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일론 예비레포트
- 최초 등록일
- 2024.09.27
- 최종 저작일
- 2024.09
- 1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6,000원
목차
1. 이론적 배경
1.1 Nylon
1.2 용융중축합
1.3 나일론염의 용융중축합
2. 실험 준비물
3. 시약 조사
3.1 Hexamethylenediamine
3.2 NaOH
3.3 sebacoyl chloride
3.4 chloroform
4. 실험 방법
4.1 비교반 계면중축합
4.2 교반 계면중축합
5. 결과예상 및 기기분석
5.1 실험결과, 고체형태의 nylon-6,10이 형성된다.
5.2 IR
5.3 TGA
5.4 DSC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이론적 배경
1.1 Nylon
폴리아미드(아미드 결합 -CONH를 가진 고분자 화합물) 중 선모양의 합성 폴리아미드를 부르는 총칭. 보통의 나일론은 대별하여 2종류가 된다. m, n-나일론 또는 나일론 mn은 탄소수 m인 디아민 NH2(CH2)mNH2와 탄소수 n인 이염기산 HOOC(CH2)nCOOH의 중축합물로, 공업적으로는 6,6-나일론, 6,10-나일론 등이 생산되고 있다. n-나일론 또는 나일론 n은 탄소수 n인 ω-아미노산 H2N(CH2)nCOOH 또는 락탐의 중축합물 또는 중합물로, 6-나일론, 11-나일론 등이 공업 생산되고 있다. 이외에 카프로락탐과 6,10-나일론염(헥사메틸렌디아민과 세바스산염)과의 혼성 축합물 등의 소위 혼성 중합 나일론이 공업적으로 생산되고 있으며, 또 분자 중에 곁사슬, 수산기 등의 작용기, 방향 고리와 헤테로 고리를 포함한 각종의 나일론이 연구되고 있다.
그림 . Nylon
밀도 : 1.15 g/cm3
전기전도율 : 10-12 S/m
열전도율 : 0.25 W/mK
녹는점 : 190~350 ℃
나일론은 일반적으로 내충격성이 우수하다. 인장 강도, 항복점, 경도 등의 기계적 성질은 결정화도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으며, 결정화도는 성형 방법, 성형 조건, 열처리 등에 의해 변한다. 나일론은 보통의 유기 용제에 녹지 않는다. 알칼리에 대해서도 강한 저항성을 가지고 있지만, 강한 산에는 용해하며 또 가수 분해된다. 용제로서는 페놀, m-크레졸 등의 페놀류, 포름산 등이 사용된다. 나일론은 자외선에 의해 취약해지므로, 옥외 용도에는 자외선 흡수제를 넣은 제품을 사용한다.
참고 자료
이론적 배경, 실험준비물 : 정평진, 『고분자합성 화학실험』, 범한서적, 2010, p167~170
nylon-6,10 : http://www.polymerprocessing.com/polymers/PA610.html
Hexamethylenediamine, sebacoyl chloride IR : http://sdbs.db.aist.go.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