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렴 케이스( pneumonia) ( 성인실습케이스, 간호진단 2개 ,문헌고찰, 간호과정, vital sign, 활력징후, bst, 혈당체크, 약물,진단검사,간호진단 판단이유)
- 최초 등록일
- 2023.11.10
- 최종 저작일
- 2023.07
- 1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성인실습케이스 폐렴( pneumonia) ( 간호진단 2개 ,문헌고찰, 간호과정, vital sign, 활력징후, bst, 혈당체크, 약물,진단검사,간호진단 판단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ⅰ. 연구의 필요성
ⅱ. 연구의 목적
2. 문헌고찰
3. 진단검사
4. 약물
5. 총괄적 소견
ⅰ. 과거력
ⅱ. 입원 당시~사정 전
ⅲ. 사정 당시~간호과정 적용 전까지
ⅳ. 우선순위 및 근거
6. 간호 과정
7.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대상자의 진단명
Pneumonia [페렴]
정의
폐렴은 폐실질의 급성감염으로 미생물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폐의 염증
연구의 필요성
호흡기 질환 중에서 가장 흔한 거는 폐렴이다. 2017년 우리나라 사망자 통계에 따르면 폐렴 환자는 10만 명 당 37.8명 꼴로 사망하여 , 10년 전보다 약 3배로 증가했다. 특히 70~79세에서 사망원인 4위(6.2%), 80세 이상에서 사망원인 3위(10.3%)가 폐렴일정도로 고령층에게 치명적인 질환이다.
부산성모병원 81병동의 환자 나이대가 대부분 70세이상 고령 환자가 많고 호흡기 내과 치료를 받는 대부분 환자의 진단명은 Pneumonia(폐렴)이다.
대부분 고령 환자들은 면역력에 취약하기 때문에 폐렴의 위험을 배제할 수 없음을 판단함으로 인해 폐렴에 대해 조사하기 시작했다
연구의 목적
폐렴은 이러한 폐조직에 생기는 염증성 질환을 말하며,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기생충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병할 수 있다. 세균성 폐렴은 모든 연령층에서 발생 가능하나 어린이와 60세 이상의 노인에게서 가장 심하게 나타나며, 겨울이나 이른 봄에 폐렴의 빈도가 높다. 또한 항암제 상용이나 알코올 중독, 심장질환, 최근의 수술, 결핵, 선천성 심장질환, 당뇨병, 만성 폐질환 등 저항성을 감소시키는 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에게서 더 잘 발생한다. 바이러스성 폐렴을 인플루엔자 환자 중 9.5%, 즉 10명중 1명 정도의 비율로 폐에 합병증이 동반되어 폐렴이 일어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폐렴의 합병증으로 나타나는 경우는 노인 연령층에서 주로 많이 일어나 70세 이상에서 70%이상을 점유한다.
따라서 다양한 원인에 발병하는 폐렴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연구를 진행 할려고 한다.
이 연구를 통해 폐렴에 관심을 가지고 원인이 무엇인지 확인하여 원인별 치료와 간호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더불어 대상자가 빠른 시일 내에 회복이 될 수 있도록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
참고 자료
이동숙·홍영혜·박미성·장희경 외 편저(2019),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포널스]
신경림 외 20명(2019), 성인간호학(하), [현문사]
신경림 외 20명(2019), 성인간호학(상), [현문사]
드러그인포_약품검색 : https://www.druginfo.co.kr/
메리놀병원 - OCS
조경숙 외 10명, 성인간호학 (상권) , 현문사, 2014
약학 정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