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TINUM
PLATINUM 등급의 판매자 자료

본초품휘정요 10권, 마황,목통, 통초, 백작약, 적작약 한문 및 한글번역 11페이지

본초품휘정요 10권, 마황,목통, 통초, 백작약, 적작약 한문 및 한글번역 11페이지
11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24.08.25 최종저작일 2024.08
11P 미리보기
본초품휘정요 10권, 마황,목통, 통초, 백작약, 적작약 한문 및 한글번역 11페이지
  • 미리보기

    소개

    본초품휘정요 10권, 마황,목통, 통초, 백작약, 적작약 한문 및 한글번역 11페이지

    목차

    마황,목통, 통초, 백작약, 적작약

    본문내용

    일화자본초에서 말하길 백작약은 여인의 일체 질병, 산전, 산후의 여러 질병을 치료하고 월경을 통하게 하며 열을 물러나게 하며 심번을 제거하고 놀람과 발광, 부인의 혈훈, 장풍과 피를 쏟아냄, 두통, 하리, 혈허 복통을 치료한다.
    (補)(《藥性論》云:)强五臟, 益腎氣.
    보 약성론에서 말하길 백작약은 5장을 강하게 하며 신기를 더해준다.
    (《日華子》云:)補勞益氣.
    일화자본초에서 말하길 피로를 보하고 기를 더하게 한다.
    【合治】合白朮, 補脾;合川芎, 補肝;合人參, 白朮, 補氣.
    *본초강목 작약조문에 李時珍 문장에서는 同白朮, 補脾;同芎藭, 瀉肝;同人參, 補氣, 同當歸, 補血로 되어 있다.
    합치 백작약을 백출과 합쳐 비를 보하게 한다. 백작약을 천궁과 합쳐 간을 보하게 한다. 백작약을 인삼, 백출과 합쳐 기를 보하게 한다.
    【禁】血虛寒人, 不可多服.
    금기 혈허증으로 찬 사람은 백작약 많은 복용이 불가하다.

    草之草 赤芍藥 有小毒 叢生
    초지초 적작약 조금 독이 있고 무리지어 생긴다.
    赤芍藥, 利小便, 下氣, 瀉肝行經, 通順血脈, 散惡血, 消癰腫(《名醫所錄》).
    瀉肝:瀉靑, 淸肝火, 淸肝瀉火 · 사간화(瀉肝火)라고도 일컬음. 치료법의 하나. 맛이 쓰고 성질이 찬 약으로 간화(肝火)를 없애는 방법이다. 간화가 성해서 머리가 아프고 어지러우며 귀에서 소리가 나고 잘 들리지 않으며 얼굴과 눈이 벌겋게 되며 입이 마르면서 쓰고 옆구리가 아프며 심하면 피를 토하고 성을 잘 내며 변이 굳고 누런 설태가 끼며 맥박 상태가 현삭(弦數)한 증상이 나타날 때에 사간법으로 龍膽瀉肝湯을 쓴다. (한의학대사전)
    적작약은 소변을 잘 나가게 하며 기를 내리고 간화를 끄며 혈맥을 소통하고 순조롭게 하며 나븐 피를 흩어지게 하며 옹종을 소멸시킨다. 명의별록
    【名】花根.
    적작약 이명은 화근이다.
    【苗】(《圖經》曰:)春生紅芽作叢, 莖高一, 二尺, 葉似牡丹而狹長.
    싹 본초도경에서 말하길 봄에 홍색 싹이 무리지어 생기면 줄기 높이는 1,2척이며 잎은 모란과 유사하며 좁고 길다.
    夏開花紅色, 其實似牡丹子而小.
    여름에 홍색 꽃이 피고 열매는 모란씨와 유사하나 작다.
    (《衍義》云:)花赤者爲赤芍藥.
    본초연의에서 말하길 꽃이 적색이면 적작약이다.
    謹按:芍藥所重在根, 須以花紅而單葉者, 由其花不繁, 則根氣實也.
    *單葉:simple leaf, 잎이 작게 갈라져있지 않고, 하나로 되어있는 잎을 말한다. 홑잎이라고도 한다. 복엽(複葉)에 대응되는 말이다.
    삼가 고찰하면 작약 중요함은 뿌리에 있고 반드시 꽃은 홍색이나 홑잎이어야 하며 꽃은 번성하지 못하면 뿌리의 기가 실하다.
    然有赤, 白二種, 色旣不同, 其與白者所治必異.
    그러나 작약은 적작약, 백작약 2종류가 있어 색이 이미 다르나 백작약과 치료는 반드시 다르다.
    故後人用白補赤瀉, 以其色在西方故補, 色在南方故瀉也.
    그러나 후대 사람이 백작약은 보하고, 적작약은 사하며 백색은 서방이니 그래서 보하고, 적색이 남방에 있으므로 사한다고 했다.
    【地】(《圖經》曰:)生中嶽川谷及丘陵, 今處處有之.
    산지 본초도경에서 말하길 적약약은 중악의 내와 골짜기 구릉에서 생기며 지금 곳곳마다 있다.
    (道地:)茅山者最勝.
    *茅山:地处江苏省西南部,是道教第一福地。突出于句容、丹徒、金坛、溧阳、溧水和高淳之间
    도지 모산의 적작약이 가장 뛰어나다.
    (《日華子》云:)海鹽, 杭越者亦佳.
    일화자본초에서 말하길 해염, 항월 적작약이 또한 좋다.
    【時】(生:)春生芽. (採:)二月, 八月取根.
    생산 시기는 적작약은 봄에 싹이 생긴다. 음력 2월, 8월에 적작약 뿌리를 채취한다.
    【收】暴乾.
    거둬 적작약을 햇볕에 건조한다.
    【用】根肥實者爲好.
    뿌리가 살찌고 실한 적작약 사용이 좋다.
    【質】類烏藥而皮赤.
    바탕은 오약과 유사하나 껍질이 적색이다.
    【色】赤.
    적작약은 적색이다.
    【味】酸, 苦.
    적작약은 신맛, 쓴맛이다.
    【性】微寒, 泄.
    적작약은 약간 차며 설사한다.
    【氣】氣薄味厚, 陰中之陽.
    기는 엷고 맛이 두텁고 음중의 양이다.
    【臭】腥.
    적작약은 비린내가 난다.
    【主】活血止痛.
    적작약 주치는 혈을 활발하게 하며 진통한다.
    【行】手足太陰經.
    적작약은 수태음경, 족태음

    참고자료

    · 본초품휘정요 중의고적고본정선, 명나라 유문태, 중국 상해과학기술출판사, 페이지 308-314
    · www.upaper.net/homeosta
    · https://steemit.com/@imagediet
    · https://www.youtube.com/user/homeosta1
    · www.imagediet.co.kr
    · https://cafe.daum.net/homeosta
    · https://www.instagram.com/3atzmushttps://blog.naver.com/homeosta
  • AI와 토픽 톺아보기

  • 자료후기

      Ai 리뷰
      이 문서는 한의학의 대표적인 약재들의 특성과 활용법을 매우 상세히 기술하고 있어, 한약 관련 지식을 얻는데 유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