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70년대 노동운동 / 노동운동의 신호탄과 민주노조운동"에 대한 내용입니다.
참고용으로만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목차
1. 서론
1) 연구사 정리
2. 70년대 노동운동의 배경
1) 정치·경제적 상황
2) 노동조건
3. 70년대 노동운동
1) 70년대 주요 노동운동들
4. 70년대 노동운동의 특징
1) 여성주도 노동운동
5. 결론
본문내용
한국 노동운동은 일제하 노동운동 이래로 한국전쟁기를 맞이하여 단절기를 겪었다. 이후 80년대에 이르러 노동운동은 조직성을 갖기 시작했고 87년 6.29선언은 한국 노동운동의 역사를 바꾸는 큰 전환점이 되어 이후 정부 주도의 노사관계가 자율적 노사관계로 발전하는 계기가 되어주었다. 남성 노동자들도 자주노조운동에 뛰어들어 한국 노동운동은 현재까지도 꾸준한 노동투쟁을 어어가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80년대의 노동운동이 있기 전에 70년대의 노동운동이 있었다. 80년대의 노동운동은 사실상 70년대 노동운동의 성과없이는 탄생할 수 없었으며 남성들의 노동운동이 있기 전에 여성들이 주도한 민주노조운동, 어용노조와의 투쟁이 있었다. 70년대 노동운동은 수출주도적 산업발전 속에서 국가경제 발전을 위해 노동자들의 권익과 복지는 무시되고, 그러한 노동자들의 은폐되었던 희생과 노동현실이 민낯을 드러낸 때이자 국가의 억압과 탄압에 의한 노조불법화로 자연폭발적 성격의 극단적 시위가 잇따르던 시기였다.
이렇게 폭발적으로 등장한 70년대 노동운동은 이후의 한국사회를 뒤바꿔 놓았다. 전태일 사건으로 인해서 산업현장의 실태가 폭로되었고, 이로인해 민주화운동진영이 정치영역에만 시선을 가두지 않고 노동영역에까지 눈을 돌리게 하였다. 동일방직과 YH무역노조 사건은 노동운동과 민주화운동의 연합을 탄생시켰다. 70년대의 여성주도 민주노조투쟁은 수많은 어용노조를 민주화시켰고 그들을 지원란 산업선교회의 노동자 교육은 80년대의 조직화된 노조를 탄생시켰다. 또한 여성주도 노동운동은 70년대 노동운동의 색채를 결정짓는 특징으로서 여성주의 성장에 기여한 바가 무엇보다도 지대했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러한 70년대의 노동운동을 시대적 배경과 전개과정, 특징으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1) 연구사 정리
70년대 노동운동에 관련된 자료가 지나치게 방대하고 여성노동운동 연구에 편중되어있는 관계로, 필자가 본고를 작성하면서 참고했던 자료들을 위주로 연구사를 정리하였다.
참고 자료
강남식, 「70년대 여성노동자의 정체성 형성과 노동운동」, 산업노동연구, 한국산업노동학회, 2004.
강인순, 「1970년대 여성노동자들의 민주노조운동 : 재평가와 의미」, 『인문노총』, 경남대학교, 2009.
김승묵, 「우리나라 노사관계의 시대별 변화에 관한 연구」, 『기업경영연구』, 한국기업경영학회, 200
김주삼, 「부마항쟁발발의 환경적 요인과 시민의식 : 부마항쟁과 5.18광주민주화운동을 중심으로」, 『한국과 세계』, 한국 국회 학회, 2021.
柳東薰, 「한국 노동운동의 성격에 관한 고찰」, 『伏賢經濟』, 경북대학교, 1984.
이문락, 「70년대 노동운동에 대한 고찰」, 『伏賢經濟』, 경북대학교, 1986.
이원보, 「1960-70년대 한국의 산별노조」, 『산별노조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한국노동사회연구소, 1996.
장명국, 「70년대 노동운동」, 『明大』, 명지대학교, 1988.
차성환, 「참여 노동자를 통해서 본 부마항쟁 성격의 재조명」, 부산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9.
구해근 지음, 신광영 옮김, 『한국 노동계급의 형성』, 파주 창비, 2001.
역사학연구소, 『노동자, 자기 역사를 말하다』, 파주 서해문집, 2005.
이원보, 『한국 노동운동사 100년의 기록』, 서울 한국노동사회연구소,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