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제
- 입원 환자와 보호자의 손위생 효과
2. 주제선정 이유
XX병원의 XX병동에서의 임상 실습 경험을 통해, 환자와 보호자의 손위생에서 여러 문제점을 발견하였고, 다음과 같은 이유로 주제를 선정하게 되었다.
첫째, 감염 예방의 기본 원칙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 상황을 임상 실습을 하며 실제로 자주 목격하였다. 특히 많은 환자들이 화장실을 사용한 후에도 손을 씻지 않았으며, 식사 전에도 손위생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단순한 위생 문제를 넘어, 환자 간의 교차 감염을 유발할 수 있는 심각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둘째, 보호자 및 간병인의 손위생 문제 역시 큰 우려 사항이다. 보호자나 간병인들이 손을 씻지 않고 환자와 접촉하거나 경구약을 다루는 모습을 빈번하게 목격하였다. 이는 환자들에게 직접적인 감염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며, 병동 내 전반적인 감염 위험도를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보호자들은 의료인보다 환자와 밀접하게 접촉하는 시간이 많기 때문에, 이들의 손위생이 지켜지지 않는다면 환자의 건강과 안전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
셋째, XX병동에서 코로나19 감염자가 지속적으로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해 병원 내 감염 예방 관리의 필요성이 더욱 절실해졌다. 특히, 병동 내에서 추가적인 감염자가 발생하면서 병원 내 확산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졌고, 이에 따라 간호부장님이 직접 현장에 방문하여 상황을 점검하는 일까지 발생하였다. 이 상황은 병원 내 감염 예방을 위한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함을 시사하며, 손위생이 그 중심에 있음을 보여준다.
· 김미나, 김진희, 배종면 (2017). 의료기관내 감염 예방을 위한 방문객 지침. 대한보건연구(구 대한보건협회학술지), 43(3), 109-114.
· 송민정 (2018). 입원환자 보호자의 손위생 관련 인식 및 수행. 국내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4-63.
· 김수경 (2024). 입원환자의 손위생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국내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28-52.
· Kaveh, M. H., Motamed-Jahromi, M., & Hassanipour, S. (2021).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in Improving Hand Hygiene Compliance: A Meta-Analysis and Logic Model. The Canadian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s & medical microbiology = Journal canadien des maladies infectieuses et de la microbiologie medicale, 4-29.
· Ahmadipour, M., Dehghan, M., Ahmadinejad, M., Jabarpour, M., Mangolian Shahrbabaki, P., & Ebrahimi Rigi, Z. (2022). Barriers to hand hygiene compliance in intensive care uni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 qualitative study. Frontiers in public health, 10, 968231. https://doi.org/10.3389/fpubh, 12-36.
· Aiello, A. E., Coulborn, R. M., Perez, V., & Larson, E. L. (2008). Effect of hand hygiene on infectious disease risk in the community setting: a meta-analysi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8(8), 1372–1381.
· 최고운, 이진홍, 김동미, 최영주 (2019). 이미지 스캐너를 이용한 손위생 질평가. 국립암센터. 1.
· [직원교육] 요양보호사 손위생 교육. (2023, December 24). 김해한솔재활요양병원. http://www.ghhansol.co.kr/bbs/board.php?bo_table=hansol&wr_id=312
· 환자와 나를 위한 적절한 손 위생 방법[환자설명자료]. (2018, October 30). 삼성서울병원. https://www.youtube.com/watch?v=dVOYg5-xuz8
· 감염병 예방 위해 손 위생 교육 실시. (2023, November 23).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 https://www.schmc.ac.kr/cheonan/selectBbsNttView.do?key=894&bbsNo=255&nttNo=259376&searchCtgry=&searchCnd=all&searchKrwd=&pageIndex=3&integrDeptCode
· 10월 간병사 교육(감염 관리 교육-손 위생 교육). (2023, October 30). 드림솔병원. http://www.jjsol-hospital.co.kr/bbs/sub6_4/32611
· 한미희 (2019). 요양병원 간병인력의 손위생 이행 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 계획된 행위이론을 근거로. 목포대학교 간호대학원. 22-51.
· 남궁송희 (2022). 간 이식 병동 입원환자 보호자의 손위생 수행 실태. 서울대학교 간호대학원. 5-61.
· A. Dick,C.M. Sterr,L. Dapper,C. Nonnenmacher-Winter,F. Günther (2023). Tailored positioning and number of hand rub dispensers: the fundamentals for optimized hand hygiene compliance. Journal of Hospital Infection.
· 염영희 외. (2023). 개정 8판 학습성과기반 간호관리학. 수문사. 573-588.
· 한국희, 한우석, 김진경 (2019). 요양병원 인증제 시행이 환자안전 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손위생을 중심으로. 서비스경영학회지 20, 2, 303-320.
· 박정애, 양남영 (2018). 노인요양병원 간호인력의 손위생 시행시점에 관한 지식 및 이행. 가정간호학회지. 25, 2, 165-174.
· 차경숙, 고지운, 한시현, 정경희 (2018). 간호사의 손위생 지식, 인식 및 자가 보고 손위생 수행률에 대한 조사 연구. 중환자간호학회지. 11, 1, 101-109.
· 이용균, 신현희 (2017). 국내병원의 유형별 손위생 수행실태 조사분석.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23, 3, 9-17.
· 정선영, 김옥선, 최정화, 이소진 (2018). 국내 요양병원 감염관리담당자의 감염관리 업무, 업무 수행 시 어려움과 교육 요구. 보건사회연구, 38, 3, 331-362.
· 정선영, 김옥선, 김경미 (2020). 요양병원 감염관리실무담당자를 위한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효과. 재활간호학회지, 23, 2, 158-166.
· 김유정, 박정숙 (2020). 근거기반 요양병원 감염관리 가이드라인 수용개작 및 효과검증. 노인간호학회지, 22, 4, 371-383.
· 이지혜, 심미옥, 박형란, 김경미 (2021). 요양병원 요양보호사의 감염 환자 돌봄 경험. 재활간호학회지, 24, 2, 154-163.
· 박정혜 (2021). 병원 입원 경험이 있는 노년층의 환자 만족도 관련 요인.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3, 4, 1865-1876.
· 안전한 병원생활 안내. (n.d.).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https://m.cmcujb.or.kr/page/board/hospital_life/456487?p=1&s=5&q=%7B%7D
· 이주영. (2019, September 8). 일산복음요양병원 “손위생” 라운딩. 의료&복지 뉴스. http://www.mediwelfare.com/news/articleView.html?idxno=13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