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LVER
SILVER 등급의 판매자 자료

연하장애, 영양부족 케이스 작성 가이드 (객관적 자료, 주관적 자료, 간호과정, 평가)

연하장애, 영양부족에 대한 객관적 자료, 주관적 자료, 간호과정, 평가 작성하였습니다. 학교 팀플 과제였는데 교수님이 진단에 포함될 수 있는 자료 다 작성하라고 하셔서 너무 힘들었던 기억이.. ㅜㅜ 케이스 간호진단 연하곤란(장애)랑 영양부족으로 잡았다면 이거 보고 작성하시면 도움 많이 될거예요
28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25.06.08 최종저작일 2023.12
28P 미리보기
연하장애, 영양부족 케이스 작성 가이드 (객관적 자료, 주관적 자료, 간호과정, 평가)
  • 미리보기

    소개

    연하장애, 영양부족에 대한 객관적 자료, 주관적 자료, 간호과정, 평가 작성하였습니다. 학교 팀플 과제였는데 교수님이 진단에 포함될 수 있는 자료 다 작성하라고 하셔서 너무 힘들었던 기억이.. ㅜㅜ
    케이스 간호진단 연하곤란(장애)랑 영양부족으로 잡았다면 이거 보고 작성하시면 도움 많이 될거예요

    목차

    #1 간호진단 : 연하장애
    1.정의
    2.객관적, 주관적 자료
    3.진단 목표
    4.평가기준
    5.계획, 중재 및 이론적 근거
    6.평가결과

    #2 간호진단 : 영양부족
    1.정의
    2.객관적, 주관적 자료
    3.진단 목표
    4.평가기준
    5.계획, 중재 및 이론적 근거
    6.평가결과

    본문내용

    # 간호진단1: 연하장애
    진단을 내리기 위해 필요한 사정자료
    - 주관적 자료:
    “요즘 자주 기침이 나오고 사레가 들려요”
    “식사 시 숨이 막히거나 통증이 느껴져요”
    - 객관적 자료:
    - VFSS(비디오투시연하검사)를 실시한 결과 (※결과는 Level 1~7로 나눠짐)
    *level 1> 입으로는 안전한 식이가 모두 불가능한 상태 (비위관, 위루관)
    *level 2> 구강섭취(영양 및 수분)가 안전하진 않으나, 점도 높은 것은 가능 (대체식이 필요)
    *level 3) 구강섭취는 50%미만으로, 대체 식이 필요
    *level 4) 삼키는 것 가능한데 tube feedling 여전히 필요
    *level 5) 적은 식이 제한, 구강섭취만으로 영양&수분 충족 가능
    *level 6) 독립적으로 구강섭취 가능하나, 특정 음식은 피하기 (팝콘, 견과류 등)
    *level 7) 구강섭취에 어떤 제한도 없음
    - 표준화된 연하검사(SSA)를 실시한 결과 (급성기 뇌졸중 환자(stroke patient)들에 사용하고 3가지 단계 중 하나라도 문제가 있다면 비정상으로 측정됨.
    *1단계에서는 환자가 선별검사 자체를 받을 수 있는 신체적 상태인지 확인하는 두 가지 질문
    (환자가 지시에 따를 수 있고, 목을 가누며 앉을 수 있음)
    *2단계에서는 환자의 기능을 평가 (환자가 기침을 할 수 있는지, 타액을 조절할 수 있는지,
    아래 위 입술을 빨 수 있는지, 호흡을 잘하는지 등을 확인)
    *3단계에서는 물 연하검사를 실시 (물 1티스푼을 주고 기침이나, 질식, 무호흡, 젖은 목소리
    등의 변화가 없는지 살펴보고 문제가 없으면 두 번째, 세 번째 티스푼을 시도함. 그래도 문
    제가 없다면, 물 반 컵을 마시게 한 후 살펴봄)
    - 연하곤란 평가도구(GUSS, Gugging Swallowing Screen)로 사정한 연하곤란 점수(어떤 세부 항목에도 이상이 없는 경우 20점이 되고 연하곤란이 심할수록 점수가 줄어들게 된다.)
    - 3온스 물 연하검사 결과 (물을 마시는 중에 혹은 다 마신 후 1분 이내에 반사성 기침을 하거나 물을 마신 후 젖은 음성이 관찰되면 비정상으로 채점됨)
    - ASHA NOMS 연하척도 결과 낮은 단계
    - 갑상선 수술, 식도 부위 수술을 함
    - 식도종양이나 식도폐색 진단을 받음
    - 뇌신경마비가 있음(5.7.9.10.12N)
    - 구역반사가 감소 또는 사라져 있음
    - 저작력이 악화돼 있고 저작과 관련된 근육이 편위돼 있음
    - 연하곤란의 증거를 보임(기침, 질신, 음식물을 삼키지 않고 입 안에 물고 있음)
    - 퇴행성 질환과 뇌혈관 질환이 있을 때
    - 항암 약물 치료 부작용
    - 노화
    - 침을 많이 흘리는 것을 관찰함

    진단의 목표: 대상자는 흡인의 증상이 보이지 않고, 증가된 연하기능을 보여. 안전하게 음식을 섭취하는 능력을 보인다.

