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성진. 『성장 · 빈곤 · 불평등과 사회지출의 상호관계 분석』. 고려대학교경제연구소, 2009.
· 구인회. 『한국의 소득불평등과 빈곤(소득분배 악화와 사회보장정책의 과제)』. 서울대 학교출판부, 2006.
· 권중돈 외. 『사회복지개론』. 학지사, 2016.
· 김성이. 『사회복지의 발달과 사상』.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2.
· 김영순. 『복지동맹 문제를 중심으로 본 보편적 복지국가의 발전 조건』. 한국정치학
· 회보 제46집, 2012.
· 김용태, “헌법질서 하에서 토지재산권 행사의 제한문제 – 토지공개념 논의를 중심으로 -”, 이화여자 대학교 법학논집 제18권 제1호, 2013.
· 김인춘 외. 『생산적 복지와 경제성장』. 아산정책연구원, 2013.
· 김적교. 『경제정책론』. 박영사, 2014.
· 김현경 외. 『시간제 일자리 확산이 소득불평등과 빈곤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사회 연구원, 2015.
· 남기민, 홍성로. 『사회복지법제론』. 공동체, 2017.
· 데런 애쓰모글루 · 제임스 A. 로빈슨, 최완규 譯,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 시공사, 2012.
· 박송규. 『사회복지법제론』. 법문사, 2003.
· 석현호. 『한국사회의 불평등과 공정성 의식의 변화』.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5.
· 앙드레 고르, 이현웅 譯, 『프롤레타리아여 안녕』 , 생각의 나무, 2013, 219-221면.
· 양정하. 『사회복지발달사』. 학현사, 2008.
· 이병희 외. 『경제적 불평등과 노동시장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13.
· 이양호. 『불평등과 빈곤』. 여성신문사, 2013.
· 이준영. 『사회복지행정론』. 학지사, 2016.
· 이준일, 『헌법과 사회복지법제』, 세창출판사, 2010.
· 전광석. 『한국사회보장법론』. 법문사, 2003.
· 정재훈. 『독일 복지국가와 사회복지서비스』. 집문당, 2007.
· 조원탁 외. 『사회복지법제론』. 양서원, 2017.
· 조흥식 외. 『대한민국 복지국가의 길을 묻다 – 바람직하고 지속 가능한 시민복지국가 를 향해』. 이매진, 2012.
· 존 롤즈, 황경식 譯, 『정의론』, 이학사, 2013.
· 최연혁. 『스웨덴 복지제도의 변화와 도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 하승수, 『나는 국가로부터 배당받을 권리가 있다』, 한티재, 2015.
· 홍기빈. 『비그포르스, 복지 국가와 잠정적 유토피아』. 책세상, 2011.
· 황준성. 『질서자유주의 독일의 사회적 시장경제』. 숭실대학교출판부, 2011.
· 구인회. “기초생활보장제도의 근로유인효과 개선방안.” 사회보장연구 제21권 제1호, 2005.
· 금영화. “사회정책의 역사적 발전과정에 관한 일고찰.” 사회과학, 제7권 제1호, 1995.
· 김남근. “공공부조와 사회보장기본법.” 한국사회보장법학회 학술대회지, 2012.
· 김미곤. “기초생활보장 대상자선정 및 자산조사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9.
· 김미곤 외, “외국의 공공부조제도 비교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0.
· 김성우, “국민기초생활보장법상 기초생활보장수급권 구제의 절차적 개선방안”, 한양법 학, 제27권 제1집, 2016.
· 김승미. “사회보장행정법상의 공공부조수급권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12.
· 김영란. “신빈곤의 발생구조와 빈곤정책 변화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제20권, 2004.
· 김정아. “미국의 분권화 경험과 사회복지.” 한국사회복지협의회 통권 162호, 2004.
· 김정희.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근대성과 탈근대성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
· 학위논문, 2010.
· 김철희. “빈곤층의 직업훈련과 실업급여 효과분석.” 사회보장연구 제20권 제1호, 2004.
