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LD
GOLD 등급의 판매자 자료

속명의유안 43권 소아초생, 소아주마아감, 소아제풍, 소아단적 소아태독 소아유병, 소아변증, 소아후설제이 소아설 소아암 34페이지 원문 및 한글번역

34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24.10.01 최종저작일 2024.10
34P 미리보기
속명의유안 43권 소아초생, 소아주마아감, 소아제풍, 소아단적 소아태독 소아유병, 소아변증, 소아후설제이 소아설 소아암  34페이지 원문 및 한글번역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속명의유안 43권 소아초생, 소아주마아감, 소아제풍, 소아단적 소아태독 소아유병, 소아변증, 소아후설제이 소아설 소아암[벙어리] 34페이지 원문 및 한글번역

    목차

    없음

    본문내용

    巢氏云∶小兒滯頤者, 涎流出而漬必於頤間也, 此由脾冷涎多故也。
    소원방이 말하길 소아체이는 침흘리면서 적셔 반드시 턱에 이름이니 이는 비의 찬 침이 많기 때문이다.
    脾之液爲涎, 脾胃虛冷, 不能收制其津液, 故出於頤也, 張氏溫脾丹主之。
    *涎(입밖으로 흐르는 침 연; ⽔-총10획; xián)
    비의 액을 침涎이라고 하며 진액을 거둘수 없으므로 턱에 배출되니 장씨 온보단으로 주치한다.
    一法百藥煎含嚥, 其涎自不出, 亦截法也。
    한방법은 백약전을 머금어 삼키고 침이 저절로 배출안되니 또한 끊어내는 방법이다.
    益黃散亦治此症, 溫脾散亦可。(《東垣十書》。)
    익황산도 또 이 체이증을 치료하니 온비산도 또한 가능하다. 동원십서
    *東垣十書:12종 20권으로 주제별 전문서를 골고루 모아 펴냈다. 이 책에 수록된 의서를 살펴보면, 송대 최가언(崔嘉彦)이 저술하고 이고가 평주(評注)를 단 『맥결(脈訣)』 1권, 이고의 『脾胃論』 3권, 『內外傷辨惑論』 3권, 『蘭室秘藏』 3권인데, 이 4종은 이동원의 저작이라 할 수 있다. 왕호고가 지은 『此事難知』 2권, 『湯液本草』 3권, 주진형의 『格致餘論』 1권, 『국방발휘(局方發揮)』 1권, 제덕지의 『외과정의(外科精義)』 2권, 왕리의 『醫經溯洄集』 1권, 왕호고(王好古)의 『의루원융(醫壘元戎)』, 『반론췌영(癍論萃英)』 1권이 있었다.

    萬密齋外孫, 滿口生瘡, 咽喉脣舌皆是。
    만밀재 외손이 입안에 가득 창양이 생기고 인후와 입술, 혀가 모두 이러했다.
    爲製方∶用蘗連一錢, 朱砂、白礬五分, 鼠婦焙乾三分, 共研細, 敷之立效。乃奇方也。
    柏(나무 이름 백; ⽊-총9획; bǎi,bó,bò)의 원문은
    처방을 만드니 황벽, 황련 4g, 주사, 백반 2g, 약한 불에 건조해 구운 쥐며느리1.2g을 같이 곱게 갈아 붙이면 곧 효과가 있으니 이는 기이한 처방이다.

    一兒患口舌生瘡, 所搽所服, 皆芩、連、知、蘗之類, 無效。
    한 환아가 입과 혀에 창양이 생겨 칠하고 복용함이 모두 황금, 황련, 지모, 황백 종류로 효과가 없었다.
    曰∶心熱所作, 苦入心, 反助其熱, 宜無效。
    *致의 원문은 作이다
    심열이 만든것이니 쓴맛은 심에 들어가 반대로 열을 도와서 의당 무효했던 것이다.
    乃作洗心散與之, 一服而安。
    세심산을 만들어 투여하니 한번 복용으로 편안해졌다.
    大黃、麻黃、白朮、當歸、白芍、荊芥、薄荷、甘草等分, 水煎服, 更用蘗連散搽之。
    대황, 마황, 백출, 당귀, 백작약, 형개, 박하, 감초 같은 분량을 물에 달여 복용하고 다시 벽력산을 써서 문지른다.
    (仍用苦矣。)
    여전히 쓴맛을 쓴다.

    一兒舌上生瘡, 口脣破裂, 吮乳不得, 日夜啼哭, 求治。
    한 소아가 혀위에 창양이 생기고 입과 입술이 파열되어 젖을 빨지 못하고 낮이나 밤이나 울어서 치료를 구했다.
    用洗心散, 入竹葉煎服, 以解其裏熱, 外用蘗連散搽之效。
    세심산을 써 죽엽을 넣고 달여 복용해 리열을 해소하고 외용으로 벽련산을 써 문지르면 효과가 있다.

    蔣仲芳治一小兒, 初患舌碎, 旣而遍身發熱。
    *旣而:오래지않아
    장중방이 한 소아를 치료하는데 초기에 혀가 부스러짐을 앓고 이어서 온몸에 발열이 있었다.
    或謂傷風停食, 與發散消導。
    혹자가 풍사에 손상하고 음식 정체이니 발산약과 소도약을 투여해야 한다고 말했다.
    曰∶無益也。
    장중방이 무익하다고 말했다.
    服後果熱愈, 而湯水難入。
    복용한 뒤에 과연 더 열이 나며 탕약물도 들어가기 어려웠다.
    乃以黃連五錢, (疑是分。)煎湯徐徐與之, 終劑而愈。
    황련 20g(분량이 의심된다)달인 탕을 서서히 투여하니 약제투약을 마칠 때쯤 나았다.
    問故。
    이유를 물었다.
    曰∶若先身熱而後舌碎, 則因風食發熱所致。
    장중방이 대답하길 만약 먼저 신열이 난뒤에 혀가 부스러지면 풍사나 음식으로 발열되기 때문이다.
    今先舌碎, 知其心火亢甚, 加之身熱, 是內熱極而火外行耳。
    지금 먼저 혀가 부스러짐은 심화가 매우 항성하며 신열이 더해짐을 아니 이는 내열이 극심하고 화가 밖으로 운행했을 뿐이다.

    小兒 瘖
    *瘖(벙어리, 어두움 음; ⽧-총14획; yīn)
    소아의 말못함

    蔣仲芳治一小兒, 二三歲, 身熱驚悸。
    장중방이 한 2,3세의 소아를 치료하니 신열에 경계가 있었다.
    易醫六七, 俱無寸

    참고자료

    · 흠정사고전서 자부 오 의가류 52, 대성문화사, 속명의류안, 청나라 위지수 편찬, 페이지 78-85
    · www.imagediet.co.kr
    · www.upaper.net/homeosta
    · www.steemit.com/@imagediet
    · https://www.youtube.com/user/homeosta1
    · https://www.threads.net/@3atzmus
  • 자료후기

    Ai 리뷰
    전통 중의학적 관점에서 소아 질환의 진단과 치료법을 상세히 다루고 있어 해당 분야에 관심 있는 이들에게 유용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9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