    참고자료

    · 신지철ㆍ김덕용 (2009). Gugging Swallowing Screen과 기타 연하곤란 선별검사와의 비교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재활의학교실 및 재활의학연구소. Brain & N euroRehabilitation Vol. 2
    · 연세 방문 재활 운동 센터. " 연하장애 재활치료 음식 예방 및 관리 " https://yons-rehabilitaion.tistory.com/entry/%EC%97%B0%ED%95%98%EC%9E%A5%EC%95%A0-%EC%9E%AC%ED%99%9C%EC%B9%98%EB%A3%8C-%EC%9D%8C%EC%8B%9D-%EC%98%88%EB%B0%A9-%EB%B0%8F-%EA%B4%80%EB%A6%AC
    · 박용화 Ph.d (2011). , RN . 삼킴곤란 환자의 간호 . J. 대한삼킴곤란 Soc. 2011;1:50-53.
    · 박윤길ㆍ차태현ㆍ정민예(2011). 연하장애환자를 위한 연하재활치료. 연세의대 강남세브란스병원 재활의학과. Journal of the Korean Dysphagia Society 2011;1:31-38
    · 윤인진. "연하기능 향상을 위한 재활 치료 방법." 대한연하장애학회지 2.1 (2012): 8-13.
    · 이미경. "연하장애 노인환자의 가정간호." 대한연하장애학회지 6.2 (2016): 60-65.
    · Young-Ah Choi,고성화,Jong Moon Kim,박은정,Jong Bum Park,이경희,이자호,임상희,조정해,Eun Young Han,and 김민욱. "대한연하장애학회 구인두 연하장애 권고안." 대한연하장애학회지 10.1 (2020): 31-46.
    · 삼성 서울병원 영양팀http://www.samsunghospital.com/dept/medical/dietarySub01.do?content_id=628&DP_CODE=DD2&MENU_ID=002&ds_code=D0004352
    · 조유경 ( Yu Kyung Cho ). "식도 삼킴곤란의 약물 치료." 대한소화기학회지 77.2 (2021): 71-76.
    · 보건복지부 국립재활원 “ 가정에서 할 수 있는 연하재활운동 및 주의사항”https://www.nrc.go.kr/portal/board/boardView.do?no=17045&fno=58&menu_cd=09_02_00_02&bn=galleryView&bno=17045
    · 한국정맥경장영양학회. 영양집중지원 진료지침. 경장영양 4p
    · 편성범. "뇌졸중 후 연하장애에서 장관영양법의 선택." 대한연하장애학회지 4.1 (2014): 6-10.
    · 양승애외(2016), 임상간호와 영양, 정담미디어, p.142, p.144, p.158, p.159
    · 지식백과. 조작적 조건 형성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118698&cid=41991&categoryId=41991
    · 한국메디칼푸드. 연하곤란식 가이드북https://medifoods.co.kr/html/medifood01_2.html
    ·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뇌신경재활센터. 연하장애 질환관련 정보.https://www.snubh.org/dh/main/index.do?DP_CD=BCD8&MENU_ID=005004
    · 송영애,범지현,함영선,and 김상희. "뇌졸중 환자에게 제공한 연하곤란 간호중재 프로그램 효과." 임상간호연구 17.3 (2011): 340-348.
    · 윤화영. "노화에 따른 구강기 연하 장애 환자의 식사 조절." 대한연하장애학회지 6.1 (2016): 20-25.
    · 윤지혜, 이현정 삼킴장애 진단과 치료에 대한 언어치료전공자의 인식 및 현황, 말소리와 음성과학 제5권 제 4호, 2013
    · 김원경. "연하장애에서의 식사 조절." 대한연하장애학회지 1.1 (2011): 47-49.
    · 김애경외 (2017), 기본간호학Ⅰ, 계축문화사
    · 백지영, 신경계 손상 노인 환자의 연하곤란의 특징에 대한 연구, 보바스기념병원 작업치료실, 2007
    · 범재원, 뇌질환 환자에서의 연하곤란 치료법,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대학교병원 재활의학과, 2012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해당 자료는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고, 내용이 풍부하여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정말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