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경과
신경과는 신경계통의 변화로 해부 생리의 임상 증상(신경계 염증, 폐색, 퇴행성 변화)을 진료하는 과이다.
□ 뇌의 해부학적 및 임상적 고찰
뇌는 신경계의 중심으로, 여러 중요한 생리적 기능을 담당하는 기관이다. 뇌는 크게 대뇌, 소뇌, 뇌간으로 나눠지며, 각 부분은 뇌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본 보고서에서는 뇌의 주요 해부학적 구조와 각 구조의 임상적 중요성에 대해 고찰한다.
1. 대뇌 (Cerebrum)
대뇌는 뇌의 가장 큰 부분으로, 좌우 반구로 나누어져 있다. 각 반구는 이마엽(Frontal Lobe), 두정엽(Parietal Lobe), 측두엽(Temporal Lobe), 후두엽(Occipital Lobe)으로 나뉘며, 각각 특정한 기능을 담당한다. 이마엽은 운동 기능과 사고, 계획, 언어와 같은 고차원적 기능을 담당하며, 두정엽은 감각 처리 및 공간 지각과 운동 감각을 담당한다. 측두엽은 청각, 기억 및 언어 처리 기능을 수행하며, 후두엽은 시각 정보를 처리한다.
임상적 중요성
대뇌는 각종 신경학적 증상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예를 들어, 뇌졸중은 대뇌로 가는 혈류가 차단되거나 제한되어 대뇌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 이에 따라 사고력 저하, 운동 마비, 감각 이상 등 다양한 신경학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2. 소뇌 (Cerebellum)
소뇌는 대뇌의 뒤쪽에 위치하며, 두 개의 반구로 구성된다. 소뇌는 운동의 조정과 균형을 담당하며, 미세한 운동의 조정을 통해 자세와 균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임상적 중요성
소뇌의 손상은 운동 실조증, 균형장애 등의 증상을 초래할 수 있다. 소뇌 질환은 운동의 협응을 방해하여 환자에게 심각한 일상생활의 어려움을 유발한다.
3. 뇌간 (Brain stem)
뇌간은 중뇌(Midbrain), 다리뇌(Pons), 연수(Medulla oblongata)로 구성되며, 뇌와 척수를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서울아산병원. (n.d.). 「뇌의 해부학적 구조 및 기능」. https://www.asanmedicalcenter.com.
· 서울아산병원. (n.d.). 「대뇌(Cerebrum)」. https://www.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body/bodyDetail.do?bodyId=20&partId=B000007.
· 서울아산병원. (n.d.). 「뇌(brain)」.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body/bodyDetail.do?bodyId=15.
· 김정빈. (2018). 「【뇌과학올림피아드】 2-1강. 뇌간 해부학」. https://nate9389.tistory.com/1199.
· 서울아산병원. (n.d). 「외상성 경막하 출혈(Traumatic subdural hemorrhage)」.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892.
· 신용순, 김성렬, 유성희, 김선화, 김정희, 김현정, ... & 김경옥. (2013). 성인 발열 환자를 위한 근거기반 간호 지침 개발 및 평가. 성인간호학회지 제, 25(3).
· 박영미, 김경혜, & 홍경자. (1995). 입원환자에 대한 Ceftazidime 의약물사용평가. KJHP, 12, 328-333. 서정, & 강지연. (2012). VRE 환자의 보호자를 위한 감염관리 교육의 효과. 기본간호학회지, 19(2), 212-222.
· 신용순, 김성렬, 유성희, 김선화, 김정희, 김현정, . & 김경옥. (2013). 성인 발열 환자를 위한 근거 기반 간호 지침 개발 및 평가. 성인 간호학회지 제, 25(3).
· 김지은, & 장희정. (2022). 공공병원 간호사의 다제내성균 감염관리수행 영향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3(7), 418-426.
· 신용순, 김성렬, 유성희, 김선화, 김정희, 김현정, . & 김경옥. (2013). 성인 발열 환자를 위한 근거 기반 간호 지침 개발 및 평가. 성인 간호학회지 제, 25(3).
