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LD
GOLD 등급의 판매자 자료

[한의학] 동의수세보원 갑오본 국역

"[한의학] 동의수세보원 갑오본 국역"에 대한 내용입니다.
125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5.01.04 최종저작일 2004.01
125P 미리보기
[한의학] 동의수세보원 갑오본 국역
  • 미리보기

    목차

    少陰人論(六條)
    少陰人外感膂病論(六十條)
    少陰人內觸胃病論(六十四條)
    少陰人膂胃病篇尾泛論(二十七條)
    張仲景傷寒論中少陰人病經驗設方二十三方
    宋元明三代醫家著述中少陰人病經驗行用要藥十三方巴豆藥六方
    新定少陰人病應用要藥二十二方
    少陽人論
    少陽人外感膀胱病論(三十一條)
    少陽人內觸大腸病論(三十三條)
    少陽人膀胱大腸病篇尾泛論(四十一條)
    張仲景傷寒論中少陽人病經驗說方藥十方
    元明二代醫家著述中少陽人病經驗行用要藥九方
    新定少陽人病應用要藥二十二方
    太陰人論
    太陰人外感腦隹頁病論(二十三條)
    太陰人內觸胃脘病論(十條)
    張仲景傷寒論中太陰人病經驗設方藥四方
    唐宋明三代醫家著述中太陰人病經驗行用要藥九方
    新定太陰人病應用要藥十七方
    太陽人論
    太陽人外感腰脊病論(四條)
    太陽人內觸小膓病論(十一條)
    本草所載太陽人病經驗要藥單方十種 及 李梴龔信經驗要藥單方二種
    新定太陽人病應用設方藥二方
    廣濟說(二十五條)
    四象人辨證論(二十五條)

    본문내용

    1 因許浚東醫寶鑑所載 摘取張仲景傷寒論文及諸家所論
    許浚의 東醫寶鑑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근거로 張仲景 傷寒論 글과 모든 醫家의 논설을 취하여
    抄集一通 別附疑難
    하나로 관통하게 초록하고 集合하고 별도로 의심난나고 난해한 견해를 덧붙여서,
    以爲太少陰陽四象人傷寒時氣表裏病論而
    太陽人, 소양인, 태음인, 少陰人 등의 四象人의 傷寒病의 時氣의 表裏病論을 만들었다.
    此篇中 張仲景所論 太陽病少陽病陽明病太陰病少陰病厥陰病 以病證名目而論之也
    이 少陰人論篇에서 張仲景이 논의한 태양병, 소양병, 양명병, 태음병, 소음병, 궐음병은 병증으로 이름붙여 논의한 것이고,
    余所論 太陽人少陽人太陰人少陰人 以人物名目而論之也
    내가 논의한 태양인, 소양인, 태음인, 소음인은 인물의 이름으로써 논의한 것이니,
    二者 不可混看 又不可厭煩 然後 可以探其根株而採其枝葉也
    병명과 인물로 논의한 두 가지는 섞여서 보면 안되니, 또한 그것을 번잡하게 여기지 않은 연후에야, 근본과 그루터기를 탐색하여, 그 지엽적인 내용을 채집할수 있을 것이다.
    若夫脉法者 執證之一端也
    맥법이란 것은 병증을 잡는 한가지 실마리이다.
    其理在於浮沉遲數而 不必究其奇妙之致也
    맥법의 이치는 뜨고 가라앉고, 느리고 빠른것에 있으니, 그 기묘한 이치를 반드시 궁구할 필요는 없다.
    三陰三陽者 辨證之同異也
    삼음삼양이란 변증하는데 같고 다름이 있다.
    其理在於腹背表裡而 不必求其經絡之變也
    삼음삼양의 이치는 배, 등의 표리에 있지, 그 경락의 변화를 반드시 추구할 필요는 없다.


    [ 抄集: 抄錄하여 모음, 또는 그 書類.
    難疑: 결점을 비난하고 의문되는 곳을 질문함. ]
    Huh-Jun

    2 古人 以六經陰陽 論病
    옛 사람들은 육경의 음양으로써 병증을 논의하였으므로,
    故 張仲景 著傷寒論 亦以六經陰陽 該病證而
    장중경이 상한론을 저술하여 또한 육경의 음양으로써 그 병증에 해당하게 했다.
    以頭痛 身疼 發熱惡寒 脉浮者 謂之太陽病證
    두통, 신통, 발열, 오한, 맥부가 있는 환자는 이름하여 태양병증이라 한다.
    以口苦 咽乾 目眩 耳聾 胸脇滿 寒熱往來 頭痛 發熱 脉弦細者 謂之少陽病證
    입이 쓰고, 인후가 건조하고, 눈이 아찔하고, 귀가 먹먹하고, 흉협부가 그득하고, 한열이 왕래하고, 두통, 발열, 맥이 현세한 환자는 이름하여 소양병증이라 한다.
    以不惡寒 反惡熱 汗自出 大便秘者 謂之陽明病證
    오한이 없고, 반대로 오열이 있으며, 땀이 스스로 나고 변비가 있는 환자는 이름하여 양병병증이라 한다.
    以腹滿時痛 口不燥 心不煩而 自利者 謂之太陰病證
    복만증과 때때로 복통이 있고, 입이 마르지 않고, 가슴이 번조하지 않고, 저절로 하리하는 환자는 이름하여 태음병증이라 한다.
    以脉微細 但欲寐 口燥 心煩而 自利者 謂之少陰病證
    맥이 미세하여 다만 자려고만 하고, 입이 마르고, 가슴이 번조하고, 저절로 하리하는 환자는 이름하여 소음병<<font color=aaaaff>..</font>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정보가 풍부하고, 내용이 명확하게 정리되어 있어 과제를 작성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매우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