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대형동물] 대형동물은 왜 멸종하였는가

대형동물은 왜 멸종하였는가에 관한글입니다. 바로 제출가능합니다.
14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5.08.07 최종저작일 2005.08
14P 미리보기
[대형동물] 대형동물은 왜 멸종하였는가
  • 미리보기

    소개

    대형동물은 왜 멸종하였는가에 관한글입니다. 바로 제출가능합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기후변화설
    (1) 신생대와 홍적세, 뷔름빙기
    (2) 빙하기에 따른 대형동물의 등장
    (3) 간빙기의 기온 상승에 따른 생태변화
    (4) 대형 동물의 취약성
    (5) 비판
    2. 과잉살육설
    (1) 홍적세의 과잉살육
    (2) 인류의 사냥과 멸종
    (3) 비판
    3. 복합설
    (1) 인류의 활동과 먹이사슬
    (2) 외계 동물의 유입과 먹이사슬
    (3) 인간으로 인한 질병의 전파
    4. 최근의 연구
    (1) 오스트레일리아 연구
    (2) 북아메리카 연구
    (3) 대형동물의 멸종 원인
    Ⅲ. 결론
    Ⅳ. 인용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선 캄브리아대 말을 필두로 하여 지난 45억 년의 지질시대 동안 지구에는 5번의 대량멸종 시기가 있었다. 이 시기에는 지구상에 존재하던 생물들이 여러 종에 걸쳐 멸종하였으며, 이러한 멸종은 지질학적 연대로 보아 비교적 짧은 시간인 수백만 년, 경우에 따라서는 이보다 더 짧은 시간에 발생했다. 비록 앞의 대량멸종처럼 여러 종에 걸친 광범위한 멸종은 아니었지만, 신생대 제 4기에도 지구상의 여러 지역에 걸쳐 유사한 멸종 양상이 대형동물들에게 나타났다.
    마지막 빙하기인 뷔름 빙기 말, 많은 대형동물들이 지구상에서 사라졌다. 특히 아메리카, 오스트레일리아 지역에서는 다양하고 많이 살았던 대부분의 대형동물들이 이 기간에 멸종을 하였다. 현재에는 아프리카 지역과 일부 열대우림지역을 제외하곤 대형동물이 많이 분포하고 있는 지역을 찾기가 힘들다. 여러 번의 빙하기와 간빙기를 거치면서 진화해온 대형동물들이 갑자기 멸종하였던 것이다. 고생물학자인 데이비드 재블론스키는 멸종의 배경수준(background level)을 ‘대부분의 생물에 대해 1백만 년당 몇 종 정도’로 제시한 적이 있는데, 홍적세 말기의 멸종 양상은 생명의 전 역사를 통해 나타난 멸종의 배경수준을 훨씬 웃도는 것이었다. 그렇다면 대형동물들은 왜 멸종하였는가.
    본 리포트에서는 ‘대빙하시대’라고 일컬어지는 신생대 제 4기의 빙하시대, 그 중에서도 뷔름빙기 말기에 전지구적(全地球的)으로 발생한 대형동물 멸종의 원인에 대한 가설들을 고찰하고 최근의 연구결과를 살펴봄으로써 ‘대형동물은 왜 멸종되었을까?’ 라는 주제에 답하고자 한다.

    참고자료

    · 단행본
    · 데이비드 쾀멘/이충호 역, {도도의 노래 2} 서울:푸른숲, 1998.
    · 리처드 스톤/김소정 역, {매머드, 빙하기 거인의 부활} 서울:지호, 2005.
    · 리처드 리키, 로저 르윈/황현숙 역, {제 6의 멸종} 서울:세종서적, 1996.
    · 논문
    · Alroy, John, et al., “A Multispecies Overkill Simulation of the End-Pleistocene Megafaunal Mass Extinction”, in Science, Cambridge:A.A.A.S., 2001.
    · Barnosky, Anthony D., et al., “Assessing the Causes of Late Pleistocene Extinctions on the Continents”, in Science. Cambridge:A.A.A.S., 2004.
    · Miller, Gifford H. et al., “Pleistocene Extinction of Genyornis newtoni:Human Impact on Australian Megafauna”, in Science, Cambridge:A.A.A.S., 1999.
    · Richard A. Kerr, “Megafunda Died From Big Kill, Not Big Chill”, in Science, Cambridge:A.A.A.S., 2003.
    · Roberts, Richard G. et al., “New Ages for the Last Australian Megafauna:Continent-Wide Extinction About 46,000 Years Ago”, in Science, Cambridge:A.A.A.S., 2001.
    · 인터넷자료
    · 두산동아출판사편집부, “대빙하시대” 두산대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php?id=44786>.
    · 백미례, “신생대 제4기의 기후 변화와 지형 발달” 지리사랑방. <http://www.speer.hs.kr/tc/mirae/%C1%A64%B1%E2%B1%E2%C8%C4%BA%AF%B5%BF.htm>. (30 May 2005).
    · 최덕근, “진화와 화석” Laboratory of Paleontology. <http://paleolab.snu.ac.kr/2003study/2003study04.ppt>. (30 May 2005)
    · 최덕근, “화석으로 본 생명의 역사” Laboratory of Paleontology. <http://paleolab.snu.ac.kr/writings/wededu/wededu.htm>. (30 May 2005)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콘텐츠는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지루할 틈이 없습니다. 매번 새로운 인사이트를 제공해 주어 학습이 즐거워지고 있습니다. 학습 후 실제로 과제나 레포트에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용할 예정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