· 정용선, & 김진선. (2010). 아동의 발열과 발열 관리: 문헌 고찰. 아동 간호학회지, 16(1), 30-40.
· 신용순, 김성렬, 유성희, 김선화, 김정희, 김현정, . & 김경옥. (2013). 성인 발열 환자를 위한 근거 기반 간호 지침 개발 및 평가. 성인 간호학회지 제, 25(3).
· 김현수. (2023). 두개수술 후 뇌압상승 대상자 집중간호. 한국의료시뮬레이션학회지, 7(1), 46-52.
· 정을수, 고삼규, 김오룡, 지용철, 최병연, & 조수호. (1991). 자발성 뇌실질내혈종 환자에서의 뇌압변화와 임상증상과의 관계.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8(2), 35-51.
· 유양숙 外. (2024). 성인 간호학 상권. 현문사.
· 김승옥, & 신용순. (2020). 국소적 냉 요법이 정상 성인의 조직과 말초의 산소포화도, 말초 혈류, 피부 온도, 체온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1(10), 127-136.
· 류옥현. (2010). 당뇨병과 뇌질환; 뇌질환환자에서의 혈당조절. 당뇨병 (JKD), 11(4), 291-293.
· Pittman, C. M. (2023). 불안할 땐 뇌과학. Kyobobook MCP.
· Lee, G. H. (1998). 지주막하 출혈환자의 간호사례보고. The Korean Nurse, 36(5), 30-38.
· 류옥현. (2010). 당뇨병과 뇌질환; 뇌질환환자에서의 혈당조절. 당뇨병 (JKD), 11(4), 291-293.
· 안기옥, 이광정, 어은경, & 정구영. (2003). 심폐소생술 후 고체온증이 신경학적 결과에 미치는 영향. 대한응급의학회지 제, 14(1).
· 남성미. (2021). 종합병원 간호사의 통증 관리에 대한 지식 및 태도, 수행, 장애 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2(12), 644-653.
· 구미지. (2021). 환자안전사고 보고서를 통한 간호사 투약오류 분석. 임상 간호 연구, 27(1), 109-119.
· 소향숙, 김애영, 김은아, & 김수미. (2006). 혈액 투석환자를 위한 약물 교육프로그램이 약물에 대한 지식과 약물복용 이행에도 미치는 효과.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7), 1135-1144.
· 심성윤, 박히준, 이준무, & 이향숙. (2007). 통증 평가도구에 관한 고찰.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24(2), 77-97.
· 이호철. (2016). [건강기획] 잠들 때 괴로운 질환'오십견'. 넥스트 이코노미, (141), 64-65.
· 이평숙. (1999). 스트레스 관리 시 호흡 치료의 이론적 근거와 기법 적용.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9(6), 1304-1313.
· 김미연. (2012). 간호사의 약물 유해반응 모니터링-약물 유해반응 인식, 태도 및 지식을 중심으로 (Doctoral dissertation, 서울대학교 대학원).
· Lee, Y. O., & Jo, E. J. (1990). 오십견의 물리치료 효과에 대한 임상적 고찰.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Therapy Association, 11(1), 43-50.
· 문재호, 백선경, 김성원, & 박주혜. (1996). 요통과 경통의 악화 요인의최근 경향 및 환자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 대한재활의학회지, 20(2), 339-346.
· 이효기. (2018).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노인환자의 복부 통증 간호기록분석.
· 정혜진. (2014). 한국인 강직성 척추염 환자의 수면의 질과 질병 활성도의 관계: Relation with Sleep Disturbance and Disease Activity in Korean Patients with Ankylosing Spondylitis.
· 최연아, 이신영, 김민정, & 이청무. (2017). 국선도 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기능 체력, 근골격계 통증, 삶의 질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지, 31(4), 139-153.
· N 의학정보. 「오십견」. 서울대학교병원.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