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본 논문에 반영한 참고문헌
· (1) 단행본
· 강경선·이재승 공저, 『법사상사』,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2000.
· 악셀 호테트, 문성훈·이현재 역, 『인정투쟁-사회적 갈등의 도덕적 형식』, 동녘, 1996.
· 유팔무·김호기 엮음,『시민사회와 시민운동』, 한울, 1995.
· 유팔무·김정훈 엮음,『시민사회와 시민운동 2』, 한울, 2001.
· 윤평중, 『논쟁과 담론: 담론이론의 사회철학과 급진민주주의에 대한 한 철학적 기획』, 생각의 나무, 2001.
· 위르겐 하버마스, 한승완 역, 『공론장의 구조변동』, 나남출판, 2002,
· , 한상진·박영도 공역.『사실성과 타당성 : 담론적 법이론과 민주주의 법치국가
· 이론』, 나남출판 2000.
· 철학연구회 편, 『디지털 시대의 민주주의와 포퓰리즘』, 철학과현실사, 2004.
· 최장집,『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후마니타스, 2002.
· 캐럴 페이트만·메어리 린든 쉐인리 엮음, 이남석·이현애 옮김, 『페미니즘 정치사상사』, 이후,
· 2004.
· 테오도르 아도르노·막스 호르크하이머, 김유동 옮김,『계몽의 변증법 : 철학적 단상』, “문화산업 : 대중기만으로서의 기만”, 문예출판사, 2001.
· (2) 논문
· Claus Offe, 강혜련 옮김,「신사회운동: 제도정치의 한계에 대한 도전」,『국가와 시민사회』, 한국
· 정치연구회 이론분과 엮음, 녹두, 1993.
· 김경희,「공론장 이론의 정치적 이해 : 아렌트, 하버마스, 월쩌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 석사학위 논문, 1996.
· 오현철,「한국 시민사회론 비판과 대안 - 하버마스이론을 중심으로」, 《경제와 사회》, 한울, 2004년 여름호 제62호.
· 오현철,「시민사회: 한국 시민사회 보수화론 비판」, 《역사비평》, 2003년 봄호 제56호.
· 2. 기타 참고문헌
· 권태환·임현진·송호근 공편,『신사회운동의 사회학 : 세계적 추세와 한국』,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1.
· 김성국,「사회운동적 사회학과 사회운동의 사회학」,《한국사회학》, 한국사회학회 2000, 제34집
· 여름호.
· 박형준,『성찰적 시민사회와 시민운동』, 의암출판, 2001.
· 손호철 외,『현대민주주의론Ⅰ』, 창작과 비평사, 1998.
· ,『현대민주주의론Ⅱ』, 창작과 비평사, 1992.
· 유팔무, 「시민사회 개념과 내부구성」,《동향과 전망》, 2003년 봄 통권 26호.
· 임희섭·양종회,『한국의 시민사회와 신사회운동』, 나남출판, 1998.
· 주성수, 『한국 시민사회와 지식인』,「시민사회와 지식인의 역할에 관한 이론적 고찰」, 아르케,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