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권문택, 「형법학연구」, 박영사, 1983.
· 배종대,「형사정책」, 홍문사, 2003.
· 배종대,「형법총론」, 홍문사, 2003.
· 신진규, 「범죄학 겸 형사정책」, 법문사, 1989.
· 이재항, 「형법총론」, 박영사, 1988.
· 이재상, 「형법총론」, 박영사, 1992.
· 이형국, 「형법총론」, 법문사, 2003.
· 정영석, 「형법총론」, 법문사, 1989.
· 김영환․최석윤, “양형의 형벌이론적 기초 및 개별적 양형단계에 관한 고찰”,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6.
· 오병주, “양형의 실태 및 합리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실증적․비교법적 고찰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 프란쯔 스트랭, “양형의 형벌이론적 기초”, 「형사세미나 연수모음집 : 양형의 실태와 합리화 방안」,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4.
· 김혜정 , “판결전조사제도의 현황과 개선방안 : 성인범에 대한 판결전조사제도를 중심으로”,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2.
· 박혜건, “검사가 본 양형”,「형사재판과 양형」(법관연수자료), 1979.
· 최석윤, “양형의 합리화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3.
· 김관현, “양형의 실태와 합리화 방안”,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 김일수, “공판절차의 이분론”, 월간고시, 1983.
· 이영란, “양형론에 관한 소고”,「경찰대학 논문집 제4집」, 1985.
· 최석윤, “양형의 합리화 방안”, 「형사법연구 제12호」, 1999.
· 장규원, “형사제재의 이해”(형사사법체계론 수업자료), 2004
· 김희관, “미국연방양형기준법에 관한 고찰”,「1994년 검사해외연수논문집」, 법무부, 1995
· Richard F. Doyle, “A sentencing Council in Operation", Federal Probation, 1961. 9.
· Charles T. Hosner, “Group Procedures in Sentencing : A Decade of Practice", Federal Probation, 1970. 12.
· M. Frommel, Präventionsmodelle in der deutchen Strafzweckdiskussion, 1987.
· Franz von Liszt, Der Zweckgedanke im Strafrecht, in : Strafrechtliche Aufsätze und Vorträge, 1905.
· Roxin, Bruns Festschrift,
· Henkel, Die "richtige" Strafe, Gedanken zur richterlichen Strafzumessung, Becht und Staat, 1969.
· Horn, Zum Stellenwert der Stellenwerttheorie, Bruns Festschrift,
· Zipf, Strafmaßrevision, München, 1969.
· Bruns, Das Recht der Strafzunessung,
· Jescheck, Hans-heinrich, Strafrecht, AT.4. Aufl, 1988.
· Hirsch, Leipziger Kommentar, Vor §43, Rn, 16 .
·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홈페이지 http://www.kic.re.kr
· 한국형사사법학회 홈페이지 http://www.kcla.net
· 대한민국 국회도서관 홈페이지 http://www.nanet.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