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지현, 박성희, 이충훈 (2020). 커피전문점 인스타그램의 상호작용성과 사회적 실재감이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긍정적 감정을 매개효과로. 호텔경영학연구, 29(3), 121-137.
· 김용희 (2021). 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 부적절감, 자제력 및 Social Network Service (SNS) 중독경향성 간의 관계. 스트레스학회, 29(3), 178-186.
· 김유림, 서장원 (2022). 대학생의 애착불안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 과도한 재확인 추구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27(2), 195-210.
· 김은영 (2022). 코로나19를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학업 스트레스, 대인관계 및 대학생활적응.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39(6), 783-791.
· 김은영, 김상미 (2022).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가 SNS 중독에 미치는 영향-우울과 불안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3(4), 116-129.
· 김희선, 송지훈 (2021). 대학생활만족도가 첫 일자리 직무・전공 적합성, 직업가치, 현 일자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취업진로연구, 11(2), 1-22.
· 대학정보공시센터, 대학알리미(2023), 대학 중도탈락 학생 현황. Retrieved 2023, 5월
· 문은경 (2012). 간호사의 감성지능과 대인관계능력, 조직시민행동, 소진간의 관계.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진주.
· 박미정, 함영림 (2012). 전문대학 신입생의 의사결정역량, 대학생활적응, 대학생활만족도 정도 및 상관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2(4), 327-337.
· 박선민, 김정희 (2020). 남자 간호대학생의 성별 친화적 교육환경과 의사소통능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6(4), 357–365.
· 박선화, 한승희 (2016).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간호전문직 자아개념, 전공만족도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7(8), 517-526.
· 박완성, 임영미 (2019). 대학생의 우연대처기술,자아정체감 및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32(4), 211-226.
· 박진아, 이은경 (2011).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17(3), 267-276.
· 박효진, 양현주, 변은경 (2019).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극복력, 대인관계유능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9(12), 627-636.
· 변은경, 김예진 (2022). 일 전문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 자기효능감,대인관계능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문화기술의 융합, 8(3), 521-528.
· 성지현 (2020). 간호대학생의 성평등의식, 진로정체감, 의사소통능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 22(6), 2443-2456.
· 송진열 (2017). 대학생의 대인관계와 사회적지지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8(12), 335-345.
· 신경아, 강숙 (2019). D유형 성격에 따른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행복 및 대학생활적응 비교. 디지털융복합연구, 17(10), 273-282.
· 심선숙, 방미란 (2016). 간호대학생의 인성, 대인관계,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7(12), 634-642.
· 안혜란, 이지영 (2021). COVID-19상황에서 간호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영향요인. 융합정보논문지, 11(3), 34-45.
· 양남영, 문선영 (2013). 간호대학생의 지각된 건강상태, 건강증진행위 및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이 대학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9(1), 33-42.
· 양윤경, 한금선, 배문혜, 양승희 (2014), 간호대학생의 사회적지지, 학업스트레스, 임상실습스트레스, 스트레스연구, 22(1), 23-33
· 오윤희, 박명숙 (2020). 간호대학 신입생의 대인관계 능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공감 능력의 매개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18(8), 331-341.
· 오은진, 박순아 (2016). 간호대학생의 성인애착과 대학생활적응에서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7(8), 94-102.
· 오현숙 (2017). 소셜 미디어가 여대생의 신체 이미지 형성에 미치는 영향: 페이스북의 소셜그루밍 (social grooming) 활동을 중심으로. 광고연구, (115), 421-450.
· 유경희 (2018).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4(3), 269–278.
· 윤정헌 (2013). 관광전공 선택요인, 전공만족 및 학습태도와 성취도의 관계. 관광레저연구, 25(4), 239-257.
· 이경환, 문인오, 박숙경 (2013). 간호대학생의 사회적지지가 대학생활 적응과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지, 14(2), 15-27.
· 이국용 (2005).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자 몰입에 관한 연구: 온라인 커뮤니티 신뢰, 태도, 몰입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산업경제연구, 18(1), 119-142.
· 이난희, 유소연 (2017).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유형, 스트레스 대처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부모자녀건강학회지, 20(2), 58-66.
· 이서정 (2018). 대학생의 자기분화, 대인관계 및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예술심리치료연구, 3(2), 63-81.
· 이세진, 이정교 (2012). 온라인 여성 커뮤니티에서의 이용자 간 상호작용과 사회연결망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38(2), 47-71.
· 이윤조 (2002). 자기애적 성격특성과 자기효능감 및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 이지은 (2021). 비대면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3(6), 2829-2840.
· 임경민, 박정훈 (2018).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9(9), 195–205.
· 임미혜 (2018).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 자아분화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9(9), 225-233.
· 장성화, 천영희, 함성수 (2014). 대학생의 교우관계, 역기능 가정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6), 539-548.
· 장현정, 이윤정 (2019). 학과만족도와 자아정체감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문화기술의 융합, 5(2), 93-99.
