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참 고 문 헌
· 1. 김문경,「Stained Glass」, 서울 : 미진사, 1983.
· 2. 김정동,「김정동 교수의 근대 건축기행」, 서울 : 도서출판 푸른 역사, 1999.
· 3. 김정신,「한국 가톨릭 성당 건축사」, 서울 : 한국교회사 연구소, 1994.
· 4. 국사편찬위원회,「한국사료총서 - 梅泉野錄 卷之二」, 서울 : 新志社, 광무3년 3월조.
· 5. 문홍길,「명동성당 건축양식의 연구」, 서울 : 명동성당 건축사, 1988.
· 6. 이규일,「한국미술의 명암 화단야사 2」, 서울 : 시공사, 1997.
· 7. 이남규,「이남규 유리화」, 서울 : 분도 출판사, 1996.
· 8. 오광수,「한국 현대미술사」, 서울 : 열화당, 1985.
· 9. 유준상,「이남규 유리화 - 은총(恩寵)의 빛, 李南奎 생애」, 서울 : 분도출판사, 1996.
· 10. 안중기, 김은희,「Stained Glass」, 서울 : 분도출판사, 1984.
· 11. 양교철,「교회와 건축」, 서울 : 쿰란 출판사, 2003.
· 12. 윤선자,「명동성당 축성 100주년 기념집 - 민족사와 명동성당」, 서울 : 한국 천주교 서울 대교구 주교좌 명동교회 편찬실, 2001.
· 13. 임영방,「미술의 길」, 서울 : 도서 출판 벽호, 1995.
· 14. 임연웅,「디자인 재료학」, 서울 : 미진사, 1997.
· 15. 임정의,「명동성당 100년」, 서울 : 코리언 북스, 1998.
· 16. 월간미술,「세계미술용어 사전」, 서울 : 중앙일보사, 1989.
· 17. 조광호,「한국 가톨릭, 어디로 갈 것인가」, 서울 : 우리 신학 연구소, 1997.
· 18. 장상건,「명동성당과 스테인드글라스」, 서울: 명동성당 건축사, 1998, p.208
· 19. 장 익,「李南奎 선생을 생각하며」, 서울 : 분도출판사, 1996.
· 20. 최영심,「최영심 유리화 - 교회 미술안의 유리화」, 서울 : 분도출판사, 1998.
· 21. 김수경 역, 안느 쉐이버 크랜드,「중세미술」, 서울 : 도서출판 예경, 1991.
· 22. 김 택 역, 알랭 에브랑드 브랑당뷔르「성당 - 빛과 색이 있는 건축물」, 서울 : 시공사, 1997.
· 23. 유이흠 역, Gerardus Vanderleeuw,「종교와 예술」, 서울 : 열화당, 1994.
· 24. 윤철규 역, 장폴 뷔용,「아르누보」, 서울 : 열화당, 1992.
· 25. 주미숙 역, 리오넬 리하트,「바우하우스」, 서울 : 열화당, 1993.
· 26. 上松佑二, 편집부 역,「建築 空間論」, 서울 : 正林出版社, 1987.
· 27. Carola Hicks,「The Dictionary of Art 29 :stained glassⅠ: 1. Materials and
· Technique」, GROVE, 1994.
· 28. 金晶東,「韓國 近代建築에 있어서 西洋 建築의 轉移와 그 影響에 관한 硏 究」, 홍익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0.
· 29. 金泰永,「韓國開港期 外人館의 建築的 特性에 관한 硏究」, 서울대학교 박 사학위 논문, 1990.
· 30. 김문경,「채색유리」, 서울 : 홍익대학교 대학원, 1980.
· 31. 방오석,「한국 가톨릭 미술에 관한 연구」,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 원, 1974.
· 32. 이 정,「STAINED GLASS 문양에 관한 연구」, 서울 : 홍익대 산업미술 대학 <font color=aaaaff>..</fo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