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참 고 서 적
· 어석연구
· 1. 김명준 편저, 고려 속요 집성, 고려출판 다운샘, 2002
· 2. 박병채, 고려가요의 어석연구, 국학자료원, 1994
· 3. 임주택, 역사적 생성 문맥을 고려한 <만전춘별사>의 독법과 해석, 부산대학교 논문, 2001
· 4. 박노준, 옛사람 옛노래, 해학사, 2003
· 5. 임기중, 고려가요의 문학 사회학, 경운출판사, 1993
· 6. 김쾌덕, 고려노래 속가의 사회배경적 연구, 국학자료원,2001
· 연구사와 연구쟁점
· 1. 조윤제, ■국문학사■, 1949
· 2. 김동욱, ■국문학개론■, 태학사, 1955
· 3. 최정여, <고려의 속악가사논고>, 청주대논문집, 제4집, 1963.
· 4. 여증동, <만전춘별사 가극적 시고>, 논문집, 진주교육대학교, 1967
· 5. 여증동, <만전춘별사연구>, 어문학33집, 한국어문학회, 1975
· 6. 성현경, <만전춘 별사의 구조>, ■고려시대의 언어와 문학■, 한국어문학회, 1975
· 7. 정병욱.이어령,■고전의 바다■,현암사, 1977
· 8. 최정여, <고려의 속요가사 론고>, 고려가요 연구, 정음사, 1979,
· 9. 이임수, 여요 <만전춘>의 문학적 복원, 문학과 언어제2집, 문학과 언어학회, 1981
· 10. 곽동훈, <만전춘별사의 구조연구>, 배달말, 배달말학회, 1982
· 11. 전규태, <만전춘별사고>,■고려시대의 가요문학■, 새문사, 1982
· 12. 박병채,<고려가요의 연구>, 이우출판사, 1982,
· 13. 김재수, <만전춘별사>의 문학적 우수성, 논문집, 광주교육대학, 1982
· 14. 박진태, <만전춘별사>와 <정석가>의 구조, 인문과학연구, 대구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2. 1983. 12. 30
· 15. 현혜경 <만전춘별사에 나타난 화합과 단절>, 고려시가의 정서, 개문사, 1985
· 16. 오정란, <만전춘 해석의 재고>, 어문론집26, 고려대 국어국문학연구회, 1986. 3
· 17. 박노준, <만전춘별사>의 제명과 작품의 구조적 이해문학한글제1회, 한글학회, 1987
· 18. 이성주, <사회학적으로 본 만전춘별사>, 세종어문학, 백사전광용박사고희기념논총, 1989. 5
· 19. 성현경, <만전춘별사>재론, 한국고전시가 작품론1, 집문당, 1992
· 20. 허남춘, <궁중악과 송도>, 성대문학,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92
· 21. 장영우, <만전춘별사의 일탈과 허위 의식>, 고려가요의 문학사회학, 임기중 엮음, 경운출판사, 1993
· 22. 조동일, <한국문학통사2>, 지식산업사, 1994
· 23. 강명혜, <만전춘별사연구Ⅱ>, 어문연구 89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1996
· 24. 백완, <만전춘별사>의 작자(층)고-조선조 ‘기녀시조’와의 연계성을 토대로-, 건국어문학, 건국대국어국문학 연구회, 1997
· 25. 이계양, <만전춘 연구>, 고시가 연구, 남경박준규박사 정년기념 특집호, 학국시가문학회, 1998
· 26. 조기봉, <만전춘별사>의 문학 사회학적 고찰, 어문연구회, 어문연구학회, 1999
· 27. 이정택, <만전춘별사에 관한 어문학적 연구>-내용적 일관성을 중심으로, 인문논총, 서울여자대하교인문과학연 구소, 2000
· 28. 임주탁, <역사적 생성 문맥을 고려한 만전춘별사의 독법과 해석>, 한국시가 연구, 한국시가학회,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