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A+ 지역사회간호학실습 강동구보건소 케이스스터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간호 사정
1) 사정 방법
2) 지리적 특성
3) 인구구조 및 평가
4) 지역사회 간호 사정
2. 간호 진단
1) 간호 진단
2) 간호 진단 우선순위
3. 간호계획
1) 간호 목표
2) 간호 방법 및 수단
3) 수행 계획서
4) 추진일정표
5) 평가 계획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지역사회 간호 과정은 체계적이고 순환적인 과정으로, 지역사회주민에게 영향을 미치는 여러 하부체계와 이들 하부체계의 상호관련성, 이에 따라 나타나는 건강 문제 등을 규명하여 지역사회가 건강을 회복하고 성취하도록 간호계획을 세워 실천하는 활동이며, 지역사회가 최적의 건강을 유지 · 증진하도록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본 보고서는 서울특별시 강동구 지역을 간호 사정한 후 적절한 간호 진단을 내리고, 우선순위에 따라 지역사회 간호 문제에 대한 계획, 수행, 평가 계획을 세워 건강 문제 발견 및 건강 수준 적정기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고안해보자 한다.
Ⅱ. 본론
1. 지역사회 간호 사정
1) 사정 방법
사정 방법 적용
기존자료조사 (V)
적용 내용
강동구청 홈페이지, 강동구 보건소 홈페이지, 통계청, 질병 관리청 등
2) 지리적 특성(Mapping)
강동구는 서울시 남동단에 위치하며 한강 북쪽을 경계로 경기 구리시, 동쪽으로 경기 하남시, 서쪽으로 천호대교 건너편 광진구와 인접하며 남쪽으로 강동대로를 중심으로 강동구에서 분리 신설된 송파구와 이웃한다.
서울시 생활권 구분에 의하면 송파구와 함께 ‘동남 2 생활권’에 해당한다.
<중 략>
4) 지역사회 간호 사정
1. 지리적 특성
자료 요약
- 면적: 24.59km2, 인구밀도: 18,869명/km2
- 행정구역: 19개 행정동, 9개 법정동, 618개통, 5,417반으로 구성
- 면적 구역: 녹지지역(40.4%), 상업지역(2.5%), 주거지역(57.1%)
결론
- 쾌적한 환경 도시
- 서울 동부의 교통 요충지
- 아파트 밀집 지역 (강동구 내 95,721호)
필요한 자료
-
2. 인구 특성
자료 요약
- 전체 인구수: 459,167명
- 0~19세 인구수: 69,753명
- 50~65세 이상 인구수: 189,965명
- 1인 가구: 26.1%(8위)(평균 24.6)
- 노령화지수 184.4명(21위)
참고 자료
지역사회보건간호학 편찬위원회 편, 최신 지역사회보건간호학1·2, 수문사, 2022
권문희 외 공저, 지역사회간호학 실습지침서, 은학사, 2024
제8기 강동구 보건소 지역보건의료계획, 2023
제38회 2023 강동통계연보, https://www.gangdong.go.kr/asacms/ebook/statistics/2023/index.html#page=1, 202. 0. 0
강동구 보건소, 보건사업_직원안내, https://health.gangdong.go.kr/health/site/main/home,
202. 0. 0
강동구청, 강동구안내_통계이야기, https://www.gangdong.go.kr/newportal/, 202. 0. 0
질병관리청 만성질환건강통계, https://chs.kdca.go.kr/cdhs/biz/pblcVis/main.do, 202. 0. 0
서울열린데이터광장, https://data.seoul.go.kr/, 202.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