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TINUM
PLATINUM 등급의 판매자 자료

영국 구빈법상 구조를 받을 권리(right to relief)의 형성에 관한 고찰

"영국 구빈법상 구조를 받을 권리(right to relief)의 형성에 관한 고찰"에 대한 내용입니다.
21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25.06.02 최종저작일 2025.06
21P 미리보기
영국 구빈법상 구조를 받을 권리(right to relief)의 형성에 관한 고찰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영국 구빈법상 구조를 받을 권리(right to relief)의 형성에 관한 고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I. 서 설
    II. 영국 구빈법의 연혁
    III. 구조를 받을 권리의 구체화 과정
    Ⅳ. 구빈법 제도의 쇄락과 폐지
    V. 우리나라 공공부조법을 비롯한 복지제도에 대한 시사점
    Ⅵ. 결 론

    본문내용

    ‘시민이 공적 부조를 받을 수 있는 권리’와 관련하여 영국에서는 생존권 보장의 관점에서 논의를 전개해 온 것이 아니라 보통법(common law)의 원리에 입각하여 자연법에 기초해서 앵글로색슨족의 전통에 따른 행정집행과 연관시켜서 앵글로색슨 국가의 법철학에 내재하는 자연법 이념에 입각하여 ‘시민이 공적 부조를 받을 수 있는 권리’를 국가이전에 존재하는 천부인권으로 이해하고 있다.
    영국의 옛 구빈법이 빈민자에 대해 억압적이고 강제적인 성격을 지니고 지역 교구에서 임의적으로 관리되어 왔음에 반해 1834년 새 구빈법은 이전과 달리 벤담의 공리주의와 정주법(定住法)의 연관성의 견지에서 생활 곤궁자의 right to relief를 보장하여 권리보장의 기초 하에 열등처우의 원칙이나 작업장 수용의 원칙이 이루어졌다. 영국의 구빈법은 현대 복지국가의 원리와 노령연금 및 국민보험을 포함한 다양한 사회복지 제도의 도입으로 현재는 시행되지 않고 있지만 생활 곤궁자가 이 제도를 통해 구제받을 수 있는 권리(right to relief)를 공리주의라는 철학적 기초와 길버트법(Gilbert Act)의 긴급구제를 위한 부조의무를 인정하는 제도적 토대를 통해 인정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구빈법상의 열등처우의 원칙과 작업장 우선의 원칙도 개인에 대한 억압과 강제의 입장이 아니라 구조(救助) 대상자(client)의 right to relief를 구현해 주기 위한 입장으로 발전될 수 있었다. 이후 사회복지국가의 원리 및 사회적 기본권을 도입하고 발전시켜 가는 과정에서 구빈법의 기본사상이 인간다운 생활을 보장하기 위한 기초가 되었고 이는 우리나라의 공공부조법의 발전에도 영향을 주었다.
    현행 국민기초생활보장법 등 생존권 보장을 바탕으로 하는 우리 실정법은 시민의 권리를 ‘사회권’화하여 이에 대한 법적 해석을 통해 이론을 구성해가는 대륙법의 영향을 받았다고 할 수 있으며, 특히 독일 바이마르 공화국 헌법의 사회적 기본권에서 기원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시민이 공적 부조를 받을 수 있는 권리’의 헌법적 근거인 일본 헌법 제25조 및 우리헌법 제34조는 독일법 이론에 앵글로색슨적 운영이 혼합된 형태로 주로 물질적 최저 생활을 적절히 보장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수렴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참고자료

