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학실습A+]폐렴(pneumonia) 케이스스터디_ 사례보고서_기관지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 청결_질병과 관련된 고체온
- 최초 등록일
- 2024.03.26
- 최종 저작일
- 2022.02
- 3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500원
목차
Ⅰ. 서론
1. 사례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통계자료
Ⅱ. 본론
1. 문헌고찰
1) 폐(Lung)
2) 폐렴의 정의
3) 원인 및 병태생리
4) 폐렴의 분류
4) 증상 및 합병증
5) 진단
6) 치료
7) 간호
8) 예후
2. 간호과정
1) 사례연구 아동 간호 사정
2) Problem List
3)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의 적용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 론
1. 사례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폐렴은 세균이나 바이러스, 곰팡이 등의 미생물로 인한 감염으로 발생하는 폐의 염증이다. 오늘 날, 아침저녁으로 일교차가 벌어지는 환절기에는 면역력이 약한 소아들은 감기에 쉽게 걸리게 되는데 열, 콧물, 기침이 나서 일반 감기라고 의심할 수 있지만 감기와 증상이 비슷한 폐렴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실습장소인 소아청소년과 병동에서 또한, 폐렴을 앓고 있는 소아환자들이 대부분이었기에 호기심이 생기기도 하였고 폐렴의 호흡기계 질환에 대한 원인 및 증상, 진단과 치료를 알아보고자 하는 생각이 듦과 동시에 첫 실습이니만큼 소아환자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길 바라는 마음이 들었다. 이에 본 사례연구를 통해 그에 대한 간호와 간호과정을 적용하여 보고자 하였다.
2. 통계자료
건강보험심사평원의 2011년~2015년인 5년간 진료정보(건강보험, 의료급여)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매년 평균 155만 명이 폐렴으로 진료를 받았으며 10세 미만 소아의 비율이 특히 높고 가을에 접어들 무렵부터 진료인원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폐렴 진료인원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연령대는 10세 미만으로 2015년 기준 연령구간별 비율을 살펴보면 0~9세가 44.9%로 가장 높았고 20대가 3.4%로 가장 낮음을 볼 수 있다.
Ⅱ. 본 론
1. 문헌고찰
1) 폐(Lung)의 정의
- 폐(lung)는 심장을 가운데로 두고 좌우에 2개가 있는데 생명을 유지하는 중요한 기관이다. 폐는 가볍고 스폰지 같은 모양으로 구멍이 많이 있고 탄력성이 있으며 흡기에 의해 팽창되고 호기에 의해 수축된다.
- 폐의 위치는 횡경막과 쇄골 사이에 있으며 제1늑골 위에 폐의 첨부(apex)가 있고 횡경막에 폐의 기저부(base)가 있다. 폐를 지배하는 신경과 폐혈관, 기관지가 통과하는 폐의 중간 부위를 폐문(hilus)이라고 한다.
참고 자료
KIMS 의약정보센터 http://www.kimsonline.co.kr/
황옥남 외 (2018)「성인간호학Ⅰ」현문사
유해영 외「근거에 기반한 아동간호학」서울:현문사 ;2019
임경춘 외 (2012)「건강사정」정담미디어
양선희 외「기본 간호학Ⅰ」제3판 서울:현문사; 2018
이은희와「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서울:고문사; 2019
송경애 외 「기본간호 중재와 술기」경기:수문사; 2018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6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https://www.hira.or.kr/main1.do
KIMS 의약정보센터 http://www.kimsonlin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