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GOLD
GOLD 등급의 판매자 자료

보제방 409권평성혜방침경 서문 유주침경서문

보제방 409권 태평성혜방침경 서문 유주침경서문
5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25.09.21 최종저작일 2025.09
5P 미리보기
보제방 409권평성혜방침경 서문 유주침경서문
  • 이 자료를 선택해야 하는 이유
    이 내용은 AI를 통해 자동 생성된 정보로, 참고용으로만 활용해 주세요.
    • 전문성
    • 신뢰성
    • 명확성
    • 유사도 지수
      참고용 안전
    • 📚 중국 전통 의학의 심오한 침술 지식을 깊이 있게 다루는 고전 문헌
    • 🩺 침구 의학의 역사적 발전과 핵심 원리를 상세히 설명하는 전문 서적
    • 🕰️ 고대 의학 지식의 맥락과 철학적 배경을 이해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보제방 409권 태평성혜방침경 서문 유주침경서문

    목차

    없음

    본문내용

    이는 자침 이치가 더욱 이해가 어렵고 넓고 요점잡기가 어렵고 수고롭지만 공로가 적고 곤궁하여 통하게 하니 만가지 단서 광대함이 쌓여있다.
    近世指病直刺, 不務法者多矣.
    근세에 병에 직자한다고 하며 법을 힘쓰지 않음이 많다.
    近有南唐何公, 務法上古, 撰《指微論》三卷.
    근래에 남당의 하공이 상고시대 법을 힘써 유주지미론 3권을 편찬했다.
    探經絡之源, 順鍼刺之理, 明榮衛之清濁, 別孔穴之部分, 然未廣傳於世.
    경락의 근원을 탐구하고 자침의 이치를 따라 영위의 청탁을 밝히며 경혈의 부분을 구분해 세상에 아직 넓게 전하지 못했다.
    又近於貞元癸酉年間收何公所作《指微鍼賦》一道, 敘其首云, 皆按指微論中之妙理, 先賢秘隱之樞機, 復增多事, 凡百餘門, 悉便於討閱者也.
    *討閱:tǎo yuè 讨究核阅
    또 근래 정원 계유년에 하공이 만든 지미침부를 수집해 머리에 서술하길 모두 지미론속에 오묘한 이치를 지적해 선대 현인의 은비한 중추는 다시 많은 일을 더해 100여문이 되어 모두 보기에 편하다.
    非得《難》, 《素》不傳之妙, 孰能至此哉?
    난경 소문의 전해지지 않는 오묘함을 얻지 못하니 누가 이에 이르겠는가?
    廣不度荒拙, 隨其意韻, 輒申短說, 採摭羣經, 爲之注解.
    *荒拙; 황당무계(荒唐無稽)함
    널리 황당무계한 뜻을 벗어나지 못하고, 음운을 따라 곧 단전을 펼쳐 여러 경전을 채집해 주해를 했다.
    廣今復採《難》《素》遺文, 賈氏井滎六十首, 法布經絡往還, 復鍼刺孔穴部分, 鈐括圖形, 集成一義, 目之曰《流注經絡井滎圖歌訣》, 續於賦後.
    *钤(비녀장 검; ⾦-총9획; qián) 括(묶을 괄; ⼿-총9획; guā,kuò)[ qián kuò ] 搜集整理
    널리 지금 난경, 소문의 남은 문장을 다시 채집해 가씨의 정혈, 형혈 60수와 경락이 가서 돌아오는 펼치는 방법과 자침하는 경혈 부분을 회복하고 그림형체를 수집정리해서 한 뜻으로 모아 이루어 지목해서 유주경락정혈도가괄이라고 하여 부의 뒤에 연속 기록했다.
    非顯不肖之狂迷, 欲明何氏之用心, 致驗於人也.
    *啓의 원문은 欲이다.
    *狂迷:kuángmí1. 狂妄昏乱。2. 形容 迷恋之极。
    현달하지 못하고 불초한 하씨의 마음씀을 밝히고 타인 징험을 이르게 한다.
    自慮未備其善, 更祈明智, 仍懇續焉.
    스스로 사려하길 아직 선함을 보충 못하며 다시 명철하고 지혜있는자가 이어받길 간절히 바란다.
    常山閻明廣序
    상산의 염명광 서문 씀  
     
    又序
    또 서문  

    夫醫者以愈疾爲良, 其愈疾之理, 莫妙乎鍼.
    의사는 질병 치료를 좋게 여기며 질병 치유 이치는 침보다 오묘함이 없다.
    故知鍼者, 有決病之功, 立效之能.
    그래서 침을 알면 병의 공로를 결정하고 효능을 세울수 있다.
    且夫學鍼之士, 宜審而刺之, 莫縱巨瞻, 妄爲施設, 非徒無益, 而又害之.
    *且夫[qiěfú]그런데. 한편. 문맥을 다른 데로 돌릴 때 쓰이는 發語辭, besides; furthermore; moreover
    대개 침을 배우는 의사는 살펴 자침하고 마음놓고 크게 봐서 망령되게 시침하면 안되니 무익할뿐만 아니라 또 해가 된다.
    要在定孔穴以精於心, 是以取神功而應於手;
    *神功:1.신의 공적. 영묘한 공적.2. 뛰어난 공로.3.唐代 武后의 연호(A.D. 697). shéngōng
    요점은 마음에 정밀하게 경혈을 결정하면 그래서 뛰어난 공로가 손에 반응하게 된다.
    信知除疴見於目下, 決病在於手中.
    곧장 묵은 병 제거함알 알고 병을 손안에서 결정할 수 있다.
    是以軒岐開端, 越人知要;
    *开端[kāiduān]beginning; start=初步 chūbù발단(하다). 시작(하다). =起端, 起始, 起首
    그래서 황제 헌원과 기백이 단서를 열고 진월인이 요점을 알았다.
    《素問》隱其奧, 《難經》彰其妙, 況爲針者, 豈曰小補之哉,
    소문은 비밀을 숨기고 난경은 오묘함을 드러내니 하물며 자침하는 자가 어찌 조금 보할뿐이겠는가?  
    人受陰陽以生, 一歲之日有三百六十五日, 肢節亦分三百六十有五穴, 象周天之度也.
    *五日은 원문에 없다.  
    사람이 음양을 받아 살고 1년 날이 365일이 있고 사지 관절도 365경혈로 구분되어 하늘 도는 도수를 상징한다.
    若稽古神聖成天之功, 立民之命, 爰作鍼法,

    참고자료

    · 청나라때 편찬된 흠정사고전서欽定四庫全書 子部자부5, 醫家類의가류 29, 보제방普濟方, 명나라明, 주숙 周王朱橚 저, 영인본 대성문화사[현 대성의학사], 페이지3-5
    · https://blog.naver.com/homeosta
    · https://homeosta.upaper.kr/
    · www.steemit.com/@imagediet
    · https://www.youtube.com/user/homeosta1
    · https://www.youtube.com/@readerleading6474
  • 자료후기

      Ai 리뷰
      자료의 품질이 높고, 전문적인 내용이 많아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었습니다. 지식판매자에게 감사드리며, 계속해서 좋은 자료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8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