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선비족과 고구려의 정치.문화적 교류

"선비족과 고구려의 정치.문화적 교류"에 대한 내용입니다. 참고용으로만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32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23.08.03 최종저작일 2020.10
32P 미리보기
선비족과 고구려의 정치.문화적 교류
  • 미리보기

    소개

    "선비족과 고구려의 정치.문화적 교류"에 대한 내용입니다.

    참고용으로만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목차

    1. 서론

    2. 북위건국 이전 선비족과 고구려의 교류

    3. 고구려와 북위의 정치적 교류

    4. 고구려와 북의의 문화적 교류
    4-1. 고구려ㆍ선비족 의복 형태 비교
    4-2. 북의 평성시기 고분벽화와 고구려 고분벽화와의 연관성
    4-3. 북위 낙양시기 석각예술과 고구려 고분벽화와의 연관성

    5. 결론

    본문내용

    고구려는 천손 의식을 토대로 5세기 전후 독자적인 천하관을 확립하여 자신들의 권역과 그렇지 않은 세계를 구분했다. 천하관 속에서 백제와 신라는 자신들의 권역에 포함된 존재로 이해한 반면, 중국의 왕조들이나 倭는 별개의 범주로 규정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고구려의 독자적인 특성이 고구려가 중국의 어느 왕조하고도 일체의 교류 없이 독립적으로 존재했다는 이야기의 근거가 되어주지 않는다. 그러나 일반인들의 흔한 오해 중 하나는 한반도의 역사가 독자적이고 독립적인 발생배경을 가졌기 때문에 중국과의 교류 없이 홀로 역사무대에 섰다는 것이다. 이는 현대의 대한민국과 중국과의 관계와 인식을 그 이전시기에 까지 확대적용하여 생긴 오류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실제의 고구려는 그렇지 않았다 고구려는 동북아시아에서의 패권을 유지하면서 중국 왕조와 병존을 모색했다고 이해되고 있다. 이는 당시 전성기를 구가하던 고구려의 국력이 뒷받침된 상황에서 중국이 남북조로 분열된 국제정세를 적절하게 이용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그 중에서도 특히 고구려는 문화적으로 인접한 선비족 국가인 북위와 밀접한 관계를 가졌다. 실제로 문헌기록에 의하면 고구려는 북위에 77회나 사신파견을 하고 있다. 342년에 전연(前燕, 337~370년)은 고구려를 격파하고 5만명의 주민을 납치해 갔는데 이들은 뒤에 북위의 평성에 정착하게 된다. 또한 원래는 중원의 한족(漢族)이었으나 혼란을 피하여 고구려로 망명하고, 몇 세대 지나서 다시 북위로 돌아온 사람들 가운데 일원이 북위의 황후가 되기도 하였던 고씨(高氏) 가문을 통하여서도 북위와 고구려의 교류가 이루어졌을 것이다. 북위가 고구려 사신에게 남조 다음으로 격이 높은 숙소를 제공하였다거나, 고구려 장수왕이 죽자 북위 효문제가 특별히 애도하였다는 『삼국사기』의 기록도 이와 같은 밀접한 교류를 뒷받침하고 있다.