    · 김성이, “사회복지의 발달과 사상”,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2).
    · 김영순, “복지동맹 문제를 중심으로 본 보편적 복지국가의 발전 조건”, 한국정치학회보 제46집 제1호, (2012).
    · 양정하, “사회복지발달사”, 학현사, (2008).
    · 원종찬, “英國의 救貧法과 社會保險 形成에 관한 考察”. 전북대학교 산업경제연구소 논문집, 20, (1990).
    · 정구복, “한국중세사상사”, 집문당, (1999).
    · 홍기빈, “비그포르스, 복지 국가와 잠정적 유토피아”, 책세상, (2011).
    · 황준성, “질서자유주의 독일의 사회적 시장경제”, 숭실대학교출판부, (2011).
    · Baker, John Hamilton, “The Oxford History of the Laws of England: 1483-1558”,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 Blaug, Mark, “The Poor Law Report Reexamined, The Journal of Economic History”, Vol.24, No.2, (1964).
    · Boyer, George R., “An Economic History of the English Poor Law, 1750–1850”,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 Byrne, Joseph Patrick, “The black death”, ABC-CLIO, (2012).
    · Cartwright, Frederick F., “Disease and History”, New York: Barnes & Noble., (1991).
    · Crowther, M.A., “The workhouse system, 1834–1929”, Taylor & Francis Ltd., (2016).
    · Englander, D., “Poverty and Poor Law Reform in 19th Century Britain: From Chadwick to Booth, 1834–1914”, Crime, Histoire & Sociétés, (1998).
    · "Five Hundred Years of English Poor Laws, 1349–1834: Regulating the Working and Nonworking Poor," Akron Law Review 30, (1996).
    · G. R. Elton, “An Early Tudor Poor Law,” Economic History Review, (1953).
    · Huzel, James, Malthus, “The Poor Law, and Population in Early Nineteenth-Century England”, University of Kent, The Economic History Review Volume 22 Issue 3, (2008).
    · Jones, Kathleen, “The making of social policy in Britain”, Athlone Press, (2000).
    · Keith D. Ewing, “The right to strike”, Clarendon Press, (1991).
    · Knott, J, “Popular Opposition to the 1834 Poor Law”, The American Historical Review, (1988).
    · Lynn Hollen Lees, “The Solidarities of Strangers: The English Poor Laws and the People, 1770–1948,”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 Lewis C. Vollmar, Jr., “The Effect of Epidemics on the Development of English Law from the Black Death Through the Industrial Revolution,” Journal of Legal Medicine, Vol.15 (1994).
    · M. A. Crowther, “The workhouse system 1834–1929”, ENGLISH HISTORICAL REVIEW, (1986).
    · Morgan, Kenneth O ., “George Lansbury: at the heart of Old Labour by John Shepherd – Reviews, Books”, London: The Independent, (2002).
    · Philip J. Stern, Carl Wennerlind Eds., “Mercantilism Reimagined: Political Economy in Early Modern Britain and Its P. Slack, “The English Poor Law, 1531-1782,”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 Rees, Rosmary, “Poverty and Public Health 1815–1948”, Pearson Education Limited, (2001).
    · Rose, Michael E., “The English Poor Law, 1780–1930”, Newton Abbot: David & Charles, (1971).
    · R. O. Bucholz, Newton Key, “Early modern England, 1485–1714”, Blackwell Publishers, (2003).
    · Sidney and Beatrice Webb, “English Poor Law History Part 1: The Old Poor Law,” Frank Cass and Co., (1963).
    · 大沢真理(一九八六),「イギリス社会政策史  救貧法と福祉国家」東京大学出版社.
    · 矢野聡(二〇〇八),「ワークハウス概論⑴」,『政経研究』第四五巻第二号,日本大学政経研究所.
    · ,「ジェレミー・ベンサムの救貧思想│旧救貧法から近代社会政策へ」日本大学法学会,
    · 『日本法学』第七十四巻第一号.
    · ,「イギリス救貧法におけるright to reliefの形成について-新救貧法の成立まで-」 
    · 日本大学法学会、『日本法学』, 第七十八巻第二号.
    · ,「イギリス救貧法原理の形成過程に関する研究」日本大学政経研究所,『政経研究』
    · 第四八巻第一号.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과제에 직접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내용이 많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계속 좋은 자료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