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보고서에서는 우선 김유신과 김춘추 가문의 결합에 얽힌 개요와 요인, 진행과정, 그 결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아울러 김유신과 관련된 설화 및 후대의 영웅만들기, 외교로 준비된 왕으로 평가받는 김춘추 이야기에 대하여 추가로 소개함으로써 삼국통일로 이어지는 역사적 의미에 대하여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금관가야계로 대표되는 김유신 가문과 성골이 아닌 진골, 동륜계가 아닌 사륜계로서 신라의 최고권력층에서 약간 비켜간 김춘추 가문이 어떻게 신라를 주도하는 신귀족세력으로 성장하고 삼국통일을 이루어내고, 혈연적인 결합 이후에 그 정치적 위상은 어떻게 변해가는 지에 대하여 언급하기 위해 대표적인 사건이자, 많은 국민들도 알고 계시는 김춘추와 김유신의 여제(女弟)인 문희가 결혼하게 되는 사건을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여기에 추가로 김유신 관련 설화, 특히 후대에 추가된 김유신 관련 영웅만들기 설화들을 소개함으로써 김유신의 탄생과 성장, 활약을 통해 삼국통일로 가는 방향성에 대한 인지를 위해 노력하였다. 덧붙여 김춘추의 가문 및 등장과 삼국통일을 향한 외교적 노력 및 그 후손들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 통일당시의 시대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 글은 많은 사료와 논문, 학술지 외에도 다양한 언론자료 등을 참고하려고 노력했으며, 되도록 본인이 직접 충분히 읽고 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해 노력했다. 다행스럽게도 쉽게 발견할 수 있는 좋은 자료들이 많이 있어서 자료발굴에는 수월했으나 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한 자료가 워낙 방대하다보니 선택에 있어서는 고생을 많이 한 것 같다. 이 글에서는 특히 김유신 관련 설화를 많이 소개하였는 바, 기존에 알고 있었던 설화 등 김유신 관련 이야기 이외에 다양한 설화 등 이야기를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특히 김유신 설화를 통해 김유신의 방대한 희망을 달성해 가는 과정, 즉 삼국통일의 여정에서 김유신의 탄생과 성장과정을 통해 자연스럽게..
<중 략>
· 『구당서』 「동이열전」 신라기
· 『삼국사기』
· 『삼국유사』
· 『파한집』
· 국사편찬위원회, 『신편한국사』 9권 통일신라편, 2002.
· 김덕원, 『신라 진평왕대 김유신의 활동』, 신라사학보 2007년 10호, 2007.
· 김미도, 『〈천마도〉와 〈꿈 속의 꿈〉에 나타난 설화의 희곡적 변용 연구』. 한국연극학, 2019.
· 김병곤, 『진평왕의 즉위와 지증왕계 인물의 동향』, 한국고대사연구, 2009.
· 김상현, 『일연의 일통삼한(一統三澣) 인식』, 신라문화 38권, 2011.
· 김선풍, 『설화를 통해 본 김유신 장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88
· 김영하, 『시대를 만든 정치인, 버린 정치인 – 김춘추, 외교로 준비된 왕』, 내일을 여는 역사재단, 2002
· 김태식, 『月經과 暴巫, 두 키워드로 본 모략가 김유신』, 백산학보, 2004.
· 김태준, 『신라의 사랑의 미학 – 야합에서 사랑으로』, 신라문화 8권 1호, 연도미상.
· 박순교, 『김춘추 일가의 노블레스 오블리주와 그 역사적 의미』, 택민국학연구원, 2016.
· 서대석, 『한국신화에 나타난 천신(天神)과 수신(水神)의 상관관계 – 천신과 수신의 갈등과 화해의 양상』, 국사관논총 31집, 국사편찬위원회, 1992.
· 수춘산인(壽春山人), 『역대 기인의 결혼기담』, 별건곤 제28호, 1930.
· 신채호, 『조선상고사』, 주식회사 부크크, 2018년
· 이기대, 『김유신 관련 여성들의 문학적 형상과 후대적 변화』, 어문논집, 2015
· 이기백, 『총설 – 한국민족』, 국사편찬위원회, 1984
· 이정숙, 『신라진평왕대의 정치적 성격』, 한국사연구, 1986.
· 이정훈, 『삼국유사 소재 김유신 설화 고찰』, 국어문학회, 2010
· 진천상산고적회, 『진천의 구비문학』, 2004.
· 남지영 석사학위논문, 『신라 문무왕과 西兄山』의 공간적 함의, 전남대학교, 2012
· 이정숙 박사학위논문, 『신라 진평왕대의 왕권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1994.
· 박대호 석사학위논문, 『신라 진평왕대 금관가야계의 정치적 위상과 추이』, 부산대학교, 2021.
· “김유신 신화”, 한국민속대백과사전
· “김유신 설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김유신”,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 네이버지식백과, 『신라속의 사랑, 사랑속의 신라 – 언니의 월경 덕에 왕비가 되다』.
· “만파식적 설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엄광용, 『역사속의 여인들 – 김춘추를 사랑한 문희와 보희 자매』, 월간조선 10월호, 2019.
· 이규원, 『가야 왕족 출신. 김춘추와 삼국통일 대업 이뤄』, 국방일보, 2020.
· 조갑제, 『한국의 대표군인 김유신과 이순신 비교』, 뉴스데일리,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