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학개론 - 노인주거보장정책
- 최초 등록일
- 2023.06.10
- 최종 저작일
- 2022.04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목차
없음
본문내용
우리나라는 '고령화'라는 심각한 인구문제를 가지고 있다. 만 65세 이상의 고령 인구의 비율은 <2000년 7.3%, 2005년 9.3%, 2010년 11.3%, 2015년 13.2%, 2019년 15.5% 출처 :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2019> 해마다 상승 흐름을 이어가고 있어 노인 문제에 관한 문제 해결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러한 노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나라는 소득보장, 의료보장, 주거 보장 등 다양한 노인복지정책을 제도하고 있다. 나는 그중에서도 우리 인간이 살아가면서 꼭 필요한 기본요소 중 한 가지인 주(住), 주거보장정책에 대해 집중해보기로 하였다. 주거환경이 갖는 의미는 전 세대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노인의 노화 현상, 퇴직으로 인한 빈곤, 신체적 기능의 저하, 심리적인 고독감과 사회적 소외 등 이러한 경험을 할 가능성이 큰 노년 세대에게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주거환경과 정책이 필요하다고 생각이 들어 정부의 정책대안을 제시하여 노인빈곤의 문제를 해결방안을 논의해보려고 한다.
노인주거보장의 정의
먼저, 노인주거보장의 정의이다. 노인주거보장이란 노인에게 적합한 주거조건의 제공 및 주택의 배분과 주거권을 보장함으로써, 인간다운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주거공간을 확보해 주고 주거권을 보장해주는 사회보장 프로그램을 말한다.
노인주거보장의 필요성
위에서 언급했듯, 주거환경이 갖는 의미는 전 세대가 크게 다르지 않게 나타난다. 그런데도 초점은 노인에게 맞춰져 노인주거보장이 필요하다고 하는지에 대해서 생각해보았다.
① 주거환경은 노령화 시기(쇠퇴기)의 생활을 담는 공간이다.
- 노년기 생활의 주된 근거지이다.
- 사회적 관계와 관심이 가족 중심으로 축소되는 시기이다.
② 신체적 조건의 변화에 따른 주거환경의 조정
- 노년기의 신체적 특성인 노화로 인한 신체적 적응 능력 약화, 신체적 독립성 유지와 쾌적한 생활을 위해 주택 구조 및 환경 조건 조정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 자료
장세철 외 지음 “노인복지”, 교문사, 2006.
수현 외, 노인복지론, 양서원,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