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참고문헌
· 강성학, 한반도 주변 전략환경과 미국의 역할, 한국정치학회보 30집 3호, 1996.
· 권영식외 5인, 국방지리, 서울, 박영사, 1977.
· 길정일, 미국의 세계안보전략의 기조, 외교 제 49호,1999.
· 김순규, 현대국제정치학, 1997, 박영사.
· 김종헌, “탈냉전 시대 미국의 군사전략; Bottom-Up Review를 중심으로”, 21세기정치학회, 1999.2.
· 김준형, “러시아의 군사전략: 안보환경의 변화와 그 대응”, 21세기정치학회, 1999.2.
· 김진영, “세계화와 헤게모니”, 한국정치학회보 32집 1호, 1998.
· 김학준, 소련외교론서설,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9.
· 남창희, “탈냉전기 주일미군의 역할에 대한 연구”, 한국정치학회보 30집 3호,1996.
· 맥킨더, 핼퍼드.J, 염동용 역, 심장지역론-민주주의의 이상과 현실, 부산, 동우출판사, 1998.
· 배정호, “미일안전보장체제의 광역화에 따른 일본의 군사적 역할의 증대와 한반도 급변사태”, 한국정치학회보 32집 1호, 1998.
· 이병희 외 인곡 이우영교수 정년퇴임기념논총간행위원회, 신세계질서론, 서울, 대왕사, 1997.
· 염동용, “국제세력권 이론에서 본 청‧일 전쟁 배경”, 경북대 정치학 박사학위논문, 1996. 12.
· 오오건스키, 민병기 역, 국제정치론, 서울, 을유문화사, 1976.
· 이용희, 일반국제정치학(상), 서울, 박영사, 1955.
· 이우영-정희석, “1890년대 러시아의 극동정책 추진요인”, 환태평양연구, 제3호, 경북대학교 환태평양연구소, 1990.
· 이영환, 전후냉전체제와한반도문제, 대구, 한국사회과학연구원, 1994.
· 이춘식, 중국사서설, 서울, 교보문고, 1991.
· 임덕순, 정치지리학 원리, 서울, 법문사, 1989.
· 조용상, 21세기 한․미관계 전망, 대구, 1997.
· 전기원, “미국헤게모니의 지속-미국경제의 회복과 헤게모니유지패턴의 변화”, 한국정치학회보 30집 3호,1996.
· 정종태, “동아시아 국제관계의 구조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환태평양연구, 제6집, 경북대학교 환태평양연구소, 1993.
· 한용섭, “인도,파키스탄의 핵실험과 한국의 안보외교”, 외교 제47호, 1998.
· 홍현익, “미국의 세계전략에 대한 강대국들의 대응”, 외교 제49호, 1999.
· 허만, 신국제정치론, 부산, 부산대학교출판부,1993.
· 岡崎久彦 저, 일본의 국가전략, 서울, 바람과 물결, 1988.
· 다운즈, 로버트 B. 김지운 역, 역사를 움직인 책들, 서울, 삼성미술문화재단, 1985.
· Douglas J.Murray, 국방대학원,안보문제연구소 역, Poul R.Viotti, 4강의 국방정책.
· Semjonow, Juri, 김우현 역, 시베리아정복사, 대구, 경북대학교출판부, 1992.
· 倉前盛通, 김홍주 역, 악의 논리, 서울, 한길사, 1970.
· 톰슨, K. W., 백태열 역, 국제정치사상가들, 서울, 종로서적, 1986.
· 토인비, A. J.,이양기 역, 세계와 서구, 대구, 이문출판사, 1983.
· G.프리드만/M.로바드, 남주홍 역, 제2차 태평양전쟁, 서울, 동아출판사, 1991.
· 헌팅턴, 새뮤엘, 이희재 역, 서울, 김영사, 1997.
· Valance, Georges, 조홍식 역, 미국,일본, 독일이 세계를 지배한<font color=aaaaff>..</fo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