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1학기 서울대 생물학실험 모듈 3 실험보고서
- 최초 등록일
- 2024.10.09
- 최종 저작일
- 2022.06
- 7페이지/ MS 워드
- 가격 2,500원
소개글
"2022년 1학기 서울대 생물학실험 모듈 3 실험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초록 (Abstract)
2. 서론 (Introduction)
3. 재료 및 방법 (Materials and Method)
4. 결과 (Result)
5. 토의 (Discussion)
6. 참고문헌 (Reference)
본문내용
1. 초록 (Abstract)
본 실험에서는 재조합된 플라스미드로 대장균을 형질전환하고, PCR과 전기 영동을 통해 형질전환의 결과를 DNA 수준에서 확인하고자 하였다. 여러 종의 플라스미드를 대장균에 도입해 형질전환을 유도했으며, colony PCR을 통해 도입된 플라스미드를 대량으로 복제한 후 확인했다. 이후 도입된 플라스미드와 일반 플라스미드 등을 대상으로 전기 영동을 진행했다. 실험 결과, β-galactosidase의 발현 여부를 통해 재조합된 플라스미드가 대장균에 도입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사용된 sample의 특징에 따른 전기 영동 결과를 얻었다.
2. 서론 (Introduction)
본 실험에서는 플라스미드 도입에 의해 형질전환된 대장균의 플라스미드를 colony PCR과 전기 영동을 통해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했다.
형질전환은 외부의 DNA 조각 또는 플라스미드가 세포에 도입되어 세포의 유전형질이 변하는 현상이다. 형질전환은 특정 DNA를 많은 양으로 얻고자 할 때 이용되며, 열 또는 전기의 인위적인 충격을 통해 유전 물질을 세포에 도입할 수 있다. (1) PCR은 DNA 중합 효소와 프라이머를 이용해 DNA의 특정 부분을 대량으로, 인공 환경에서 복제하는 기술이다. PCR을 통해 실험에서 활용되는 DNA를 대량으로 복제해 사용할 수 있으므로 PCR 기술은 유전 공학에서 매우 중요하다. (2) 또한 전기 영동은 전하를 띤 분자화합물에 전압을 걸어, 분자량과 전하량 등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이동한 분자들을 분리하는 방법이다. DNA는 음전하를 띠므로 겔 전기 영동을 통해 DNA의 각 조각을 분리할 수 있으며 (3), 제한 효소를 처리한 DNA의 전기 영동은 DNA의 특이적인 특징을 확인하는 데 쓰인다.
참고 자료
Johnston C, Martin B, Fichant G, Polard P, Claverys JP. Bacterial transformation: distribution, shared mechanisms and divergent control. Nature Reviews Microbiology 12, 181-196. (2014).
Enners, Edward; Porta, Angela R. Determining Annealing Temperatures for Polymerase Chain Reaction. The American Biology Teacher 74, 256-260 (2012).
Berg JM; Tymoczko JL Stryer L, Biochemistry (5th ed) WH Freeman. (2002).
Lisa A. URry; Michael L. Cain; Steven A. Wasserman; Peter V. Minorsky; Rebecca Orr, BIOLOGY (12th) Pearson Education 420 (2022).
Birnboim HC; Doly J. A rapid alkaline extraction procedure for screening recombinant plasmid DNA. Nucleic Acids Research 7, 1513-1523 (1979).
Gelvin SB. Agrobacterium-mediated plant transformation: the biology behind the “gene-jockeying” tool. Microbiol Mol Biol Rev. 1, (2003).
Wilson; Keith, Wilson and Walker’s principles and techniques of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