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국내외 수질 오염 사건 조사
- 최초 등록일
- 2004.05.31
- 최종 저작일
- 2004.05
- 2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정말 조사 많이 했고...
정말 잘 쓴 레포트라 자신합니다...
이거 다운받으면 진짜 후회없으실 겁니다...
목차
1. 시화호 사건
2. 바젤 사건
3. 러브 커넬 사건
4. 걸프전 해양 오염 사건
5. 아모코카디즈 사건
6. 제임스강 오염 사건
7. Blue-Baby 병(청색증)
8. 과테말라 적조 사건
9. 레만 호수 사건
10. 낙동강 페놀 사건
본문내용
1. 시화호 사건
시화호 개발사업은 1987년 6월 '국토확장과 해안지역의 물 자원 확보'라는 계획아래 화옹 지구 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착수되었다. 경기도 안산-반월지구인근의 시화지구는 방조제건설로 내만 지역이 외해와 격리됨에 따라 56.5평방킬로미터에 달하는 호수가 형성되었다. 1994년 1월 시화호 물막이 공사가 완료하면서 더욱 오염이 심각해 졌고, 시화호를 건설할 당시에 계획했던 정화시설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수질오염이 심해지자 수질개선이라는 관점에서 오염된 시화호水를 해양으로 방류하기에 이르렀다. 결국 1996년 4월 말경 무단방류하려던 것이 매스컴에 의해 보도되면서 시화호 사건이 사회문제로 확대되었다.
1) 원인
시화호 오염의 주원인은 반월 공단과 시화 공단의 하수관거가 제대로 정비되지 않은 것이다. 시화호는 단순한 배수갑문 조작으로 정화될 수 있는 범위를 훨씬 뛰어 넘어섰다. 시화호는 공식적인 관리 수위인 1.0m일 때의 담수량이 3억 5천 4백만 톤에 이르는 거대한 인공담수호이다. 그런데 농어촌진흥공사가 제출한 자료에 의하면, 1966년부터 1994년까지 29년 동안 강우량과 안산시 등 인근지역의 오․폐수 유입량이 연간 3억 7천 585만 톤에 이른다고 한다. 이는 6개 유입지천이 건천인 것을 감안하면 1년에 시화호 만큼의 오․폐수가 시화호로 유입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