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A+ 받은 과제물) 베트남 경제성장기 성장 요인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I. 주제선정
II. 베트남 경제성장기를 주제로 선정한 이유 및 배경
1. 중국과 미국에 대한 무역의존도가 높은 경제 상황에서 아세안 국가로의 시장 확장
2. 한국기업의 베트남 투자
3. 사회주의 체제를 유지하며 경제적 성과를 이룬 국가
III. 탐구과제 방향
1. 베트남 경제성장기 원인 분석
2. 베트남 경제성장기에 성장한 산업 및 기업
IV. 베트남 경제성장기 원인 분석
1. 도이머이(DoiMoi) 정책 배경 및 개혁조치
2. 대외지향적 성장정책
3. 외국인 직접투자 (FDI)
4. 풍부한 인적자원 및 천연자원
IV. 베트남 경제성장기에 성장한 산업
1. 베트남 경제성장기의 산업구조 변화 및 성장 산업
V 지속성장을 위해 나아가야 할 방향
1. 최근 한국의 베트남 직접 투자에 대한 변화 기조
2. 성장동력을 얻기 위한 방향
본문내용
I. 주제선정
베트남 경제성장기 주요 원인과 성장산업 및 기업을 분석하고 이를 통한 시사점 도출
II. 베트남 경제성장기를 주제로 선정한 이유 및 배경
1. 중국과 미국에 대한 무역의존도가 높은 경제 상황에서 아세안 국가로의 시장 확장
미·중 간 무역 및 기술 갈등이 고조되면서 세계 경제 질서가 재편되고 있다. 과거 트럼프 정부에서 중국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하였고, 중국도 보복조치로 대응을 했다. 바이든 정부에서도 첨단 반도체와 인공지능, 배터리 등 핵심기술 분야에 대해서 중국을 견제하며 자국의 반도체 산업과 첨단 기술을 육성하고 중국을 글로벌 공급망에서 배제하기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갈등 구도는 미국과 중국에 수출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친다. 올해 4월 대중 수출의존도는 19.1%로 대미 수출의존도 18.5%로 비슷할 정도로 낮아지긴 했지만, 우리나라의 중국에 대한 무역 의존도는 여전히 높다. 이런 상황에서 성장 잠재력이 높은 아세안은 중요한 수출 시장이 될 수 있다. 세계 경제와 지정학적 구도에서 아세안 국가들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아세안 지역은 세계 3위, 경제규모 7위권에 이르며 장차 세계 4위 지역 경제권으로 도약하겠다는 목표를 가진 잠재력이 큰 시장이다. 특히 아세안에 속한 베트남은 우리나라에 있어서 주요 교역상대국이자 투자처로서 위상이 확대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의 5대 수출국 중 베트남이 중국, 미국에 이어 3위을 차지할 만큼 우리나라의 수출에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
참고 자료
Kotra 해외시장 뉴스, “2023년 상반기 對베트남 외국인 직접투자 동향”, 2023.08.17
파이낸셜 뉴스, “위상이 높아진 아세안, 전략적 파트너십 강화해야”, 2023.09.06
매일경제, “미·중 갈등과 세계분열, 한국의 전략은”,2023.09.17
한국은행, 베트남 경제 개방정책의 주요 내용 및 성과, 국제경제리뷰, 2018.09.28
중앙일보, ”한국 무역흑자 1위는 베트남, 수출 구조 달라졌다, 2023.01.05
인사이드비나, “베트남, 7월 한국기업 투자러시, 2023.09.09
윤우근, “베트남 경제성장의 요인과 과제”, 연세대학교 석사논문, 2021
정재완, 김동현 & 박근형, “베트남 주요산업”, KOTRA, 2007
NGUYEN THI ANH TUYET, “베트남 경제에 대한 한국의 직접투자 역할 분석”,중부대학교 석사논문, 2020
김범수,“한국기업들 베트남서 눈돌리나… 올들어 투자액 70% 감소”,연합뉴스, 2023. 04. 10
Lee Kyung-min,”Vietnam emerges as source of Korea's biggest trade surplus”,The korea Times, 2023.05.22
Vincenzo Caporale, “Why Vietnam’s Economic Future is Bright and Growing Brighter”, The Diplomat, 2022. 09. 29
박정호, “베트남 정부의 최신 광물 개발 목표 및 계획”,KOTRA 해외시장뉴스,2023.10.16
구양미, “한국기업의 베트남 투자와 베트남 산업구조 및 지역변화”,대한지리학회, 2017
염규배, “23년 상반기 베트남 섬유수출 15.4% 감소”, 국제섬유뉴스, 2023
김기훈,“지상 16층에 연구원 2천200명 상주…현지 글로벌기업 첫 종합연구소동남아 최대 규모…이 회장, 생산 현황 점검하고 임직원 격려”, 매일경제, 2022.12.23
NGUYEN THI LAN, “베트남 수출입 제조기업의 공급체인관리 활용과 성과에 관한 연구”,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