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준혁, 「북위 평성시기 고분벽화와고구려 고분벽화와의 연관성」, 『선사와 고대』, 한국학중앙연구원, 2015.
· 김소희, 채금석, 「고구려와 선비족 의복 형태 비교 연구 북위시기를 중심으로」,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한국의상디자인학회, 2015.
· 송준혁, 「북위 낙양시기 석각예술과 고구려 고분벽화와의 연관성1」, 『사학연구』, 한국사학회, 2017.
· 서영교, 「高句麗의 狩獵習俗과 對遊牧民關係-AD 1-2세기 鮮卑族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고구려발해연구』, 고구려발해학회, 2005
· 전상우, 「6세기 후반 高句麗의 대외관계와 阿旦城 공격」,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7.
· 전덕재, 2006, 「한국 고대 서역문화의 수용에 대한 고찰 -百戱 歌舞의 수용을 중심으로」 『역사와 경계』 58, 부산경남사학회.
· 박아림, 「고구려 집안 지역 중기 벽화고분의 서역적 요소 연구 -중국 북조 고분미술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중국사연구』 제50집, 2007.
· 이송란, 「고구려 고분벽화의 천상표현에 나타난 화염문의 의미와 전개」 『미술사학연구』 220호, 1998.
· 김진순, 「集安 五盔墳 四․五號墓 벽화 연구」, 『미술사연구』17, 미술사연구회. 2003.
· 전호태, 192.12, 「高句麗 古墳壁畵의 해와 달」 , 『미술자료』 제50호.
· 서윤경, 「北朝 畏獸像의 연원문제와 상징성」 , 『미술사논단』 제27호. 2008,
· 김진순, 「集安 五盔墳 四․五號墓 벽화 연구」, 『미술사연구』17, 미술사연구회. 2003.
· 정춘영․ 유옥한, 「고구려 벽화 복식의 구성, 족속 및 변천」 , 『4∼5세기 동북아시아 고구려계 벽화고분의 이해』, 주류성출판사. 2017.
· 김진순, 「고구려 중기(5세기~6세기초) 고분벽화에 보이는 불교적 제재와 그 연원」 , 『고조선고구려발해 발표 논문집』, 고구려연구재단. 39, 2005.
· 권영필, 「고구려 회화에 나타난 대외교섭-중국․서역관계를 중심으로」 『고구려 미술의 대외교섭』, 예경. 1996.
· 이송란, 「高句麗 古墳壁畵의 天上表現에 나타난 火焰文의 意味와 展開美術史學硏究」 『美術史學硏究』 20, 한국미술사학회. 1998.
· 강연희,「고분벽화 주악도에 나타난 악기연구- 4~6세기를 중심으로」, 전북대음악학과 석사학위논문 33, 2004.
· 송혜진, 「고구려 고분벽화에 표현된 북의 유형-행렬악의 연주 형태에 기하여」, 『동양음악』 28.
· 이진원, 「벽화를 통해서 본 고구려 음악과 악기-고구려 음악 문화에 대한재검토」,『고구려연구』 2004.
· 박진숙, 「장수왕대 고구려의 대북위외교와 백제」, 『한국고대사연구』 36, 한국고대사학회, 2004
· 박승범, 「『後魏孝文帝與高句麗王雲詔』와 文咨王 즉위 초기 고구려-북위 관계」, 『한국사연구』 179, 한국사연구회, 2017
· 遼寧省博物館, 「遼寧本溪晉墓」 『考古』 1984年 8期, p.719.
· 于俊玉, 「朝陽三合成出土的前燕文物」 『文物』 1997年 11期.
· 東潮 著, 「高句麗考古學硏究」 , 吉川弘文館, 1997.
· 李裕群, 「靈泉寺北齊婁睿《華嚴經碑》硏究」 , 『考古學報』 2012年 1期.
· Wang, 199, “Cofins and Confucianism-The Northern Wei Sarcophagus in The Mineapolis Instiute of Arts”, Orientations volume 30 number 6, June.
· 노태돈, 『고구려사 연구』, 사계절, 2008, pp.386-387.
· 송방송 저, 『한국음악통사』, 일조각, 1984, p.42,
· 한홍섭, 『한국 고대 음악사상』, 예문서원, 2006,
· 魏書
· 三國史記
· 北史
· 周書
· 隋書
· 翰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