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수출전략]【A+】한국 경제 21세기 수출비전 확대 방안

앞으로 한국 무역이 추진해야 할 방향을 제시했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수정된 자료입니다.
54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5.07.14 최종저작일 2011.04
54P 미리보기
[수출전략]【A+】한국 경제 21세기 수출비전 확대 방안
  • 미리보기

    소개

    앞으로 한국 무역이 추진해야 할 방향을 제시했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수정된 자료입니다.

    목차

    제 Ⅰ 장 서 론
    1. 한국 무역의 현주소
    2. 높아지는 무역의존도
    3. 수출과 경제성장

    제 Ⅱ 장 한국 경제 21세기의 수출비전
    1. 대내외 무역환경 변화
    2. 한국무역의 중장기 전망
    3. 한국무역의 장래 비전

    제 Ⅲ 장 무역흑자의 길
    1. 무역수지의 흐름
    2. 흑자기조 정착의 과제
    3. 흑자기조의 의의
    4. 흑자기조로 가는 길
    5. 적정수준의 흑자관리문제

    제 Ⅳ 장 경쟁력의 현위치
    1. 경쟁력의 좌표들
    2. 세계시장 경영전략

    제 Ⅴ 장 무역확대를 위한 주창

    참고문헌

    본문내용

    1. 한국 무역의 현주소
    우리 경제는 개발연대의 초기 이래 수입확대 자원활용의 효율성 증대 산업발전 수출증대 및 수입능력 제고라는 무역확대의 선순환을 통해 발전해 왔다. 부존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로서는 수출을 통해 벌어들인 외화로 생산이나 수출에 필요한 원자재를 수입하고 설비투자에 소요되는 자본재를 수입할 수 있었다. 수출확대는 성장 및 수입확대를 가져오고 이는 다시 수출을 확대시키는 선순환구조를 발생시킴으로써 우리 경제의 빠른 성장과 발전을 가능하게 한 원동력이었던 것이다.
    그 결과 우리나라의 무역규모는 1996년에 벌써 수출입을 합하여 2,800억 달러를 넘어서는 무역대국으로 성장하였다. 그러나 외환위기를 겪은 1998년에는 수출입이 동시에 감소함으로써 무역규모가 2,250억 달러 남짓한 수준까지 위축되었다. 1999년에 수출입이 모두 큰 폭으로 늘어나 무역규모가 2,600억 달러를 넘어섰지만, 외환위기 이전 수준을 완전히 회복하지는 못하였다.
    수출규모로 볼 때 우리나라는 세계 12위의 무역국이다. EU 15개국을 하나의 국가단위로 간주하면 우리나라는 세계 7위의 무역대국이다. WTO가 발표한 통계에 의하면, 유럽 15개국의 EU가 1위이고, 그 다음에 미국, 일본, 캐나다, 중국, 홍콩, 한국 등의 순이다. 이어서 멕시코, 싱가포르, 대만 등이 우리나라의 뒤를 따르고 있다. EU 국가 중에서 우리나라보다 수출규모가 큰 나라는 독일,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 네덜란드, 벨기에 등 6개국이다.
    우리 경제에서 투자와 성장의 견인차의 역할을 하는 수출은 외환위기를 겪은 1998년에 소폭 감소한 것을 제외하고는 매년 증가세를 기록하였다. 2000년이 되는 해 우리나라의 수출은 1,700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수출규모가 1억 달러를 넘어서면서 무역입국의 기치를 내세우던 것이 1964년의 일이었으니까, 1,700억 달러 수출을 달성하기까지 36년이 걸린 셈이다. 세계 어느 나라도 일찍이 해 낸 적이 없는 신기록이라 할 수 있다. 사실 1억 달러의 수출을 달성했다고 자축하던 당시에는 아프리카의 에티오피아, 가봉과 같은 나라와 수출규모가 비슷하였다. 그런데 이제 세계 12번째의 무역대국으로 성장한 것이다. 그동안의 수출 추이를 보면 1971년에 10억 달러, 1977년에 100억 달러, 1995년에 1,000억 달러를 넘어섰고, 2000년에 마침내 1,700억 달러의 고지를 넘어선다.

