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기화학실험 A+] Dissociation constant of complex ion
- 최초 등록일
- 2024.07.10
- 최종 저작일
- 2022.05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무기화학실험 A+] Dissociation constant of complex ion"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이론
2. 시약 및 기구
3. 실험 목적
4. 실험 방법
5. 주의사항
6. 실험 결과
7. 실험 관찰 사항 및 고찰
8.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이론
1. 배위수
분자 및 결정에서 중심이 되는 원자 주위에 결합하고 있는 원자나 분자 또는 이온의 수를 배위수라고 한다. 중심 이온/분자/원자 주위를 둘러싼 그러한 화학종을 리간드라고 하며, 배위수는 이들 리간드의 수를 의미하는 리간드수라고도 한다. 이 배위수는 분자와 결정의 경우에 다소 다르게 매겨진다. 그러나 고체 결정 구조에서는 결합이 다소 불명확하게 정의되므로 이웃하는 원자의 수를 배위수로 한다. 그 수를 세는 가장 단순한 방법은 재료 과학에서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주어진 구조의 결정격자 내부에서 모든 방향의 이웃 원자수를 세는 것이다. 다만, 재료 과학이나 불균일 촉매에서와 같이 이러한 결정 표면이 중요한 경우, 내부 원자에 대한 배위수는 거시적(bulk) 배위수이고 그러한 표면에서의 원자에 대한 값은 표면 배위수로 구분하기도 한다.
2. 해리상수
화합물이 각각의 분자나 원자 또는 이온 등으로 나누어지는 현상이다. 해리 반응은 가역적인 반응으로, 평형상태가 존재한다.
AB ⇄ A + B
이때, 각 물질의 농도를 [A], [B], [AB]로 표시하면 평형상수(Keq)는 아래와 같이 표시된다.
해리상수는 주로 Kd로 표시하며, 특별한 형태의 평형상수라고 할 수 있다.
거대분자가 작은 분자들로 해리될 때는 Kd라 하지만, 염이 이온으로 해리되는 경우엔 이온화상수라고 한다. Kd는 결합상수(Ka)의 역이다. 따라서 Kd x Ka = 1이 된다. 용액 내 반응에서 해리상수는 주로 온도의 함수이며, 해리상수의 단위는 몰농도(M)이다.
여러 종류의 해리상수가 존재하며, 특별히 산의 해리의 경우는 pKa 값을 많이 사용하는데, 이는 Ka의 -log10 을 취한 것이다.
<중 략>
3. 실험 목적
AgNO3를 KBr로 적정하여 AgBr을 생성한다. 실험 1과 실험 2의 용해도 차이를 비교한 후, 착이온에 의한 용해도 차이에 대해 알아본다.
참고 자료
네이버 지식백과] 배위수 [coordination number] (화학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해리상수 [dissociation constant] (생화학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산 해리 상수 [酸解離常數, acid dissociation constant, Säuredissoziationskonstante] (화학대사전, 2001. 5. 20., 세화 편집부)
네이버 지식백과] 용해도 [solubility] (화학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공통 이온 효과 [common ion effect] (화학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착화합물 [錯化合物] (Basic 고교생을 위한 화학 용어사전, 2002. 9. 30., 서인호)
네이버 지식백과] 착이온 [錯-, complex ion] (Basic 고교생을 위한 화학 용어사전, 2002. 9. 30., 서인호)
네이버 지식백과] 적정 [titration] (화학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표준화 [標準化, standardization, Titerstellung] (화학대사전, 2001. 5. 20., 세화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