· 조연주 (2011). 청소년의 자아분화와 대인관계 문제의 연관성.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 조영미 (2020).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 학업몰입도, 시간관리 행동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8(7), 289-297.
· 조화진, 서영석 (2010). 부모애착, 분리-개별화, 성인애착, 대학생활적응,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관계: 대학신입생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22(2), 385-411.
· 주남, 장혜연, 조재희 (2022). SNS를 통한 소셜그루밍이 대학생의 조직몰입과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교우관계를 통한 간접효과와 대인경쟁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홍보학 연구, 26(3), 35-68.
· 진은영, 정춘화(2020). 간호대학생의 정신적 웰빙, 교수신뢰, 학습몰입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보건과 복지, 22(1), 151-176.
· 차남현 (2016). 대학생의 학업 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7(2), 124-131.
· 최숙희(2018).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대인관계능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9(11), 148-156.
· 최순옥, 박진경, 김상희(2015).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영향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1(2), 182-189.
· 최정, 박영미, 하영옥, 권유림, 송정희, 김민경, 김다연 (2021). 간호대학생의 중도탈락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산업융합 연구, 19(1), 117-127.
· 하문선 (2017). 대학생의 성격 5요인, 정서지능과 우울, 공격성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7), 197-2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인터넷진흥원 (2016), 인터넷이용실태조사. Retrieved 2023, 4월
· 한나리, 이동귀(2010). 한국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22(1), 137-156.
· 한남식, 어성연(2020). SNS 이용동기, 온라인 오프라인 사회적자본 및 SNS 상향비교가 대학생의 대인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가정과삶의질학회지, 184-184.
· 홍성연, 김인수(2022). 신입생 대학 적응 요인에 대한 메타 분석. 문화와융합, 44(3), 81-182.
· 황예지(2021).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및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 Alt, D., & Itzkovich, Y. (2016). Adjustment to college and perceptions of faculty incivility. Current Psychology: A Journal for Diverse Perspectives on Diverse Psychological Issues, 35(4), 657-666.
· Baacke, D. (1999). Jugend und Jugendkulturen. Darstellung und Deutung (3th ed.). Weinheim und München: Juventa.
· Birmingham, W. C., Wadsworth, L. L., Lassetter, J. H., Graff,T.C.,Lauren,E., & Hung, M. (2021). COVID-19 lockdown: Impact on college students’ lives. Journal of American College Health, 71(2), 1-15.
· Chung, M. S. (2014). Relations on self-esteem, empath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for reinforcing competence in communication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2), 332-340.
· Credé, M., & Niehorster, S. (2012). Adjustment to college as measured by the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A quantitative review of its structure and relationships with correlates and consequences.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24(1), 133-165.
· Donath, J. (2007). Signals in social supernets.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13(1), 231-251.
· Dunbar, R., & Bickerton, D. (1996). Grooming, gossip and the evolution of language. Nature, 380(6572), 303.
· Ellison, N. B., Vitak, J., Gray, R., & Lampe, C. (2014). Cultivating social resources on social network sites: Facebook relationship maintenance behaviors and their role in social capital processes.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19(4), 855-870.
· Jackson, P.B., & Finney, M. (2002). Negative Life Events and Psychological Distress among Young Adults. Social Psychology Quarterly, 65(2), 186-201.
· Jung, E.Y., & Park, Y.H. (2009).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ollege adjustment scale. The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21(2), 69-92.
· Katz, S., & Somers, C. L. (2017).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predictors of college adjustment: Prevention and intervention. Current Psychology: A Journal for Diverse Perspectives on Diverse Psychological Issues, 36(1), 56-65.
· Kim, J. W., & Chock, T. M. (2015). Body image 2.0: Associations between social grooming on Facebook and body image concern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48, 331-339.
· Kim, M. J. (2014). A comparison study on multicultural attitude and relation factor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non-nursing major student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4), 2310-2319.
· Lee, H. K. (2012). Emotional intelligenc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yungpook Nursing Science, 16(1), 11-20.
· Lee, K. W., Moon,I. O., & Park S. K. (2013),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College Adjustment and Academic Adjustment among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14(2), 15-27.
· Park, E. H. (2015).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the relation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adaptation to college.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8(1), 57-79
· Park, S. Y., & Kim, J. H. (2019). Campus life adaptation scale for nursing undergraduates: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Nurse Education Today, 79, 56-62.
· Saaranen, T., Vaajoki, A., Kellomäki, M., & Hyvärinen, M. (2015). The simulation method in learning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experiences of masters' degree students of health sciences. Nurse Education Today, 35(2), e8-e13.
· Utz, S., & Beukeboom, C. J. (2011). The role of social network sites in romantic relationships: Effects on jealousy and relationship happiness.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16(4), 511-527.
· Yoo, K. H. (2018). A study on the stress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among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4(3), 269-2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