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사회복지]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기독교 영성적 접근가능성에 대한 탐색

"[사회복지]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기독교 영성적 접근가능성에 대한 탐색"에 대한 내용입니다.
24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4.04.29 최종저작일 2004.04
24P 미리보기
[사회복지]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기독교 영성적 접근가능성에 대한 탐색
  • 미리보기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영성의 개념
    1. 영성의 정의
    2. 영성과 종교의 개념적 차이

    Ⅲ. 사회복지/사회사업 실천에 대한 기독교 영성적 접근의 필요성
    1. 기독교사회복지사의 건전한 복지활동을 위해서
    2. 보다 통합적이고 효율적인 서비스를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3. 한국교회의 왜곡된 영성의 변화를 위해서
    4.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복지사회를 실현하기 위해서

    Ⅳ. 영성과 사회복지활동의 관계
    1. 성경적 관점
    2. 역사적 관점에서
    3. 신학적/철학적 관점
    1) 영성 = 복지
    2) 영성 = 복지활동의 동기
    3) 영성 = 복지활동의 방법

    Ⅴ. 전문적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영성적 실천의 방법들
    1. 미시적 접근 : 클라이언트의 영성에 대한 임상적 관여
    1) 클라이언트와 연대하기(Engaging with Client):
    2) 통합적으로 사정하기(Holistic Assessment).
    3) 능동적 경청(Active Listening).
    4) 개방형 질문을 통한 사정
    5) 간단한 도구들을 활용하는 사정방법
    6) 임상적 과정에서 기도의 활용
    7) 로고테라피(Logo Therapy)
    2. 거시적 접근 : 기독교의 봉사적 영성의 강화
    1) 봉사신학정립
    2) 실천적 영성의 모델제시
    3) 이타적 목적을 위한 기도와 영성운동
    4) 봉사를 주제로 하는 목회적 활동에 대한 방법론 제시
    5) 기독교 교육에서 봉사를 위한 커리큘럼 도입
    6) 영성관련 문서 및 문화활동
    7) 사회복지사의 영성적 활동을 위한 제도적 장치

    Ⅵ. 나가는 말

    본문내용

    1. 들어가는 말

    아직까지 영성을 사회복지실천과 연계시키는 것은 일종의 타부처럼 부정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사회복지실천 부문에서 영성의 개입을 인정하지 못하는 중요한 이유를 살펴보면 대체로 다섯 가지 정도로 요약된다. 먼저 영성의 개념화 자체가 매우 어렵다는 것이다. '영성'은 지나치게 넓고 모호한 개념들을 갖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둘째는 비슷한 이유로서 영성이란 것에 대한 과학적 조사가 불가능해 보이기 때문이다. 과학도 일종의 도그마처럼 완고한 신념을 갖고 있어서 과학적 증거로 제시되지 않으면 비록 옳다고 느껴져도 받아들이거나 활용하지 못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셋째는 사회사업가의 주관적 관점이나 신념이 사회복지실천에 영향을 미칠 염려가 있다는 사실 때문이다. 사회복지의 기본적 가치는 클라이언트의 자율성과 선택의 자유를 존중하기 때문에 실천가의 영성이 클라이언트에 대한 서비스 과정에 있어서 편견이나 왜곡된 조정에 빠질 수 있는 유인 요소가 되지 않겠느냐는 것이다. 네째는 영성이 실천가의 품성이나 자질에 관련된 것이지 방법론적 도구가 될 수는 없다는 생각이다. 마지막으로는 아직 전문성으로 인정받을 만큼 연구와 학문적 준비가 갖추어지지 못했다는 사실이다(Canda & Furman, 1999: 63-64).
    이러한 부정적 인식들이 어느 정도 타당한 것은 인정할 수 있으나 하나의 영역이 개척되는 단계에서는 언제나 나타나곤 했던 문제들이다. 더 중요한 사실은 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영성을 무시할 수 없다는 사실이다. 20세기 후반부터 이미 인간은 점차 합리주의의 비합리적 모순과 이성적 사고의 그 협소한 한계를 절실하게 깨닫기 시작하였다. 특별히 사회사업학문에서 단선적 사고(linear thinking)로는 인간의 복잡한 심리사회적 문제를 이해하는 것이 어렵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고 전통적 과학지상주의는 그 지위를 상실하게 되었다. (박종삼 2002: 27).

    참고자료

    · 김창모, 「생명과 영성의 치유윤리」 한들 출판사, 2003
    · 몰트만, J. 「하나님 체험」전경연 편, 복음주의 신학총서, 한신대학출판부, 1982.
    · 박종삼, "교회사회사업의 학문적 정체성: 문제의 제기" 교회사회사업학회자료집, 2002. 18~30.
    · 유장춘, "기독교사회복지운동의 방향과 전략," 「연세사회복지연구」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편. 2002.
    · 최봉기, 「깊은 영성으로 나아가는 길」예영 커뮤니케이션, 1999
    · 피터 L. 버거. 「현대사회와 신」 김쾌상 역. 기독교 서회. 1995
    · 프랭클, V. E. 「의미에의 의지: 로고테라키의 이론과 실제」 이봉우 역. 분도출판사, 1986.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강좌 한국철학」 예문서원 1997 114-115.
    · 호세루이스 곤잘레스. 「마더 테레사, 말씀」 황애경 역. 디자인하우스 1997
    · Ballenger, Erma M. Racism: A Crisis of Spirituality. Social Work and Christianity, 1987. 14:2.
    · Bartlett, Jason. "Americans Filled with Spirit, Survey Finds,"
    · http://upenn.edu/pennnews/current/2003/040030/feature2.html.
    · Brill, N. Working with People: The Helping Process. New York: J.B. Lippincott Ct, 1973.
    · Bill J. Leonard, "The Spiritual Development of the minister" Formation for Christian Ministry, Anne Davis and Wade Rowatt Jr. Ed. Louisville, KY: Review and Expositor, 1988, 79-94.
    · Canda, E. & Furman, L. Spiritual Diversity in Social Work Practice: The Heart of Helping. New York: Free Press.(1999).
    · Canda, E.R. "Spirituality, Religious Diversity, and Social Work Practice." Social Casework, 69(4), (1988a). 238∼247.
    · Canda, E. R. Conceptualizing spirituality for social work: Insights from diverse perspectives. Social thought, 14(1), 1988b. 30-46
    · Canda, E.R. "Religious Content in Social Work Education: A Comparative approach." Journal of Social Work Education, 25(1), 1989. 36∼45.
    · Cowley, A.S. (1993). "Transpersonal Social Work. A Theory for the 1990s." Social Work, 38(5), 527∼534.
    · Derezotes, D.S. & Evans, K.E.. "Spirituality and Religiosity in Practice: In-Depth Interviews of Social Work Practitioners." Social Thought, Vol. 18(1), 3 1995 9∼56.
    · DeJong, Peter and Berg, Insoo Kim. Interviewing for Solutions. Pacific Grove, CA: Brooks/Cole. 1998.
    · Emotions Anonymous International, Emotions Anonymous. Saint Paul, MN, 1978
    · Furman, L. D. "Recomendations for Infusing Religious and Spiritual Diversity Throughout the Social work Curriculum." Presented at: NACSW Convention 2002, Rochester, NY 2002.
    · Hodge, David. "Spiritual Genograms: A generational approach to assessing spirituality." Families in Society, 82(1), 2001. 35-48.
    · Joseph, M.V. "Religion and social work Practic<font color=aaaaff>..</font>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제공하는 자료는 질이 매우 높고,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인상적입니다. 이해하기 쉬운 설명과 다양한 예시 덕분에 활용하기 편했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02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