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양곤, "한국기독교 사회복지의 전망과 발전방향", 「기독교와 사회복지」, 서울: 홍익재, 2001.
· 김기원,「기독교 사회복지론」서울: 대학출판사, 1998.
· 김덕준,「기독교 사회복지」, 한국기독교사회복지학회, 1987.
· 김덕환·김인, "한국디아코니아의 활성화와 실천과제", 김용복 박사 회갑기념논문집, 한일장신대학교출판부, 1998.
· 김미숙외, 「종교계의 사회복지활동 현황과 활성화 방안」, 서울: 보건사회연구원, 1999.
· 김영종, 「사회복지행정」, 서울: 학지사, 2001.
· 김용복, "사회봉사의 신학과 실천", 총회사회부·한일장신대학교, 1993.
· 김재환, "교회사회사업 교과과정개발", 한국교회사회봉사연구소, 2000.
· 박영호,「기독교와 사회사업」, 예수교 문서선교회, 1979.
· 박종삼「교회사회봉사이해와 실천」, 서울: 인간과 복지, 2000.
· 사랑의 교회사회복지재단·한국교회사회봉사연구소, "복지재단설립 및 운영의 실제", 교회사회사업아카데미, 2001.
· 서영일,「교회와 국가」, 기독교 문서선교회, 1984.
· 양옥경외, 「사회복지실천론」, 서울:나남출판, 2000.
· 유장춘, "99년 교회사회봉사부분 목회계획수립을 위한 웤샵", 대한예수교장로회 대전 서노회 사회부, 1999.
· 유장춘, "미국신학교의 교회사회사업교과내용", 한국교회사회봉사연구소, 2000.
· 이장식, 「기독교와 국가」, 서울: 대한기독교 출판사, 1981.
· 이종성, "칼빈의 경제관", 「한국교회재정의 이론과 실제」, 서울: 전망사, 1985.
· 장인협, 「사회사업실천방법론(하)」,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0.
· 전재일·김상규, 「개별사회사업」, 서울: 형설출판사, 1996.
· 전재일외, 「사회복지실천론」, 서울: 형설출판사, 2001.
· 조흥식, "교회건물 개방과 지역사회복지", 기독교윤리실천운동 사회복지위원회 창립 세미나, 2000.
· 총회사회부, 「교회의 사회복지시설 설립지침서」, 1995.
· 최무열, 「한국교회와 사회복지」, 서울: 도서출판나눔의 집, 1999.
· 한국기독교문화진흥원편, 「교회와 국가」, 서울: 한국기독교 문화진흥원, 1988.
· Compton, B. R. & Galaway, B, Social Work Processes, 5th ed., Belmont: Wadsworth, 1994.
· Gate. B, Social Program Administration: The Implementation of Social Polic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80.
· Nicholas Lossky (eds.), Dictionary of the Ecumenical Movement, WCC Publications, 1991.
· Perlman. H. H, "The Functional Approach to Casework", in Robert. R. W. & Nee(eds.) R. H, Theories of social casework,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0.
· Perlman. H. H, "The problem-solving model in social casework", in Robert. R. W. & Nee(eds.) R. H, Theories of social casework, Chicago: The University of <font<font color=aaaaff>..</fo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