· 류정순. “경제위기 이후의 불평등, 빈곤, 저소득층 삶의 질 변화.” 한국빈곤문제연구 소, 2009.
· 박능후. “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자의 근로동기 강화요인 연구.” 사회보장연구 제21권 제4호, 2005.
· 박석돈. “기초생활보장법상 급여의 보편성과 개별성.”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제13권 제2호, 2003.
· 박의연. “세계적 분배정의의 문제 - 분배정의를 통한 빈곤문제 해결의 가능성.”
· 범한철학, 2014.
· 손윤석. “국민기초생활보장법상 수급권 보호.” 경북대학교 법학과 박사논문, 2011.
· 송원근 외 공저, “주요국의 상속 · 증여세 최근 동향 및 시사점”, 한국경제연구원, 2013.
· 송호근. “빈곤노동계층의 노동시장구조와 정책.” 한국사회학 제36집 제1호, 2002.
· 심상용. “우리나라 근로빈곤가구 특성의 변화에 대한 실증연구.” 사회보장연구 제22 권 제4호, 2006.
· 윤성호. “빈민집단의 빈곤상황과 사회적 배제의 차이.” 사회복지정책 제22권, 2005.
· 윤찬영. “빈민에 관한 사회복지법의 문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논문집, 사회복지정 책 제7집, 1998.
· 이명구. “급부행정의 법적문제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법학논총 제7 권, 1990.
· 이명현. “사회복지에서의 부양의무에 관한 연구 - 한국과 일본의 부양의무제도의 적 용과 문제점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 2001.
· . “스웨덴 사회부조 정책의 전개와 과제”, 사회복지법제연구 통권 제3호 2012.
· 이상록. “지방분권화와 지방정부의 복지정책 선택-미국의 TANF 프로그램을 사례로.” 한국사회정책학회, 한국사회정책 제14권 제2호, 2007.
· 이상일. “영국 공공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재조직화.” 사회복지정책 제18권, 2004.
· 이성기. “미국 TANF의 근고소득공제가 수급자의 근로동기에 미치는 영향 분석.”
· 한국사회정책 제11집, 2004.
· 이재율, “헨리 조지와 존 롤스의 분배적 정의론 비교연구 : 최근의 복지 논쟁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한국사회과학연구 제31권 제1호, 2012.
· 이중호, “사회복지법의 개념과 법체계적 개선방안”, 동아법학 제68호, 2015.
· 이헌석. “사회보장수급권과 사회보장청구권.” 한국공법학회 공법연구 제26권 제1호, 1998.
· 이현주. “공공부조와 사회복지서비스의 체계분석 및 재편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3.
· .“스웨덴 공공부조제도의 현황과 이슈”, 보건복지포럼, 2016.
· 임진택. “미국 사회복지제도의 내용과 체계에 관한 고찰.” 지역복지정책 제19권, 2005.
· 전광석. “최저생활보장을 위한 법제도의 현황과 과제.” 한국사회정책연구, 1994.
· 정관영 외. “사회보장수급권에 대한 헌법 제37조 제2항의 위헌심사기준:
· 공공부조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사회보장법연구, 2014.
· 정유석, “상속 및 증여세 폐지와 자본이득세로의 전환 타당성에 대한 연구”, 국제회계연구 제27집, 2009.
· 조흥학.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사회적기본권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법학 연구소, 법학논총 제28호, 2004.
· 西部忠. 『資本主義はどこへ向かうのか』. NHKブックス, 2011.
· 広井良典. 『持續可能な福祉社會』. ちくま新書, 2006.
· . 『グロ-バル定常型社會』. 岩波書店, 2009.
· . 『ポスト資本主義 ―科学・人間・社会の未来–』. 岩波書店, 2015.
· 岡本裕豪. 『平等をめぐる議論と社会資本整備に関する一考察』. 国土交通政策研究第6号, 2001.
· Ally, Shireen. From servants to Workers: South African Domestic Workers and the Democratic State. Cornell University Press, 2009.
· Beveridge, William H. Social Insurance and Allied Service. London:
· Her Majesty's Stationary Office, 1942.
