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NEW
업로드 2주 이내인 자료
GOLD
GOLD 등급의 판매자 자료
non-ai
판매자가 AI를 사용하지 않은 독창적인 자료

[동국대학교] 자연과기술명작세미나 - 과학은 반역이다 발제문 보고서 예시 (A+)

"[동국대학교] 자연과기술명작세미나 - 과학은 반역이다 발제문 보고서 예시 (A+)"에 대한 내용입니다.
17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25.11.21 최종저작일 2025.05
17P 미리보기
[동국대학교] 자연과기술명작세미나 - 과학은 반역이다 발제문 보고서 예시 (A+)
  • 미리보기

    목차

    1. 서론 : "과학은 반역이다"에서 다루는 기술과 과학자의 윤리와 책임의 관계

    2. 배아연구의 현황과 윤리적 문제점

    3. 배아연구를 둘러싼 과학자 윤리의식 실태
    3-1. 성과주의와 명예욕이 이끈 과학 윤리의 후퇴 : 황우석 사태
    3-2. 금융자본이 결탁한 과학자의 윤리 문제 : ACT사의 배아줄기세포 상업화 사건
    3-3. 치료를 위시한 개인의 연구가 해친 생명 윤리 : 허젠쿠이의 유전자 편집 아기

    4. 윤리적인 배아연구를 위한 과학자의 역할과 실천 방안
    4-1. 과학자의 배아 사용에 대한 가이드라인의 필요성
    4-2. 배아연구에 대한 과학자의 윤리 교육 체계 수립
    4-3. 연구 투명성 확보를 위한 정보공개 기관 및 단체의 활용
    4-4. 과학자와 시민의 연대 및 대항 단체 수립의 필요성

    5. 결론

    본문내용

    1. 서론 : "과학은 반역이다"에서 다루는 기술과 과학자의 윤리와 책임의 관계

    프리먼 다이슨의 저서인 "과학은 반역이다"는 반역을 일으킨 과학자의 이야기들뿐만이 아닌 과학사를 비롯한 다양한 역사의 단편 속에서 비롯된 정치적 현안들과 윤리적 문제에 대한 고찰 및 저자의 개인적인 소회를 통해 21세기의 과학이 나아가야 할 길에 대한 담론을 담은 책이다. 저자의 과학자의 윤리 및 책임에 대한 주된 관점은 과학 기술이 야기할 수 있는 불평등과 사회적 평화의 안정을 해치지 않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관점이다. 특히 저자는 책의 2부 6장에서 제 2차 세계대전의 맨해튼 프로젝트가 과학자들의 책임의 부재로 인해 발발하였음을 시사하는 동시에 조지프 로트블랫(Joseph Rotblat)과 같은 과학자는 이후 퍼그워시(Pugwash) 운동을 통해 맨해튼 프로젝트가 야기한 악을 없애기 위해 과학자들의 연대를 도모했다는 사실[1] 또한 시사함으로 과학자의 책임과 윤리에 대한 재고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본 보고서는 해당 관점을 바탕으로 배아를 사용하는 연구의 윤리적 고찰과 이를 시행하는 과학자들의 윤리와 책임의 필요성 및 구축 방안에 대해서 논한다. 배아연구는 인간 생명의 시작점인 배아를 다룬다는 점에서 전 인류의 생명 존엄성 문제와 긴밀하고, 복제인간과 같은 생명 윤리의 불가역적인 상실을 일으킬 수 있는 연구가 일어날 수 있으며 금융자본과의 결탁으로 인해 생명의 상품화 및 도구화의 가능성이 존재하므로 배아연구에 대한 과학자의 책임과 윤리의 도모 및 법률적 체계와 가이드라인의 수립은 중요하다.
    따라서 본 보고서는 배아연구의 개괄적인 현황을 서술하고 해당 연구들이 배아를 사용하는 데 야기되는 배아의 지위에 대한 윤리적 쟁점들을 소개한 뒤 윤리적 쟁점들에 대해서 한국 및 타 국가들이 어떠한 입장을 취하고 있는지 알아본다. 또한 과학적 사고가 생명을 도구화, 상품화할 수 있음을 잠재성논증(Potentialitätsthese), 동일성이론(Identitätstheorie)

    참고자료

    · 다이슨, F. (2015). 과학은 반역이다. 반니. (원서 출판 2006)
    · 신동일. (2002). 생명공학 남용과 법적 규제를 위한 연구.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DBpia.
    ·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2005, March 8). United Nations Declaration on Human Cloning: Resolution adopted by the General Assembly (A/RES/59/280). United Nations.
    · Council of Europe. (1997).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and Dignity of the Human Being with regard to the Application of Biology and Medicine: Convention on Human Rights and Biomedicine(ETS No. 164).
    · 대한민국. (2024).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법률 제20327호, 2024. 2. 20., 일부개정]. 국가법령정보센터.
    · 심창섭. (2019). WHO, 유전자 조작 아기 실험 반대 인간 생식세포의 유전자 조작 연구에 경종. 사이언스타임즈. https://www.sciencetimes.co.kr/nscvrg/view/menu/251?searchCategory=223&nscvrgSn=194869
    · 김향미. (2009). 배아연구에 관한 법·윤리적 고찰(박사학위, 고려대학교대학원). RISS.
    · 김민우. (2018). 배아줄기세포 연구의 지원을 위한 법적 과제. 법학논고, 63, 141–163.
    · Klimanskaya, I., Chung, Y., Becker, S., Lu, S.-J., & Lanza, R. (2006). Human embryonic stem cell lines derived from single blastomeres. Nature, 444(7118), 481–485.
    · Abbott, A. (2006). 'Ethical' stem-cell paper under attack. Nature, 443(7107).
    · Genetic Engineering & Biotechnology News. (2015). Astellas to acquire Ocata Therapeutics for $379M. https://www.genengnews.com/news/astellas-to-acquire-ocata-therapeutics-for-379m/
    · 이강봉. (2018). 유전자 인공 편집 시술…생명윤리 논란 "후폭풍". 국방일보. https://kookbang.dema.mil.kr/newsWeb/20181220/1/BBSMSTR_000000010382/view.do
    · Annas, G. J. (2004). The ABCs of global governance of embryonic stem cell research: Arbitrage, bioethics and cloning. New England Law Review, 39, 489–502.​
    · Russell, W. M. S., & Burch, R. L. (1959). The principles of humane experimental technique. Methuen.
    · National Commission for the Protection of Human Subjects of Biomedical and Behavioral Research. (1979). The Belmont Report: Ethical principles and guidelines for the protection of human subjects of research.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깊이 있는 분석과 명확한 설명이 잘 어우러져 있어 학습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과제 작성 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었습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