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간호학]질병단계별 암환자들의 불확실성과 간호요구도

본 논문자료는 저의 누나가 간호학과 석사학위 논문으로 작성한 것입니다. 가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병원생활과 학교생활을 동시에 해가며 무려 1년이 넘는 시간동안 많은 시간을 고심해가며 신중히 작성한 논문으로 알고 있습니다. 제가 이 논문을 작성하는데 도와준 것은 번역을 해서 워드로 쳐주고 편집을 해준 것 밖에는 아무 것도 없습니다. 실제로 `Mishel` 이라는 논문내용과 관련된 학계의 최고 권위 교수에게 전화와 이메일로 지도조언을 부탁하며 완성한 것입니다. 관련 논문이나 레포트를 작성하시는 많은 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어주리라 확신합니다. 그럼, 늘 건강하시고 행복하시길 바라면서 소개글을 대신하도록 하겠습니다.
43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5.10.26 최종저작일 2005.03
43P 미리보기
[간호학]질병단계별 암환자들의 불확실성과 간호요구도
  • 미리보기

    소개

    본 논문자료는 저의 누나가 간호학과 석사학위 논문으로 작성한 것입니다.
    가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병원생활과 학교생활을 동시에 해가며 무려 1년이 넘는 시간동안 많은 시간을 고심해가며 신중히 작성한 논문으로 알고 있습니다. 제가 이 논문을 작성하는데 도와준 것은 번역을 해서 워드로 쳐주고 편집을 해준 것 밖에는 아무 것도 없습니다. 실제로 `Mishel` 이라는 논문내용과 관련된 학계의 최고 권위 교수에게 전화와 이메일로 지도조언을 부탁하며 완성한 것입니다. 관련 논문이나 레포트를 작성하시는 많은 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어주리라 확신합니다. 그럼, 늘 건강하시고 행복하시길 바라면서 소개글을 대신하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 목적
    3. 용어의 정의

    문헌고찰
    1. 암환자가 지각한 질병 불확실성
    2. 암환자의 간호 요구도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자
    3. 연구도구
    4. 자료수집
    5. 자료분석
    6. 연구의 제한점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질병적 특성
    2. 대상자의 질병단계별 불확실성 정도
    3. 대상자의 질병단계별 간호 요구도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질병적 특성과 관련된 불확실성 지각정도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질병적 특성과 관련된 간호 요구도
    6. 대상자의 불확실성과 간호 요구도와의 상관관계

    논 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영문 초록

    부 록

    본문내용

    본 연구의 대상자가 지각하는 불확실성 정도의 평균평점은 2.61점, 평균점수로는 60점이었다. 질병단계별 불확실성의 차이는 2단계 대상자가 2.66점으로 가장 높고, 1단계, 3단계의 순으로 비교적 비슷한 수준의 점수를 나타내었다. 암환자를 대상으로 한 다른 연구와 비교해 볼 때, 입원 중인 암환자의 59.17점(이윤정, 함은미, 김금순, 2001)과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입원 또는 외래치료를 받고 있는 암환자의 55.96점(유필숙, 2004), 유방절제술 환자의 57.6점(조옥희, 2000), 항암요법을 받고 있는 암환자의 54.78점(최은숙, 박점희, 김현미, 1994) 보다는 높게 나타났으며, 위암 수술환자를 대상으로 한 실험군과 대조군 환자의 64.5점(성은희, 홍미순, 1995) 보다는 낮게 나타났다. 대다수의 선행 연구결과들과 마찬가지로 연구 대상자의 불확실성 지각 점수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질병단계별 불확실성은 점수변화가 없었다. 그 이유로 연구 대상자의 암 발생부위와 전반적인 치료형태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치료시기별로 나타나는 불확실성의 변화양상이 상쇄되지 않았나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질병의 불확실성 정도가 높은 요인은 정보의 부족, 질환과 관련된 애매모호성, 질환과 관련된 불예측성 순이었다. 또한 전 질병단계 환자 모두 정보의 부족 영역에서 가장 높은 불확실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질환과 관련된 애매모호성, 질환과 관련된 불예측성, 정보의 부족 순으로 나타난 유필숙(2004)의 결과와 모르는 증상의 변화, 정보의 부족, 질환과 관련된 애매모호성의 순으로 나타난 최은숙, 박점희, 김현미(1994)의 결과와는 순서상의 차이를 보였지만, 정보의 부족이 불확실성을 높인다는 점은 같은 맥락이라고 볼 수 있다. 정보 제공을 받은 위암수술 환자군이 정보제공을 받지 않은 군보다 불확실성 정도가 낮은 것으로 보고한 성은희, 홍미순(1995)의 연구와 구체적이고 즉각적인 정보제공이 암환아 부모가 불확실성에 대처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한 오원옥(1998)의 연구에서 알 수 있듯이 암환자들의 요구에 부응하는 정보를 적절히 제공하는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정보제공을 통하여 불확실한 상황에 대한 친밀성을 강화시키고 그 상황에 대한 인지적 조절을 함으로써 기대와 실제 경험 간의 일치성을 지니게 하여 불확실성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참고자료

