 노르베리-호지/ISEC, 이민아 옮김, 『허울뿐인 세계화』, 서울: 따님, 2002.
· 황의서,「세계화와 환경의제 - 정치학적 관점」,『개발논총』, 제8집, 1999, pp.115-134.
· 힐러리 프렌치, 주요섭 옮김, 『세계화는 어떻게 지구환경을 파괴하는가』, 서울: 도 요새, 2001.
· Carson, Rachel, Silent Spring, Boston: Houghton Mifflin, 1962.
· Elkington, J. “The Third Wave”, Tomorrow, vol. 9, no. 6, Dec. 1999, pp.40-42.
· Portney, Paul, “Environmental Problems and Policy: 2000-2050”,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vol. 14, no. 1, winter 2000, pp.199-206.
· Raines, Susan S, "Perceptions of Legitimacy and Efficacy in International Environmental Management Standards: The Impact of the Participation Gap", Global Environmental Politics, Aug. 2003, pp.47-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