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phosphatidylserine 뇌 인지기능 개선

"phosphatidylserine 뇌 인지기능 개선"에 대한 내용입니다.
7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24.11.19 최종저작일 2023.06
7P 미리보기
phosphatidylserine 뇌 인지기능 개선
  • 미리보기

    목차

    Ⅰ. 서론
    1. Phosphatidylserine이란

    Ⅱ. 본론
    1. Phosphatidylserine 기억력 개선
    2. Phosphatidylserine 건망증 예방
    3. Phosphatidylserine 기억력 증진
    4. Phosphatidylserine AD 개선

    Ⅲ. 결론 및 고찰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Phosphatidylserine (PS)는 지방질인 인산지방질의 하나로, 일반 기름과는 달리 수용성, 유용성의 양쪽 모두의 성질을 가진다. 인산지방질은 생물의 세포막을 구성하는 중요한 성분이며, 그 구성 성분인 PS는 특히 뇌의 신경 세포막에 많이 포함되어 있어 뇌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되어 왔으며 실제로 수 만은 실험 및 임상을 통해 신경전달물질 촉진, 기억력 향상, 학습능력 향상, 치매 예방, 주의력 결핍 개선, 항우울증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Phosphatidylserine의 존재는 약 100년 전부터 확인되고 있었으며, 뇌의 중요 성분으로서 소뇌(Cerebellum)에서 추출한 Phosphatidylserine는 구미에서 고량자의 치매의 치료에 사용되어 왔으나 광우병 발생으로 더 이상 소뇌로부터 추출된 것은 사용되지 않으며 콩으로부터 추출한 레시틴으로부터 제조되고 있다.
    이미 50여 전부터 뇌의 건강과 Phosphatidylserine의 관계에 대하여 방대한 양의 연구가 행해져 왔다. 지금까지 보고되고 있는 Phosphatidylserine에 관련된 학회 발표나 연구논문의 수는 약 수천 건을 넘는다. 그 중 인체를 대상으로 하는 임상 시험에 한정해도 80건이 넘는다. 이러한 임상 결과를 바탕으로 미국, 유럽, 일본에서는 기억력 집중력 저하 개선, Alzheimer’s disease 초기의 치매증 개선, 정신불안의 해소, 항 스트레스 효과, 아이들의 ADHD의 개선 등을 목적으로 하는 건강 기능 및 보조식품에 이용되고 있으며 오메가 3, GABA, 은행잎 추출물 등과 함께 복합적으로 사용 판매되고 있다.

    참고자료

    · The effect of soybean-derived phosphatidylserine on cognitive performance in elderly with subjective memory. (2013 Vol. 8. p 557-563)
    · Kim, Hee-Yong, Bill X. Huang, and Arthur A. Spector. "Phosphatidylserine in the brain: metabolism and function." Progress in lipid research 56 (2014): 1-18.
    · Glade, Michael J., and Kyl Smith. "Phosphatidylserine and the human brain." Nutrition 31.6 (2015): 781-786.
    · Schutters, Kristof, and Chris Reutelingsperger. "Phosphatidylserine targeting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human diseases." Apoptosis 15 (2010): 1072-1082.
    · Fadok, Valerie A., et al. "The role of phosphatidylserine in recognition of apoptotic cells by phagocytes." Cell Death &Differentiation 5.7 (1998): 551-562.
    · 심인섭. "뇌내 PS 유사 포스파티딜세린을 이용한 기억력 개선 건강기능식품 소재 개발 및 실용화 연구." (2011)
    · 김시관.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 고시화를 위한 시험법 연구 : 은행잎 추출물등 4종."(2012)
    · Zhang, Y. Y., L. Q. Yang, and L. M. Guo. "Effect of phosphatidylserine on memory in patients and rats with Alzheimer’s disease." Genet. Mol. Res 14.3 (2015): 9325-9333.
    · Nair S, Traini M, Dawes IW and Perrone GG (2014). Genome-wide analysis of Saccharomyces cerevisiae identifiescellular processes affecting intracellular aggregation of Alzheimer’s amyloid-β42: importance of lipid homeostasis.Mol. Biol. Cell 25: 2235-22349.Penolazzi B, Bergamaschi S, Pastore M, Villani D, et al. (2014).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and cognitivetraining in the rehabilitation of Alzheimer disease: A case study. Neuropsychol. Rehabil. 7: 1-19.Richter Y, Herzog Y, Lifshitz Y, Hayun R, et al. (2013).
    · The effect of soybean-derived phosphatidylserine on cognitiveperformance in elderly with subjective memory complaints: a pilot study. Clin. Interv. Aging 8: 557-563.Sato Y, Nakamura T, Aoshima K and Oda Y (2010).
    · Quantitative and wide-ranging profiling of phospholipids in humanplasma by two-dimensional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Anal. Chem. 82: 9858-9864.Schmid D, Grabmer C, Streif D, Lener T, et al. (2014).
    · T-Cell death, phosphatidylserine exposure and reduced proliferationrate to validate extracorporeal photochemotherapy. Vox Sang. 108: 82-88.Suzuki S, Yamatoya H, Sakai M, Kataoka A, et al. (2001).
    · Oral administration of soybean lecithin transphosphatidylatedphosphatidylserine improves memory impairment in aged rats. J. Nutr. 131: 2951-2956.Wollen KA (2010). Alzheimer’s disease: the pros and cons of pharmaceutical, nutritional, botanical, and stimulatorytherapies, with a discussion of treatment strategies from the perspective of patients and practitioners. Altern. Med.Rev 15: 223-424.Zanotta D, Puricelli S and Bonoldi G (2014).
    · Cognitive effects of a dietary supplement made from extract ofBacopa monnieri, astaxanthin, phosphatidylserine, and vitamin E in subjec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oncomparative, exploratory clinical study. Neuropsychiatr. Dis. Treat 10: 225-230
  • 자료후기

    Ai 리뷰
    phosphatidylserine은 기억력 개선, 치매 예방, 항스트레스, 주의력 결핍 개선 등의 효능이 과학적으로 입증되어 미국, 유럽 등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건강기능식품 소재이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03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