    · 권인수, 은영 : 간호사가 지각한 암환자의 퇴원 후 가정간호요구, 대한간호학회지, 28(3):602-615, 1998.
    · 권인수, 은영 : 암환자의 퇴원 후 가정간호요구, 대한간호학회지, 29(4):743-754, 1999.
    · 권인수, 은영 : 암환자의 퇴원 후 계속 간호 프로그램 개발, 대한간호학회지, 31(1):81-93, 2001.
    · 김순미, 오복자 : 추후관리 암환자의 희망, 건강증진 행위 및 삶의 질과의 관계 연구, 성인간호학회지, 8(1):169-179, 1996.
    · 김은경 : 개심술 환자의 퇴원 후 교육요구에 대한 조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3.
    · 김조자, 박지원, 윤정순, 김옥녀, 권연숙, 이희순 : 암환자 교육요구에 대한 환자, 간호사, 의사의 지각 비교연 구, 대한간호, 28(1):53-66, 1989.
    · 김진희, 정문희 : 독거노인의 거택환경과 기분상태, 일상생활활동 및 간호요구도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간호학 회지, 14(1):26-40, 2000.
    · 박호란, 박보성, 배영란 : 구조화된 항암화학요법 교육이 암환자의 간호요구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 보건간호학회지, 16(2):325-336, 2002.
    · 성은희, 홍미순 : 정보제공이 위암 수술환자의 불확실성과 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성인간호학회지, 7(2):245-258, 1995.
    · 소향숙 : 자궁경부암 환자의 치료시기별 불확실성, 대처방식 및 우울의 변화양상,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6.
    · 양남영, 김명자 : 질병과 관련된 불확실성에 대한 개념분석, 노인간호학회지, 4(2):187-194, 2002.
    · 양영희 : 질병단계에 따라 암환자, 돌보는 가족원, 간호사의 간효요구 지각비교, 대한간호학회지, 27(4):787-795, 1997.
    · 오진아 : 입원 아동과 관련된 어머니의 불확실성의 지각정도와 대처방안,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 오현숙 : 불확실성의 간호이론 구성, 성인간호학회지, 13(2):200-208, 2001.
    · 유경희, 이선주, 강창희, 이은옥 : 입원한 암환자의 교육적 간호요구, 성인간호학회지, 5(1):86-93, 1993.
    · 유필숙 : 암환자의 질병 불확실성, 희망 및 영적 안녕과의 관계,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 이윤정, 함은미, 김금순 : 일개지역 암환자의 불확실성과 대처 및 우울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31(2):244-256, 2001.
    · 이인혜 : 질환에 대한 불확실성 정도와 대응 양상에 따른 상태불안과의 상관 관계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84.
    · 이종경, 이미순 : 위암 수술 환자의 퇴원 간호요구, 성인간호학회지, 15(1):22-32, 2003.
    · 원종순, 김현숙 : 일 병원 입원환자의 간호요구도 조사연구, 범석학술논문집, 6:101-110, 2002.
    · 전산초 : 이상간호의 이론과 전략,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1976.
    · 정진의 : 입원한 암환자와 간호사가 지각하는 간호요구도 비교, 임상간호연구, 8(2):91-105, 2003.
    · 조옥희 : 유방절제술 환자의 불확실성, 불안 및 대처 방식, 대한간호학회지, 30(4):1006 - 1017, 2000.
    · 통계청, 사망원인 통계연보, 2002.
    · 최경숙, 박경숙, 류은정 : 퇴원 전․후 암환자와 가족원이 지각하는 간호요구 비교, 재활간호학회지, 2(2), 215-224, 1999.
    · 최은숙, 박점희, 김현미 : 암환자의 질환에 대한 불확실성 정도와 대응 양상 및 희망, 경북의대지, 35(3):331-342, 1994.
    · Christman, N. J. : Uncertainty and adjustment during radiotherapy, Nursing Research, 39:17-20, 1990.
    · Cohen : The stage of the prediagnostic period in chronic, life-threatening childhood illness, A process a analysis,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8:3-48, 1995.
    · Comaroff, J., Macguire, P. : Ambiguity and the search for meaning : Childhood leukemia in the modern clinical context, Social Science and Medicine, 15:115-123, 1981.
    · Crane, M. D. : Ida Jean Orlando, in Nursing conference Group(eds), Nursing theories(p. 125), Prentice-Hall : Englewood Cliffs, 1980.
    · Endacott, R. L. : Clarifying the concept of need : a comparison of two approaches to concept analysi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5:471-476, 1991.
    · Graydon, J., Galloway, S., Palmer-Wickham, S., Harrison, D., Rich-van der Bij, L., West, P., Burlein-Hall, S., & Evans-Boyden, B. : Information Needs of Women during early treatment for breast cancer,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6:59-64, 1997.
    · Harteveld, J. T. M., Mistiaen, P. J. M. & van Emden, D. M. D. : Home visits by community nurses for cancer patients after discharge from hospital : An evaluation study of the community visit, Cancer Nursing, 20(2):105-114, 1997.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와 지식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내용이 풍성하여 과제 작성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계속해서 좋은 자료를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3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