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운동 착시 현상 연구] 방향 비등방성을 통한 선 -운동 착시 현상 연구

운동 착시 현상 연구에 관한 글입니다.바로 제출가능합니다.사진도 포함입니다.
8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5.08.22 최종저작일 2005.08
8P 미리보기
[운동 착시 현상 연구] 방향 비등방성을 통한 선 -운동 착시 현상 연구
  • 미리보기

    소개

    운동 착시 현상 연구에 관한 글입니다.바로 제출가능합니다.사진도 포함입니다.

    목차

    1. 연구 목적 및 배경
    2. 연구 내용 범위 및 방법
    3. 결론 및 제안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Ⅰ. 연구 내용
    1. 연구 목적 및 배경
    선-운동 착시(Line-motion illusion)이란, 신호(cue)를 제시한 후에 정적인 선 자극을 제시할 경우, 그 선이 신호를 준 방향에서부터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을 일컫는다. 즉, 그림1a과 같이 신호를 제시한 후에 제시된 선이 그림1b의 움직이는 선처럼 지각되는 현상이 선-운동 착시 현상이다.
    그림 1. 선-운동 착시 현상 자극과 실제 운동 자극
    이 현상은 1993년 Okihide Hikosaka에 의해서 처음 보고 되었고, 그 이후 선-운동 착시가 어떤 메카니즘을 통해 일어나는지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기존 연구들은 선-운동 착시 현상이 주의(attention)에 의해 일어난다는 가설 하에 행해져 왔다. 즉, 선-운동 착시 현상은 주의를 받은 위치의 처리 속도 증가에 의한 현상임을 밝힌 실험들이 대부분이다. 예를 들어, Daphne Bavelier와 그의 동료들(2002)은 반사적 주시 조정(reflexive gaze orienting) 기법을 통해, 선-운동 착시 현상이 신호가 없더라도 피험자의 주의를 조절함으로써 일어날 수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실험들은 시각 정보 처리 단계에서 상위의 단계에 대한 연구인만큼, 그 과제들이 객관적이지 못하고, 지나치게 단순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속 변수의 측정 방법이 단순하게 자극이 어떤 방향으로 움직이는지 혹은 어떤 자극이 먼저 제시됐는지 등을 묻는 2가지 중 한 가지를 강제적으로 선택해야 하는 방법이었으므로 이 과제들은 선-운동 착시 현상의 하위 단계, 즉, 1차 시각 피질에서의 신경학적인 기반을 밝히는 데에 한계가 있다. 요약하자면, 현재까지의 연구들은 선-운동 착시 현상에 있어 주의의 역할을 강조한 나머지, 그 기반에 깔린 초기 시각 정보 처리 단계들에서의 메카니즘들을 간과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2004년 Dirk Jancke와 그의 동료들은 신경 세포들의 역치하 활동에 매우 민감한 실시간 광학 영상법(real-time optical imaging)을 통해 1차 시각 피질 신경 세포들의 역치하 전위들이 피질에서의 정보 처리와 인지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즉, 신호 자극(그림2의 왼쪽에 제시된 사각형 자극) 후에 제시된 정적인 선 자극(그림2a의 왼쪽에 제시된 선 자극)을 마취한 고양이에게 제시했을 때 움직이는 자극(그림2b의 왼쪽에 제시된 움직이는 사각형 자극)을 제시했을 때와 유사한 패턴으로 시각 피질 내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는 부위(그림에서 검정색 테두리로 둘러싸인 부위)가 확산되는 것을 확인했다. 즉, Dirk Jancke와 그의 동료들의 실험은 선-운동 착시 현상의 원인을 1차 시각 피질의 수준에서 밝혀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들과는그림 2. 선-운동 착시 자극과 실제 운동 자극에 대한 1차 시각 피질의 반응 차별적인 의미를 가진다.
    이러한 상황적인 배경을 바탕으로 본 학생 개인 연구에서는 선-운동 착시 현상을 주의(attention)에 집중해서 실험해 온 기존의 연구들과는 달리 선-운동 착시 현상의 시각 정보 처리 초기<font color=aaaaff>..</font>

    참고자료

    · 1. Okihide Hikosaka, Satoru Miyauchi, Shinsuke Shimojo. Focal Visual Attention Produces Illusory Temporal Order and Motion Sensation. Vision Research Vol.33 No.9(1993) 1219-1240
    · 2. Daphne Bavelier, Keith A. Schneider, Anthony Monacelli. Reflexive gaze orienting induces the line-motion illusion. Vision Research 42 (2002) 2817-2827
    · 3. Dirk Jancke, Frederic Chavane, Shmuel Naaman & Amiram Grinvald. Imaging cortical correlates of illusion in early visual cortex. Nature Vol.428 (2004) 423-426
    · 4. Christoper S. Furmanski and Stephen A. Engel. An oblique effect in human primary visual cortex. Nature Neuroscience Vol.3 No.6 (2000) 535-536
    · 5. Baowang Li, Matthew R. Peterson, and Ralph D. Freeman. Oblique Effect: A Neural Basis in the Visual Cortex. Journal of Neurophysiology 90(2003) 204-217
    · 6. Edward H. Adelson & J. Anthony Movshon. Phenomenal coherence of moving visual patterns. Nature Vol.300 No.5892 523-525
    · 7. Gerald Westheimer. The distribution of preferred orientations in the peripheral visual field. Vision Research 43 (2003) 53-57
    · 8. Gang Wang, Shan Ding, Kazutomo Yunokuchi. Difference in the representation of cardinal and oblique contours in cat visual cortex. Neuroscience Letters 338 (2003) 77-81
    · 9. Levitt JB, Kiper DC, Movshon JA. Receptive fields and functional architecture of macaque V2. Journal of Neurophysiology 1994, 71(6) 2517-42
    · 10. Jeff P. Hamm, Raymond M. Klein. Does attention follow the motion in the "shooting line" illusion? Perception & Psychophysics 2002, 64(2) 279-91
    · 11. Tal Kenet, Dmitri Bibitchkov, Misha Tsodyks, Amiran Grinvald & Amos Arieli. Spontaneously emerging cortical representations of visual attributes. Nature Vol.425 954-956
    · 12. 이우영, 신경민, 황규선, 권기우, 박현진. Oblique Effect in Component motion and Pattern Motion (2004)
    · 13. Woo-young Lee, Sang-Hun Lee, Dynamics of Line Motion Illusion Reflects the Anatomical and Functional Architecture of the Early Visual Cortex, abstract submitted for VSS Annual Meeting in May, 2005
    · 14. Uri Polat, Dov Sagi, The Architecture of Perceptual Spatial Interactions, Vision Research, 1994, Vol.34 No.1 pp. 73-78
    · 15. Uri Polat, Dov Sagi, Lateral Interctions Between Spatial Channels : Suppression and Facilitation Revealed by Lateral Masking Experiment, 1992, Vision Research, Vol.33, No. 7, pp.993-999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해당 자료는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고, 내용이 풍부하여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정말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