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GOLD
GOLD 등급의 판매자 자료

보제방 410권 침구편 논보사설論補瀉說 한문 원문 및 한글번역

보제방 410권 침구편 논보사설論補瀉說 한문 원문 및 한글번역
6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25.09.27 최종저작일 2025.09
6P 미리보기
보제방 410권 침구편 논보사설論補瀉說 한문 원문 및 한글번역
  • 이 자료를 선택해야 하는 이유
    이 내용은 AI를 통해 자동 생성된 정보로, 참고용으로만 활용해 주세요.
    • 전문성
    • 신뢰성
    • 명확성
    • 유사도 지수
      참고용 안전
    • 📜 한의학의 고전적 침술 및 치료 원리를 깊이 있게 설명
    • 🔬 음양 이론과 질병 진단의 철학적 접근 제공
    • 🩺 고대 의학 텍스트의 원문과 상세한 해설로 학술적 가치 높음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보제방 410권 침구편 논보사설論補瀉說 한문 원문 및 한글번역

    목차

    없음

    본문내용

    腧者、陰也, 血也, 肉也 有形質也, 謹當刺此, 是爲陰中之陰也. (以去藏病).
    *以去藏病은 원문에 없다.
    수는 음이며 혈이며 육이며 형질이 있고 삼가 이를 자침하니 이는 음중의 음이다. 수혈로 5장병을 제거한다.  
    病在陽之陽者, 言六腑也, 刺陽之合.
    병이 양중의 양에 있음이란 6부를 말함이며 양경락 합혈을 자침한다.
    陽之合者, 通言六腑之中, 各有所入.
    양경의 합혈이며 6부의 중간에 소통해 각자 들어감이 있다.
    爲此一穴, 乃胃與癸腎也, 只合浮取中胃也, 用藥補以甘溫, 瀉以苦寒.
    이 1경혈은 위와 계인 신이니 단지 합혈[족삼리?]로 얕게 위를 취하니 달고 따뜻한 약을 사용해 보하고 쓰고 찬 약으로써 사한다.
    假令陽氣下陷, 入陰中, 當推而揚之.
    揚의 원문은 陽이다  
    가령 양이가 하함하여 음부에 들어가면 밀어서 들어올림이다.
      
    病在陽之陰者, 刺陰之經.(筋與骨病也)
    병이 양중 음에 있으면 음의 경락을 자침한다. 근육과 뼈의 병이다.
    刺陰之經, 若筋骨之邪, 在何布分, 誰家筋骨, 病於何藏, 各藏穴中有經穴.
    *部分의 원문은 布分이다.
    음 경락을 자침하면 만약 근육과 뼈 사기가 있으면 어떤 경락에 분포하고 어떤 계통의 근육과 뼈인지 병이 어느 5장에 있는지 각 5장이 경혈에는 경혈이 있다.
    經者氣也, 肺主諸氣, 散入五臟爲五經.
    경이란 기이며 폐는 여러 기를 주관해 흩어져 5장에 들어가서 5경이 된다.
    潔古 云:動而不休曰經.
    장결고가 말하길 움직임이 쉬지 않음을 경이라고 한다.
    此天元之正氣, 生萬物者也.
    이것이 천원의 정기이며 만물을 생성하는 자이다.  
    病在陰之陽者, 刺絡脈.
    병이 음에서 양으로 가면 낙맥을 자침한다.  
    (陽之陽者, 皮膚中見絡脈是也.)
    *陰之의 원문은 陽之이다.
    양이 양으로 감은 피부속에 드러나는 낙맥이 이것이다.
    絡脈者、奇邪也, 在五臟部分者、爲陰絡, 在六腑部分者、爲陽絡.
    낙맥은 기이한 사기이며 5장의 부분에 있으면 음락이 되며, 6부의 부분에 있으면 양락이 된다.
    《繆刺論》中說, 交經刺之, 宜三棱鍼出血, 是其法也.
    무자론속 설명은 경락을 교대로 자침하니 삼릉침으로 출혈이 의당하니 그 방법이다.  
    病在陽者、命曰風.
    병이 양에 있으면 풍이라고 이름한다.  
    此病在陽言者, 十二經受風也, 以高言、氣分也, 故身半以上, 風中之也, 用鍼當引而去之.
    이는 병이 양에 있음을 말함이며 12경맥이 풍을 받음은 높음을 말하고 기의 분야이니 그래서 상반신 이상 풍이 적중하는 곳으로 침을 사용해서 인도해 제거한다.
    又曰:散而去之, 用藥以辛溫法散, 通因通用.
    通因通用:從治法의 하나. 통하는 병증을 통하게 하는 약으로 치료하는 방법을 말한다. 예를 들면 음식에 체하여 설사를 하고 명치 밑이 더부룩하며 배가 불러오르면서 아플 때 설사약으로 치료하는 것, 어혈이 몰려서 생긴 혈붕(血崩) 때 어혈을 없애고 통하게 하여 치료하는 것, 濕熱邪로 생긴 빈뇨증(頻尿症) 때 소변이 잘 나오게 하여 치료하는 것 등이다.
    또 흩어져 제거함에 맵고 따뜻한 약을 써 발산법을 쓰니 소통에 기인해 통하는 약을 씀이다.
    又曰:熱因熱用是也.
    또 말하기를 열증에 뜨거운 약을 
    *熱因熱用:反治法[從治法]의 하나. 眞寒假熱證을 성질이 더운 약(熱藥)으로 치료하는 방법을 말함.望陽證으로 虛脫에 빠진 환자의 속에 陰寒이 왕성해서 陽氣가 몸의 표면(外表)으로 밀려나면서 볼이 벌개지고 속이 달아오르며, 불안해 하는 등의 假熱 증상이 나타날 때에는 성질이 더운 약인 白通湯[蔥白, 乾薑, 附子]에 猪膽汁을 더하여 달여서 차게 하여 복용한다. 
    病在陰者命曰痹.
    병이 음에 있으면 비라고 이름한다.  
    身半以上, 溫中之也.
    몸 절반 이상이면 중초를 온난하게 한다.
    《痹論》曰:飲食自倍, 腸胃乃傷.
    비론에서 말하길 음식을 스스로 배 이상 먹으면 위장이 손상한다.
    得之飲食勞倦, 脾胃氣虛而下溜, 運氣營氣不能升降經營心肺也.
    음식과 노권상으로 얻으면 비위기가 허하고 아래로 흘러 운기와 영기는 상승 하강으로 심과 폐를 경영을 못한다.  
    陰陽俱病, 命曰風痹.
    음과 양이 모두 병들면 풍비라고 한다.  
    (言陰陽氣血俱病也).
    음양 기혈이 모두 병들음을 말함이다.

    참고자료

    · 청나라때 편찬된 흠정사고전서欽定四庫全書 子部자부5, 醫家類의가류 39, 보제방普濟方, 명나라明, 주숙 周王朱橚 저, 영인본 대성문화사[현 대성의학사], 페이지24-40
    · https://blog.naver.com/homeosta
    · https://homeosta.upaper.kr/
    · www.steemit.com/@imagediet
    · https://www.youtube.com/user/homeosta1
    · https://www.youtube.com/@readerleading6474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정보가 풍부하고, 내용이 명확하게 정리되어 있어 과제를 작성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매우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