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원빈, 「공자의 '학(學)'에 관한 연구 - 『논어』를 중심으로-」, 『공자학』1, 1995.
· 이광호, 「공자의 학문관」, 『동서철학연구』20, 2000.
· 김용재, 「『論語集解』와 『論語集註』의 註釋 比較를 통해 본 『論語』 經文의 理解 [Ⅰ] -「學而」를 중심으로-」, 『한문교육논집』31, 2008.
· 김윤조, 「論語 學而篇 硏究 - 논어 편찬 과정에 대한 一管見」, 『동양한문학연구』27, 2008.
· 서은식, 「『論語』「學而」1장의 解釋學的 硏究」, 『동양고전연구』32, 2008.
· 임옥균, 「오규 소라이{荻生徂徠}의 『논어』해석: 「학이」 -주자의 해석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동양철학연구56』, 2008.
· 박석, 「≪論語≫의 ‘學’의 용례를 통해서 본 孔子 修養論의 특징」, 『중국문학』58, 2009.
· 서세영, 「『논어』에 나타나는 배움의 의미」, 한국외국어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이철승, 「『논어』의 "학이"1장에 나타난 배움과 익힘의 논리와 의미 -주희와 왕부지의 관점을 중심으로」, 『중국학보』59, 2009.
· 임헌규, 「孔子의 '爲己之學'의 이념과 방법」, 『동양고전연구』36, 2009.
· 전병욱, 「朱子 『논어집주(論語集註)』의 수양론적 해석학 -"학(學)" 개념에 대한 해석에 주목하여-」, 『동양철학연구』59, 2009.
· 류준필, 「『논어(論語)』경학에서의 학(學) 개념과 그 인식 층위 -조선 주자학자의 학이시습지(學而時習之)장(章) 주석을 중심으로-」, 『한국한문학연구』45, 2010.
· 신창호, 「壺山 朴文鎬의『’論語』이해와 그 특징 -『論語集註詳說』「學而」를 中心으로」, 『동양고전연구』38, 2010.
· 심승환, 「공자의 교육사상에 나타난 "배움(學)"과 "사고(思)"의 관계에 대한 고찰」, 『교육철학연구』47, 2010.
· 장승희, 「『논어』<학이>에 나타난 ‘배움[學]’의 본질과 도덕교육」, 『도덕윤리과교육』33, 2011.
· 신정근, 「공자의 공부론: 내적 열망에 이끌린 평생 학습론」, 『동양철학연구』76, 2013.
· 박만성, 「배움의 본질에 대한 고찰: 『논어』를 중심으로」, 『교육철학』56, 2015.
· 임헌규, 「『논어』에서 學의 의미」, 『동방학』33, 2015.
· 임헌규, 「朱子와 茶山의 『논어』 學개념 해석비교」, 『동양철학연구』61, 2015.
· 湯洪, 오은숙, 「『論語』에 나타난 ‘學’ 과 ‘習’의 의미에 관한 고찰」, 『중국어문학논집』92, 2015.
· 최정묵, 「공자의 학문관」, 『동서철학연구』78, 2015.
· 김인규, 「『논어』에 보이는 공자의 학문관」, 『동양문화연구』25, 2016.
· 정원호, 「孔子의 敎學思想 탐구」, 『중국학』59, 2017.
· 엄태동, 「논어 ‘학이시습지’ 장(章)에 대한 교육학적 오독(誤讀): 학시습의 열(說)과 회화의 낙(樂), 그리고 홍도(弘道)하는 삶」, 『교육원리연구』24-2, 2019.
· 이치억, 「공자사상에서 호학(好學)의 의미와 중요성, 유학연구46, 2019.조정은, 창계 임영의 개인 수양서로서 『논어』 읽기 - 「독서차록-논어」 「학이」편을 중심으로-」, 『한국실학연구』37, 2019.
· 오만종, 「고대 중국인들의 學에 대한 소론 : 선진시기 유가의 學을 중심으로」, 『중국학』73, 2020.
· JIANGYINGSHUN, 권선향, 최진, 신창호, 「『논어』의 ‘학(學)’ 개념 연구와 교육적 시사점 고찰- 2000년 이후 중국학계의 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 『유교사상문화연구』79, 2020.
· 이유정, 「『논어(論語)』에 나타난 배움[學]의 논리적 구조」, 『교육철학연구』45-1,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