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지구과학] 대기의 연직구조
- 최초 등록일
- 2004.11.11
- 최종 저작일
- 2004.11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원

판매자alles****
18회 판매

목차
1. Introduction
2. Method
3. Result
4. discussion
① 각 층마다 온도 변화 양상이 다르게 나타나는 이유에 대하여 알아보자.
② 성층권에서 오존 농도가 가장 높은 곳은 약 20~30km 부근인데, 성층권 내에서 온도가 가장 높은 곳은 20~30km 부근이 아니라 성층권계면에서 나타난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4. Assignment
5. reference
본문내용
대류권 : 높이는 평균 12km(위도 45도) 정도이며, 이 높이는 기류와 원심력의 차이로 적도 지방으로 갈수록 높아지고 극 지방으로 갈 수록 낮아진다. 지표면을 둘러싸고 있는 대류권의 공기는 위도차에 따른 햇빛의 입사각 차이와 지구 공전으로 태양과 지구 사이의 거리차로 인한 온도차에 의한 대류 운동과 지구 자전 운동에 의한 원심력 등의 영향으로 매우 복잡한 기상현상을 일으키고 있다. 비, 눈, 바람 등의 주요 기상현상의 무대가 바로 대류권이다. 대류권에서는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단열 팽창에 의하여 6.5℃/km 씩 낮아지는 기온 감률 때문에 공기의 수직 운동이 잘 일어난다. 적도에서 따뜻하고 습한 공기는 수직 상승하고 고위도로부터 찬 공기가 유입되는 지구 규모의 순환운동이 일어난다. 태양 빛의 입사각이 가장 큰 적도 지방에서는 태양복사 에너지가 크고, 극 지방으로 갈수록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적도 지방에서는 에너지가 남고 극 지방에서는 에너지가 부족한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불균형 상태는 공기의 대류 운동에 의하여 적도에 남는 열 에너지를 극 지방에 분산시킴으로써 균형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또 대류의 운동은 지구 자전에 의한 코리올리 효과로 북반구에서는 시계 방향, 남반구에서는 반 시계방향으로 바람이 분다.
적도 지방에서 공기가 수직 상승하므로 지표면에서는 바람이 거의 없는 적도 무풍지대가 형성된다. 이 상승한 상층의 기류는 고위도 지방으로 이동하면서 냉각되어 위도 20~30도 근처에서 하강기류를 형성한다. 이 하강기류에 의해 아열대 고압대가 형성되어 일부는 적도 지방쪽으로 이동하는 편동 무역풍과 나머지 일부는 극 지방으로 이동하는 편서풍대를 만든다. 지표에서 편동 무역풍을 일으키는 대류윤동의 단위인
참고 자료
1. 지구라는 행성. 최진범 외. 도서출판 춘광. p 94~95
2. http://kissmenet.netian.com/JARYO/gee.hw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