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NEW
업로드 2주 이내인 자료
GOLD
GOLD 등급의 판매자 자료

보제방 409권 침경표유부鍼經標幽賦한문 및 한글번역 10페이지

보제방 409권 침경표유부鍼經標幽賦 한문 및 한글번역 10페이지
10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25.09.21 최종저작일 2025.09
10P 미리보기
보제방 409권 침경표유부鍼經標幽賦한문 및 한글번역 10페이지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보제방 409권 침경표유부鍼經標幽賦 한문 및 한글번역 10페이지

    목차

    없음

    본문내용

    ‘推內進搓(비빌, 손으로 문지르다 차; ⼿-총13획; cuō)’는 침을 밀어넣을 때 서서히 비벼넣는 방법이고, ‘隨濟’는 經絡 흐름대로 침을 놓는 방법이며, ‘左’는 왼쪽으로 捻轉하는 방법이다.
    愼之! 大患危疾, 色脈不順而莫鍼;
    삼가라! 큰 질환, 위급한 질병은 안색과 맥이 순조롭지 않으니 자침하지 말라.
    寒熱風陰, 飢飽醉勞而切忌.
    추위, 더위, 바람과 흐리고 비오는날, 굶주림, 배부름, 취함, 과로한 환자는 자침이 절대 금기이다.
    望不補而晦不瀉, 弦不奪而朔不濟.
    *弦(활시위 현; ⼸-총8획; xuán) : 上弦은 작은 달에 初八日, 큰 달에 初九日이며 下弦은 작은 달에 二十二日, 큰 달에 二十三日이다.
    보름달에는 보하지 말고 그믐에는 사하지 말고 빼앗지 말고 상하현에는 빼앗지 말고 초하루에는 구제하지 말라.
    精其心而窮其法, 無灸艾而壞其皮; 正其理而求其原, 免投鍼而失其位.
    *皮의 원문은 肝, 位의 원문은 衛(지킬 위; ⾏-총16획; wèi)이다.
    마음을 정밀하게 하여 방법을 끝까지 구하고 쑥뜸으로 피부를 파괴하지 말라. 이치를 바로잡고 근원을 구해 침을 놓을때는 혈자리를 지킴을 잃지 말라.
    避灸處而加四肢, 四十有九;
    *處而加의 원문은 久而和이다.
    *避灸: 禁灸穴, 고전문헌마다 다소 차이가 있다. ≪十四經發輝≫에는 45穴, ≪東醫寶鑑≫에는 52穴, ≪鍼灸經驗方≫에는 49穴로 되어 있다.
    뜸을 피하는 곳은 사지에 49곳이 있다.
    禁刺處而除六俞, 二十有二.
    *禁刺: 禁針穴, ≪十四經發輝≫에는 22穴, ≪東醫寶鑑≫에는 34穴, ≪千金方≫에는 30穴, ≪鍼灸經驗方≫에는 34혈 등 고전문헌마다 禁針穴의 수가 서로 다르다.
    자침 금기하는 곳은 6개 수혈 뿐만 아니라 22개가 있다.
    抑又聞高皇抱疾未瘥, 李氏刺巨闕而得甦;
    또 질병을 앓을 때 아직 낫지 않아서 이씨가 거궐혈을 자침해 소생하게 했다.
    *李氏가 高皇을 治療하였다는 故事는 확인할 수 없다. 다만 ≪魏書≫에 “李修의 字는 恩祖인데 太和中에 禁內에 있으면서 高祖와 文明太后의 患候가 있을적에 鍼藥을 써서 많은 效果를 보았다.” 기록은 있으나 巨闕에 침놓았다는 일은 찾을 수 없다.
    太子暴死爲厥, 越人針維會而復醒.
    *越人:秦越人으로 別名이 扁鵲이다. ≪史記≫ 扁鵲倉公列傳에 “越人이 괵나라를 지날적에 괵태자가 죽었다한데……扁鵲이말하기를 太子처럼 아픈 病을 尸厥이라한다……太子는 아직 죽지 않았다……이에 弟子 子陽을 보내 三陽五會에 침을 놓아 조금 있으니 太子가 蘇生하자 子豹를 시켜 五分의 뜸을 뜨게하고……이십일이 지나자 다시 옛날처럼 회복되었다.”
    태자가 갑자기 죽은 듯해 궐랭하니 진월인 편작이 유회에 자침해 다시 깨어나게 했다.
    *神闕:穴이름. 임맥(任脈)에 속한다. 배꼽의 중심이다. 제중(臍中) · 기사(氣舍) · 기합(氣合) · 환곡(環谷) · 유회(維會)라고도 한다. 뇌출혈로 의식을 잃은 데[중풍(中風)], 탈항, 자궁하수(子宮下垂), 설사, 대장염과 소장염, 소아의 영양실조, 소화 불량증, 창자가 꼬이면서 아픈 데[장산통(腸疝痛)], 신염 등에 쓴다. (한의학대사전)
    肩井曲池, 甄權刺臂痛而復射;
    *肩의 원문은 痛이다
    견정과 곡지혈에 견권이 팔통증에 자침해 다시 활을 쏘게 했다.
    懸鍾環跳, 華佗刺躄足而立行.
    현종과 환도혈에 화타가 자침하니 절름발이가 곧 걷게 되었다.
    秋夫鍼腰俞, 而鬼起沈痾, 王纂針交俞而妖精立出.
    서추부는 요수를 자침하니 귀신의 묵은 병이 낫게 되었고 왕찬은 교수혈을 자침하니 요정이 곧 나가게 되었다.
    *秋夫: 徐秋夫는 六朝(宋)人으로 침을 잘 놓았다. 이 일은 ≪南史≫와 張部傳 및 ≪江南通志≫에 나온다.
    *疴(병 아; ⽧-총10획; kē) :痾(숙병 아; ⽧-총13획; ē,è) 숙병(宿病), 병이 더해지는 모양, 沉疴는 중병을 말한다.
    *王纂(왕찬) : 王纂은 ≪古今醫統≫에 “宋나라 海陵인으로 經方을 두루 보았고 鍼石에 정통하여 遠近에서 그를 알았으며 치료효과가 좋았다.”고 실려있다.
    *妖精(요정) : 요괴(妖怪), 요사스러운 귀신, 도깨비, 요귀
    刺肝俞與命門, 使瞽士視秋毫之末;
    *瞽(소경, 마음이 어둡다 고; ⽬-총18획;

    참고자료

    · 청나라때 편찬된 흠정사고전서欽定四庫全書 子部자부5, 醫家類의가류 29, 보제방普濟方, 명나라明, 주숙 周王朱橚 저, 영인본 대성문화사[현 대성의학사], 페이지17-19
    · https://blog.naver.com/homeosta
    · https://homeosta.upaper.kr/
    · www.steemit.com/@imagediet
    · https://www.youtube.com/user/homeosta1
    · https://www.youtube.com/@readerleading6474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과제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내용이 많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