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NEW
업로드 2주 이내인 자료
GOLD
GOLD 등급의 판매자 자료
non-ai
판매자가 AI를 사용하지 않은 독창적인 자료

보제방 410권 제양수기어사지諸陽受氣於四肢제음수기어오장론 육절장상론 제경관설병취염천변 변함하즉구 7페이지 한문 원전 및 한글번역

7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25.09.28 최종저작일 2025.09
7P 미리보기
보제방 410권 제양수기어사지諸陽受氣於四肢제음수기어오장론 육절장상론 제경관설병취염천변 변함하즉구 7페이지 한문 원전 및 한글번역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보제방 410권 제양수기어사지諸陽受氣於四肢제음수기어오장론 육절장상론 제경관설병취염천변 변함하즉구 7페이지 한문 원전 및 한글번역

    목차

    1.제음수기어오장론
    2.육절장상론
    3.제경관설병취염천변
    4.변함하즉구

    본문내용

    침경에서 말하길 하함하면 뜸을 뜬다고 하니 하늘과 땅이 다른 것이 없고 유독 음과 양 2기만 있으니 양은 밖이며 위가 되며 음은 안이며 아래가 된다.
    今言陷下者, 陽氣下陷, 入陰血之中, 是陰反居其上, 而復其陽.
    지금 하함을 말함은 양기 하함으로 음혈 속에 들어가 음이 반대로 위에 있어 양을 돌아오게 한다.
    脈證俱見, 寒在外者則灸之.
    맥과 증상이 모두 나타나면 한기는 밖에 있으면 뜸을 뜬다.  
    《異法方宜論》云:北方之人宜灸焫也.
    *異法方宜論의 원문은 異論이다.
    *焫(불사를 설; ⽕-총12획; ruò,xué)
    소문 이법방의론에서 말하길 북방 사람은 뜸을 함이 의당하다고 한다.
    爲冬寒大王, 伏陽在內, 皆宜灸之, 以至理論.
    겨울에 추위가 너무 왕성하면 잠복한 양이 내부에 있다면 모두 뜸이 의당하다고 함이 지극한 논리이다.
    則腎主臟, 臟陽氣在內, 冬三月, 主閉藏是也.
    *臟은 藏으로 써야 맞다.
    *闭藏:1. 폐장하다. 보관하다.2. 엄동설한이 되어 만물이 생기를 잃다. bìcáng
    신은 저장을 주관하니 양기가 내부에 저장한 겨울 3개월은 주로 닫고 저장한다고 함이 이것이다.
    若太過, 則病固宜灸焫, 此明陷入陰水之中是也.
    만약 태과하면 병이 진실로 뜸을 뜰만 하니 이는 분명히 음수에 꺼져 들어가 적중하게 됨이 이것이다.
    《難經》云: 熱病在內, 取陽之氣穴.
    난경에서 말하길 열병이 내부에 있으면 양의 기혈을 취한다.
    爲陽陷入陰中, 取氣通天之竅穴, 以火引火而導之, 此宜灸焫也.
    양이 음속에 빠져 들어가 기를 취하고 하늘에 통하는 구멍은 화기로 불을 당겨 인도하니 이는 뜸이 의당함이다.
    若將有病者, 以槩灸之, 豈不誤哉!
    만약 장차 병이 있다면 대개 뜸을 뜨니 어찌 오류가 아니겠는가?
    仲景云:微數之脈, 愼不可灸. 因火爲邪, 則爲煩逆. 追虛逐實, 血散脈中, 火氣雖微, 內攻有力, 焦骨傷筋, 血難復也.
    *출처 伤寒论第116条
    장중경 상한론에서말하길 미삭맥은 삼가 뜸을 뜰수 없다. 불로 사기를 만들면 번역이 된다. 허증을 따르고 실증을 몰아냄은 혈이 맥속에 흩어져 화기가 비록 미약해도 내부 공격에 힘이 있어 뼈를 태우고 근육을 손상하며 피가 회복하기 어렵다.
    又曰:脈浮、宜以汗解.
    또 말하길 부맥은 의당 땀으로 해소해야 한다.
    因火灸之, 邪無從出, 因火而盛, 病從腰以下, 必重而痹, 名火逆也.
    *勝의 원문은 盛이다.
    불로 뜸을 뜸에 사기는 나갈 방법이 없고 불로 성대하면 병이 허리 아래로부터 반드시 무겁고 마비가 됨은 화역이라고 이름한다.
    脈浮熱甚, 而反灸之, 此爲實, 實以虛治, 因火而動, 必咽燥唾血.
    부맥에 열이 심각한데도 반대로 뜸을 뜨면 이는 실증이 되니 실증을 허증으로 여기고 치료하면 불로 기인해 발동해 반드시 인두 건조와 피를 뱉게 된다.  
    又云:身穴三百六十有五, 其三十穴灸之有害.
    또 말하길 몸 경혈은 365개가 있고 30경혈은 뜸을 뜨면 피해가 있다.
    七十九穴, 刺之爲灾, 并中髓也.
    *災의 원문은 灾(재앙 재; ⽕-총7획; zāi)이다.
    79경혈은 자침하면 골수에 적중해 재앙이 된다.
    按《明堂》, 《鍼經》各條下, 所說禁忌明矣.
    명당경과 침경[靈樞] 각 조문을 살펴보면 금기를 말함이 분명하다.
    《內經》云: 脈之所見, 邪之所在. 脈沈者, 邪氣在內; 脈浮者, 邪氣在表.
    황제내경에서 말하길 맥이 나타남은 사기가 존재함이다. 침맥은 사기가 내부에 있음이며 부맥은 사기가 표에 있다.
    世醫只知脈之說, 不知病證之禁忌.
    세상의사는 단지 맥의 설명만 알고 병증의 금기를 모른다.
    若表見寒證, 身汗出, 身常清, 數慄而寒, 不渴欲覆厚衣裳, 惡寒, 手足厥, 皮膚乾枯, 其脈必沈細而遲, 但有一二證, 皆宜灸之, 陽氣下陷故也.
    *慓(날랠 표; ⼼-총14획; piāo)의 원문은 慄(두려워할 률{율}; ⼼-총13획; lì)이다.
    만약 표증에 한증이 나타나면 몸에 땀이 나고 항상 몸이 차고 추워 갈증이 없이 두텁게 옷을 입으려고 하며 오한에 손발이 싸늘하고 피부가 건조하고 반드시 침세맥에 지맥이며 단지 1,2증상만 있어도 모두 뜸을 뜰수 있고 양기가 아래로 꺼졌기 때문이다.
    若身熱惡熱, 時見躁作, 或面黃咽乾, 嗌乾, 口乾, 舌上黃赤, 時

    참고자료

    · 청나라때 편찬된 흠정사고전서欽定四庫全書 子部자부5, 醫家類의가류 29, 보제방普濟方, 명나라明, 주숙 周王朱橚 저, 영인본 대성문화사[현 대성의학사], 페이지40-43
    · https://blog.naver.com/homeosta
    · https://homeosta.upaper.kr/
    · www.steemit.com/@imagediet
    · https://www.youtube.com/user/homeosta1
    · https://www.youtube.com/@readerleading6474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이 자료 덕분에 ,복잡했던 과제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실질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완벽한 자료였습니다. 매우 추천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