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LD
GOLD 등급의 판매자 자료

근거기반간호 EBP 보고서, 논문요약 및 평가, 흐름도 포함 (A+)

"근거기반간호 EBP 보고서, 논문요약 및 평가, 흐름도 포함 (A+)"에 대한 내용입니다.
11 페이지
워드
최초등록일 2025.01.31 최종저작일 2024.11
11P 미리보기
근거기반간호 EBP 보고서, 논문요약 및 평가, 흐름도 포함 (A+)
  • 미리보기

    소개

    "근거기반간호 EBP 보고서, 논문요약 및 평가, 흐름도 포함 (A+)"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EBP의 배경 및 필요성
    1) 상황요약
    2) 배경 및 필요성

    2. 임상질문 만들기
    1) 배경질문(Background Question and answer)
    2) 구체적 질문(Foreground Question)
    3) PICO 작성: 임상상황에서 일차적인 PICO 작성

    3. 근거검색
    1) 문헌 검색 전략
    2) 흐름도
    3) 문헌 선정 결과표

    4. 문헌의 질평가

    5. 권고안 작성

    6. 참고문헌

    본문내용

    1. EBP의 배경 및 필요성
    1) 상황요약
    실습에서 여러 환자들이 시간에 맞춰 혈당을 측정하는 모습을 관찰했다. 이 과정에서 환자들은 혈당 검사를 위해 반복적으로 피부 찔러야 했다. 이로 인한 통증과 불편함을 호소하고, 자주 혈당을 측정해야 하는 것에 대해 부담을 느끼고 있었다. 혈당 검사와 관련하여 환자들이 신체적, 정서적 스트레스를 겪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간헐적 혈당 측정(SMBG) 방법은 혈당의 일시적인 수치만을 제공할 뿐, 혈당 변동을 지속적으로 추적할 수 없다. 이로 인해 환자들은 효과적인 자가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최근 지속적인 혈당 모니터링(CGM)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CGM은 혈당 변화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환자가 보다 능동적으로 혈당을 조절할 수 있도록 돕는다. 따라서 CGM이 SMBG과 비교하여 제2형 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HbA1c)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는 임상질문을 하게 되었다.

    2) 배경 및 필요성
    최근 지속적인 혈당 모니터링(CGM)이 제2형 당뇨병 환자 혈당 관리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CGM은 혈당 변화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어 환자가 능동적으로 혈당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CGM은 저혈당 및 고혈당 경고 기능이 있다. 이 기능은 환자가 혈당 수치를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돕고, 심각한 저혈당 발생 위험을 줄이는 데 기여한다. 또한, 혈당 관리는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합병증 예방에도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CGM의 효과를 SMBG와 비교하여 평가하는 것은 환자의 삶의 질 향상에 필수적이다.

    2. 임상질문 만들기
    1) 배경질문(Background Question and answer)
    (1) 지속적 혈당 모니터링(CGM)이란 무엇인가?
    지속적 혈당 모니터링(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CGM)은 혈당의 지속적인 변동을 추적하는 시스템으로, 혈당을 피하에서 측정하는 센서, 측정된 혈당값을 전송하는 송신기, 전송된 값을 받아서 화면으로 혈당값을 보여주는 수신기로 이루어져 있다.

    참고자료

    · Yaron, M., Roitman, E., Aharon-Hananel, G., Landau, Z., Ganz, T., Yanuv, I., ... & Raz, I. (2019). Effect of flash glucose monitoring technology on glycemic
    · control and treatment satisfaction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Diabetes Care, 42(7), 1178-1184.
    · Wada, E., Onoue, T., Kobayashi, T., Handa, T., Hayase, A., Ito, M., ... & Arima, H. (2020). Flash glucose monitoring helps achieve better glycemic control than conventional self-monitoring of blood glucose in non-insulin-treated type 2 diabete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BMJ Open Diabetes Research and Care,
    · 8(1), e001115.
    · Martens, T., Beck, R. W., Bailey, R., Ruedy, K. J., Calhoun, P., Peters, A. L., ... & MOBILE Study Group. (2021). Effect of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on glycemic control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treated with basal insulin: a randomized clinical trial. Jama, 325(22), 2262-2272.
    · Ajjan, R. A., Heller, S. R., Everett, C. C., Vargas-Palacios, A., Higham, R., Sharples, L., ... & Stocken, D. D. (2023). Multicenter randomized trial of intermittently scanned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versus self-monitoring of blood glucose in individuals with type 2 diabetes and recent-onset acute myocardial
    · infarction: results of the LIBERATES trial. Diabetes Care, 46(2), 441-449.
    · Moon, S. J., Kim, K. S., Lee, W. J., Lee, M. Y., Vigersky, R., & Park, C. Y. (2023). Efficacy of intermittent short‐term use of a real‐time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in non‐insulin–treated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Diabetes, Obesity and Metabolism, 25(1), 110-120.
    · Lever, C. S., Williman, J. A., Boucsein, A., Watson, A., Sampson, R. S., Sergel‐Stringer, O. T., ... & Paul, R. G. (2024). Real time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in high‐risk people with insulin‐requiring type 2 diabetes: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Diabetic Medicine, e15348.
    · Chandran, S. R., Rahman, N., Gandhi, M., Tan, N. C., Phoon, I. K., Seah, D. E., ... & Gardner, D. S. L. (2024). Intermittently scanned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provides no benefit over structured self-monitoring of blood glucose in type 2 diabetes not on prandial insulin, in the context of diabetes self-management
    · education: GLucose monitoring programme SingaporE (GLiMPSE). Diabetes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211, 111678.
    · Reed, J., Dong, T., Eaton, E., Friswold, J., Porges, J., Al‐Kindi, S. G., ... & Neeland, I. J. (2024).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for glycaemic control and cardiovascular risk reduction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not on insulin therapy: A clinical trial. Diabetes, Obesity and Metabolism, 26(7), 2881-2889.
    · Ahn, J., Kang, J. H., Pahn, J., & Yang, Y. (2023). Present and Future of Research on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A Narrative Review. 성인간호학회지, 35(4), 311–326.
    · 김명수, 류정미, 강민경, 박지원, 안예찬, 김양석. (2023). 지속적 혈당 모니터링 기기를 적용 중인 제2형 당뇨병 및 당뇨병 전단계 환자를 위한 스마트폰 기반 식이조절 코칭 프로그램 콘텐츠 개발과 적용가능성. 보건정보통계학회지, 48(1), 36-50.
    · 류혜진. (2010). Section 3. 특집: 당뇨병 진단 및 치료의 새로운 방법들 : 지속형 혈당 모니터링 시스템. 당뇨병(JKD), 11(1), 21-24.
    ·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당화혈색소란?.
  • 자료후기

    Ai 리뷰
    제2형 당뇨병 환자의 혈당 관리에 CGM이 SMBG보다 효과적이며, 혈당 안정성 향상과 삶의 질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