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경영과학 경영과학] 신규오픈 CGV의 최적위치 선정과 최적규모 도출

한 학기동안 열심히 실행한 프로젝트입니다. 확실한 도움이 될 거에요. ^^
113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5.01.02 최종저작일 2004.11
113P 미리보기
[경영과학 경영과학] 신규오픈 CGV의 최적위치 선정과 최적규모 도출
  • 미리보기

    소개

    한 학기동안 열심히 실행한 프로젝트입니다. 확실한 도움이 될 거에요. ^^

    목차

    1. 서론
    1.1. 연구 배경
    1.2. 연구 목적
    1.3. 보고서의 절차

    2. 본론
    2.1. 연구 진행 보고
    2.1.1. 선행 연구
    2.1.2. 배경이론
    2.2. 자료조사
    2.2.1. 경쟁사 분석
    2.2.2. 인구 분석
    2.3. Linear Programming
    2.3.1. Basic Concept
    2.3.2. Basic Assumption
    2.3.3. Formulating 방법
    2.3.4. 연구 절차
    2.3.5. 자료 수집 및 분석
    2.3.6. LP 적용 및 결과 분석

    3. 결론
    3.1. 토의 및 활용 가능성
    3.2. 기존 연구와의 차이점
    3.3. 문제점 및 개선방안
    3.4. 추후 연구 방향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러리, 국립고등영화학교, 영화 및 시청각매체원, 지역영화 진흥국등 국가기관과 22개의 조합, 그리고 12개의 노동조합, 20개의 전문 분야별 협회, 8개의 영화인 복지기관이 있다.
    이렇듯 이미 체계적으로 영화 산업 자체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새롭게 시장 진입을 할 여분의 파이가 없는 것이다. 영화의 제작과 배급에 따르는 부수적인 자원산업이 양과 질에 있어서 이미 우수할 만큼 성장하였으며, 영화를 제작하는 데에 필요한 각종 재단과 재무 인력, 유효적절한 용역상품들이 잘 구비되어 있는 것이 현실인 것이다.
    즉 세계 시장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미국과 유럽이 이미 포화되고 안정된 상황에서 국제적인 멀티 플렉스 기업들이 진출할 곳은 급속한 성장으로 경제적인 안정을 이룩한 동북 아시아 지역 밖에 없는 것이다. 그 중에서도 영화 산업 자체가 크게 흥행을 띄고 있는 한국이 그 목표가 될 것임은 명백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CGV라는 종합 멀티플랙스(multiplex)의 등장은 영화 시장에 새로운 바람을 일으켰다. 영화관을 시스템적으로 접근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하였으며 고객으로 하여금 더 큰 만족을 주게 하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규모가 커짐에 따라 전체적으로 관리해야 할 사항이 많아졌고, 또 메가박스라는 외국계 경쟁사가 등장함으로써 CGV는 시장에서의 완전한 경쟁 우위를 확보하지 못한 채 치열한 경쟁의 시기를 맞게 되었다.
    그렇다면, CGV의 생존 전략은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설정되어야 하는가? 이 질문에는 다양한 대답이 나올 수 있다. 물론 그에 대한 연구는 마케팅 분야나 영화 산업 분야에서 많이 연구가 진행되었고, 또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번 우리 조에서는 이것을 약간 다른 방향으로 접근해 보고자 한다.
    현재 CGV가 추진하고 있는 새로운 영화관 건립에 대해서 경영과학적으로 분석하여 결론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즉 단순한 시장 분석과 고객 확보를 넘어서 수학적이고도 논리적인 접근 방식을 통해 CGV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 새로 건립하는 영화관의 최적 위치와 규모에 대해서 논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서 현재 CGV가 추진하고 있는 정책의 바른 방향을 제시하고, 또 현재 까지 추진되었던 정책들에 대해서 타당성을 평가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참고자료

    · 고정민, 정연승(2002),『주5일 근무와 소프트 산업의 변화』삼성경제연구소.
    · 김미현 외(2003),『한국영화 배급사 연구』영화진흥위원회.
    · 김소영 외(2003),『문화산업 완성보증제 도입 타당성 검토』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 김휴종(1998), 경제 환경 변화와 한국 문화산업, 삼성경제연구소.
    · 문화관광정책연구원(2003),『문화산업백서』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 송경희, 김은미, 김휴종(2001),『한국 영화산업 시장성과 분석 연구』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 윤용중, 옥성수 외(2003), 『문화산업통계 2003』, 문화관광부.
    · 영화진흥위원회.『한국영화연감』 각년호.
    ·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2003), 해외산업동향, 10월,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 황동미 외(2001),『한국영화 산업 구조분석』영화진흥위원회.
    · 황동미 외(2003), 『2002년 한국영화 수익성 분석』영화진흥위원회.
    · 통계청.『한국의 사회지표』각년호.
    · Blanco, F. & BaÑos Pino, J. (1997), Cinema Demand in Spain: A Cointegration Analysis, Journal of Cultural Economics, 21, 57-75.
    · Dewenter, R. & Westermanny, M. (2002). Cinema Demand in Germany.
    · http://smye2002.univ-paris1.fr/program/paper/c7_wes.pdf.
    · De Vany, A. & Walls, W. D. (2002). Does Hollywood make too many R-rated movies?
    · Risk, stochastic dominance, and the illusion of expectation. The Journal of Business, 75 ,3, 425-451.
    · Fee, C. E. (2002). The costs of outside equity control: Evidence from motion picture financing decisions. The Journal of Business, 75, 4, 681-711.
    · Francis Delon, (2000), Les Multiplexes, 영진위 역
    · Hand, C. (2002), The Distribution and Predictability of Cinema Admissions, Journal of Cultural Economics, 26, 1, 53-64
    · Macmillan, P. & Smith, I. (2001). Explaining Post-War Cinema Attendance in Great Britain. Journal of Cultural Economics, 25, 91-108.
    · PriceWaterhouseCoopers (2002). Global Entertainment and Media Outlook: 2002-2006: Forecast and economic analysis of 13 industry segments.
    · Prosser, E. K. (2002). How early can video revenue be accurately predicted?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42, 2, 47-55.
    · Simonoff, J. S & Sparrow, I. R. (2000). Predicting movie grosses: Winners and losers, blockbusters and sleepers. Chance 13, 3, 15-24.
    · Snapshots International (2003). JAPAN CINEMAS 2003.
    · Vogel, H. L. (2001). Entertainment Industry Economics, 5th Ed., Cambridge University
  • 자료후기

      Ai 리뷰
      자료의 품질이 높고, 전문적인 내용이 많아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었습니다. 지식판매자에게 감사드리며, 계속해서 좋은 자료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