    참고자료

    · 송준혁, 「북위 평성시기 고분벽화와고구려 고분벽화와의 연관성」, 『선사와 고대』, 한국학중앙연구원, 2015.
    · 김소희, 채금석, 「고구려와 선비족 의복 형태 비교 연구 북위시기를 중심으로」,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한국의상디자인학회, 2015.
    · 송준혁, 「북위 낙양시기 석각예술과 고구려 고분벽화와의 연관성1」, 『사학연구』, 한국사학회, 2017.
    · 서영교, 「高句麗의 狩獵習俗과 對遊牧民關係-AD 1-2세기 鮮卑族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고구려발해연구』, 고구려발해학회, 2005
    · 전상우, 「6세기 후반 高句麗의 대외관계와 阿旦城 공격」,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7.
    · 전덕재, 2006, 「한국 고대 서역문화의 수용에 대한 고찰 -百戱 歌舞의 수용을 중심으로」 『역사와 경계』 58, 부산경남사학회.
    · 박아림, 「고구려 집안 지역 중기 벽화고분의 서역적 요소 연구 -중국 북조 고분미술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중국사연구』 제50집, 2007.
    · 이송란, 「고구려 고분벽화의 천상표현에 나타난 화염문의 의미와 전개」 『미술사학연구』 220호, 1998.
    · 김진순, 「集安 五盔墳 四․五號墓 벽화 연구」, 『미술사연구』17, 미술사연구회. 2003.
    · 전호태, 192.12, 「高句麗 古墳壁畵의 해와 달」 , 『미술자료』 제50호.
    · 서윤경, 「北朝 畏獸像의 연원문제와 상징성」 , 『미술사논단』 제27호. 2008,
    · 김진순, 「集安 五盔墳 四․五號墓 벽화 연구」, 『미술사연구』17, 미술사연구회. 2003.
    · 정춘영․ 유옥한, 「고구려 벽화 복식의 구성, 족속 및 변천」 , 『4∼5세기 동북아시아 고구려계 벽화고분의 이해』, 주류성출판사. 2017.
    · 김진순, 「고구려 중기(5세기~6세기초) 고분벽화에 보이는 불교적 제재와 그 연원」 , 『고조선고구려발해 발표 논문집』, 고구려연구재단. 39, 2005.
    · 권영필, 「고구려 회화에 나타난 대외교섭-중국․서역관계를 중심으로」 『고구려 미술의 대외교섭』, 예경. 1996.
    · 이송란, 「高句麗 古墳壁畵의 天上表現에 나타난 火焰文의 意味와 展開美術史學硏究」 『美術史學硏究』 20, 한국미술사학회. 1998.
    · 강연희,「고분벽화 주악도에 나타난 악기연구- 4~6세기를 중심으로」, 전북대음악학과 석사학위논문 33, 2004.
    · 송혜진, 「고구려 고분벽화에 표현된 북의 유형-행렬악의 연주 형태에 기하여」, 『동양음악』 28.
    · 이진원, 「벽화를 통해서 본 고구려 음악과 악기-고구려 음악 문화에 대한재검토」,『고구려연구』 2004.
    · 박진숙, 「장수왕대 고구려의 대북위외교와 백제」, 『한국고대사연구』 36, 한국고대사학회, 2004
    · 박승범, 「『後魏孝文帝與高句麗王雲詔』와 文咨王 즉위 초기 고구려-북위 관계」, 『한국사연구』 179, 한국사연구회, 2017
    · 遼寧省博物館, 「遼寧本溪晉墓」 『考古』 1984年 8期, p.719.
    · 于俊玉, 「朝陽三合成出土的前燕文物」 『文物』 1997年 11期.
    · 東潮 著, 「高句麗考古學硏究」 , 吉川弘文館, 1997.
    · 李裕群, 「靈泉寺北齊婁睿《華嚴經碑》硏究」 , 『考古學報』 2012年 1期.
    · Wang, 199, “Cofins and Confucianism-The Northern Wei Sarcophagus in The Mineapolis Instiute of Arts”, Orientations volume 30 number 6, June.
    · 노태돈, 『고구려사 연구』, 사계절, 2008, pp.386-387.
    · 송방송 저, 『한국음악통사』, 일조각, 1984, p.42,
    · 한홍섭, 『한국 고대 음악사상』, 예문서원, 2006,
    · 魏書
    · 三國史記
    · 北史
    · 周書
    · 隋書
    · 翰苑
  • 자료후기

    Ai 리뷰
    이 문서는 고구려의 독자적인 천하관과 중국 왕조와의 복잡한 관계를 잘 설명하고 있으며, 특히 고구려와 북위 간의 밀접한 교류 관계를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