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AMOND
DIAMOND 등급의 판매자 자료

언어상실증(실어증)

언어상실증(실어증)
13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25.05.24 최종저작일 2025.05
13P 미리보기
언어상실증(실어증)
  • 미리보기

    소개

    언어상실증(실어증)

    목차

    1. 정의
    2. 원인
    3. 주요유형
    4. 진단방법
    5. 신경학적 배경
    6. 치료 및 재활
    7. 사회적 및 심리적 영향
    8. 한국과 영어권 국가의 치료 접근 방식 차이
    9. 최신 연구 동향
    10.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정의

    실어증(失語症, aphasia)은 정상적으로 언어능력을 습득했던 사람이 뇌 손상으로 인해 언어 표현 및 이해 능력을 상실하거나 크게 손상받은 상태를 의미한다. 즉, 이전까지 말하고 이해하는 데 문제가 없던 사람이 뇌의 국소 병변으로 인해 말을 하거나 남의 말을 이해하지 못하게 된 상태를 가리킨다. 이때 언어장애 전체가 아닌 후천적 언어장애만을 지칭한다는 점에서, 발달 과정에서 언어를 습득하지 못한 경우(예: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언어지연 등)나 말더듬, 조음 장애 등과 구분된다. 실어증에서는 말하기, 듣고 이해하기, 읽기, 쓰기 등 언어를 통한 의사소통의 모든 측면에 걸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질병관리청, n.d.). 다만 발성 기관이나 청각 자체의 이상으로 인한 언어 문제는 실어증에 포함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성대의 손상으로 목소리를 낼 수 없다든지, 청력 손실로 말을 알아듣지 못하는 경우는 실어증이 아니라 별개의 문제로 간주된다. 실어증 환자는 주로 말을 하거나 이해하는 능력에 국한된 장애를 보이며, 먹고 삼키거나 기본적인 발성(예: 울음소리 내기 등)에는 문제가 없는 것이 일반적이다 (Le et al., 2024). 요약하면, 실어증은 정상 언어기능을 유지하던 사람이 후천적인 뇌 손상 후에 보이는 언어소통능력의 상실을 뜻하며, 선천적 언어장애나 말초기관의 장애와 구별되는 임상 용어이다.

    2. 원인

    실어증의 원인은 뇌의 언어중추를 손상시키는 모든 요인들을 포함한다. 가장 대표적이고 흔한 원인은 뇌졸중(뇌혈관 사고)이다. 허혈성 뇌졸중(뇌경색)이나 출혈성 뇌졸중(뇌출혈)으로 좌측 대뇌 반구의 언어 담당 부위에 손상이 발생하면 갑작스럽게 실어증 증상이 나타난다.

    참고자료

    · 손은남, & 이옥분. (2022). 국내 성인 실어증 치료 동향에 관한 문헌 고찰. 인문사회 21, 13(6), 2053-2066.
    · Berthier, M. L., & Dávila, G. (2023). Pharmacotherapy for post-stroke aphasia: what are the options?. Expert Opinion on Pharmacotherapy, 24(11), 1221-1228.
    · Brady, M. C., Kelly, H., Godwin, J., Enderby, P., & Campbell, P. (2016). Speech and language therapy for aphasia following strok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6).
    · Crosson, B., Moore, A. B., Gopinath, K., White, K. D., Wierenga, C. E., Gaiefsky, M. E., ... & Rothi, L. J. G. (2005). Role of the right and left hemispheres in recovery of function during treatment of intention in aphasia. Journal of cognitive neuroscience, 17(3), 392-406.
    · Kao, S. K., & Chan, C. T. (2024). Increased risk of depression and associated symptoms in poststroke aphasia. Scientific Reports, 14(1), 21352.
    · Marshall, C. R., Hardy, C. J., Volkmer, A., Russell, L. L., Bond, R. L., Fletcher, P. D., ... & Warren, J. D. (2018). Primary progressive aphasia: a clinical approach. Journal of neurology, 265, 1474-1490.
    · Raymer, A. M., & Johnson, R. K. (2024). Effectiveness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as an Adjuvant to Aphasia Treatment Following Stroke: Evidence From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33(6S), 3431-3443.
    · Wilson, K. M. (2015). The impact of stroke and aphasia on quality of life (Doctoral dissertation).
    · 서승연. (2021). “언어재활 대상자들의 일상과 사회 복귀를 꿈꿉니다”. 더나은미래.
    · https://futurechosun.com/archives/59217
    ·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s://health.kdca.go.kr/
  • AI와 토픽 톺아보기

  • 자료후기

      Ai 리뷰
      실어증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함께, 최신 연구 동향 및 치료 접근법의 국제적 비교 등 다양한 관점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