    참고자료

    · ∙김기홍, 「서비스부문의 생산과 무역」, KIET 정책자료, 제36호, 1998. 5.
    · ∙김재철, 「21세기 신무역 전략:국토와 해양의 비교우위를 살리는 뉴딜사업을 중심으로」, 한국무역협회, 1999. 6.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주요 선진국의 수출지원제도 비교」, 1998. 4.
    · ∙문홍배, “국내 전자산업의 산업내무역 결정요인 분석,” 「産銀調査月報」, 한국산업은행, 2000. 1.
    · ∙문화관광부, 「통계로 보는 문화산업」, 1998.
    · ∙민경휘, 「서비스산업과 제조업간 연관구조 변화의 분석」, KIET 연구보고서 제415호, 산업연구원, 1998. 9.
    · ∙사사나미 요오코(佐佐波楊子)․우라다 슈지로(浦田秀次郞), 「서비스 무역:이론․현상․과제」(박명석 譯), 비봉출판사, 1990.2.
    · ∙산업연구원, 「한국경제의 중장기비전:산업분야」, 1999. 12.
    · ∙ , 「한국경제의 중장기비전:무역․투자분야」, 1999. 12.
    · ∙ , 「벤처기업 육성정책의 평가와 개선방안」, 1999. 10.
    · ∙ , 「선진국의 무역인프라 확충 관련제도 조사 연구」, 1999. 10.
    · ∙ , 「지식기반산업의 발전방안」, 1998. 12.
    · ∙ , 「21세기 세계시장 경영전략」, 1993.
    · ∙산업연구원․한국무역협회, 「새로운 무역문화의 정립」, 수출 1,000억 불 기념 심포지엄 자료집, 1996. 1.
    · ∙산업자원부, 「기업 R&D 실태조사․분석」, 한국산업기술평가원, 1999. 12.
    · ∙, 「부품․소재산업의 현황과 육성방안」, 부품․소재산업 대토론회 발표자료, 1999. 2.
    · ∙산업자원부․한국무역협회, 「수출비전 2002」, 삼성경제연구소, 1999. 9
    · ∙삼성경제연구소, 「부상하는 21세기 유망산업」, 2000. 3.
    · ∙ , 「2000년 전망과 전략산업 육성방안」, 1999. 9.
    · ∙심영섭, 「21세기 한국무역의 발전방향」, KIET 정책자료 제137호, 산업연구원, 1999. 12.
    · ∙ , “산업발전과 국제수지의 사이클,” 「조사월보」, 국민은행, 1994. 11.
    · ∙, 「소재․부품의 수출입동향」, 1999. 12.
    · ∙, 「세계무역의 구조변화와 우리의 대응과제」, 1999. 8.
    · ∙, 「해외투자통계연보」, 각년호.
    · ∙ , 「해외직접투자 동향 분석」, 조사연구자료 95-22, 1995.
    · ∙한국첨단게임산업협회, 「온라인 게임의 실태분석 및 발전포럼」, 1999.
    · ∙황선일 외, 「특허기술의 사업화 방안」, 한국발명진흥회, 1997.
    · ∙Cairncross, Frances, The Death of Distance:How the Comꠀmunications Revolution will Change our Lives, Boston, Harvard University Press, 1997.
    · ∙Dunning, J. H., Multinational Enterprises and the Global Economy,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Inc., Harꠀlow, 1993.
    · ∙Graham, E. M. & Krugman, P. R.,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the United States,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ꠀmics, Washington, 1989.
    · ∙IMD, The Competitiveness Yearbook, 1999.
    · ∙IMF, World Economic Outlook, 1999. 5.
    · ∙Kojima, K., Direct Foreign Investment, Groom Helm Ltd., London, 1978.
    · ∙Lee, Y. S., A New Trade and Industrial Policy in the Globalization of Korea, KIET, 1996.
    · ∙Lipsey, R. E. and Weiss, M. Y., Foreign Production and Exports of Individual firms, The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Vol. 66, 1984.
    · ∙ , Foreign Production and Exports in Manufacturing Industries, The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Vol. 63, 1981.
    · ∙Mataloni, Jr., Raymond J., Multinational Companies:Operꠀations in 1997, Survey of Current Business, July 1999.
  • 자료후기

    Ai 리뷰
    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고, 과제의 내용을 보강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정말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드립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