· Briggs Asa. The Welfare State in historical perspective. European
· Journal of Sociology2, 1961.
· Burno Amable, “The Diversity of Modern Capitalism”,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 Davis. Culp. Kenneth, “Discretionary Justice”, Louisiana State
· University Press, (1969).
· Fernand Braudel, “Civilization and Capitalism, 15th-18th century”, University
· of California Press, (1992).
· Flavin. J. Thomas, “The Functions of the Judicial Officer”, United
·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6 George Washington Law Review, (1958).
· Flora P & Alber J, “Modernization, Democratization, and the
· Development of welfare state in Europe”, Flora P & A. J, Heidenhermer. (1981).
· Friedlander A. W. & Apte Z. R, “Introduction to social Welfare”, 4th.
· ed(N.J. Prentice-Hall), (1974).
· Immanuel Wallerstein, “World-Systems Analysis: An Introduction”,
· Duke University Press, (2004).
· Glazer Nathan, “The American Welfare State”, Welfare and The State
· Vol. Ⅲ, (2004).
· Gough & Eardley, “Diverse System, Common Destination? A Comparat
· ive Study of Social Assistance in OECD Countries”, Paper for discussion at the annual meeting of Research Committee 19 of the International Sociological Association, (1996).
· Hayes F . L, “Non-Economic Aspect‘s of Poverty”, Australian Journalism of Social Issues 5, (1970).
· James Ferguson, “Give a Man a Fish (Reflections on the New Politics of Distribution)”, Duke University Press, (2015).
· Jones, Kathleen, “The making of social policy in Britain”, Athlone Press, (2000).
· Judge Ken, “The British Welfare State in transition”, Welfare and The
· State Vol. Ⅲ, (2004).
· Juhani Lehto, “Universal Public Social Care and Health Services?”,
· Mikko Kautto, Nordic Social Policy, (1999).
· Meinhard, “The Globalization-Welfare State Nexus Reconsidered”, Blac
· kwell Publishing Ltd, Review of international economics Vol. 20 No.2 (2012).
· Michael Sandel, “Public Philosophy(Essays on Morality in Politics)”, Harvard University Press, (2005).
· , “Justice: What's the Right Thing to Do?”, Farrar Straus & Giroux, (2009).
· OECD, “The OECD's Social Policy Brochure for Korea”, 2011.6.21., 19AUS.
· Peng Ito, “A fresh look at the Japanese Welfare State”, Social Policy and Administration 34(1), (2000).
· Peter Singer, “Ethics in the Real World”,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6).
· Rampmann J. R, “Approaches to the Reduction of Poverty”, Edward
· C. Buddced, Inequality and Poverty, (2002).
· Reich A. C, “The New Property”, 73 Yale L.J. 733, (1964).
· Scanlon, Thomas. “Rawls' theory of justice”, University of Pennsylvania Law Review, vol.121, (1973).
· Seeleib-Kaiser Martin, “The development of social assistance and une
· mployment insurance in Germany and Japan”, Social Policy and Administration 29(3), (1995).
· Stoesz David, “The American Welfare State at twilight”, Journal and
· Social Policy 31(3), (2002).
· Titumuss M. R, “The social division of welfare”, The philosophy of
· welfare, (1987).
· Valeria Fargion, “Timing and the Development of Social Care Service in
· Europe”, West European Politics 23(2), (2000).
· Veit-Wilson John, “States of Welfare”, Social Policy and Administration
· 34(1), (2000).
· Veit-Wilson, “poverty and adequacy of social security, in Introduction
· to social security: Policies, benefits and poverty”, edited
· by J. Ditch, London: Routledge, (1999).
· Weaver L. Russell, “Appellate Review in Executive Departments and
· Agencies”, Administrative Law Review 48, (1996).
· Williams Fiona, “Good-enough principles for welfare”, Journal and Soci
· al Policy 28(4), (1999).
· Lindenboim Javier, Juan Graña, Damián Kennedy, “Distribución funcional del ingreso en Argentina, Ayer y Hoy”, Documento de Trabajo Nro. 5. Buenos Aires: CEPED,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