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간호과정(보건소)
- 최초 등록일
- 2023.05.01
- 최종 저작일
- 2023.02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목차
1. 사례
2. 가족 사항 및 건강 행태
3. 자료 분석 및 요약
4. 우선순위 선정
5. 간호진단
6. 간호진단 및 목표 / 수행계획과 평가계획 수립
7.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사례
27세 응웬00씨(배트남)는 2년전 40세 김00씨(한국)와 결혼, 시어머니 박00(73)와 함께 거주하고 있다. 남편 김00씨는 3교대 현장직에 근무, 아내 응웬00씨는 현재 무직이다.
코로나 상황으로 인해 베트남을 방문하지 못해 가족들과는 2년째 영상통화로만 안부를 전하고 있다. 시어머니와 집에서 시간을 보내나 한국말이 서툴러서 소통이 원활하지 않아 사이가 좋지 않다. 남편은 3교대 현장직 근무로 인해 함께 하는 시간이 부족하고 대화하는 시간도 부족하다. 최근 2년 임신을 시도하였으나 임신이 되지 않아 우울증 증상으로 외출도 하지 않고 00동 행정복지센터에서 매주 실시하는 다문화 여성 모임에도 참석하지 않는다.
2월 6일 10시 방문간호 면담 도중 시어머니가 “우리 며느리가 한국말이 서툴러서 제가 너무 답답해요”, “다른 집 베트남 며느리들은 한국말도 잘하던데...” 라고 말함.
응웬00씨는 “어머님 하고는 말도 안통하고, 남편은 3교대 근무라 많이 피곤해 해서 대화할 시간이 많이 없어요” 라고 말했고, “애기도 갖고 싶은데 안 생겨서 이 나라에 내편이 아무도 없어요”, “힘들고 외로워서 집 밖으로 나가기 싫어요” 라고 말함
난임 부부를 위한 우울증 설문 결과 15점으로 측정되었다.
<중략>
3. 자료 분석 및 요약
- 자료 수집 내용 중 유의미한 내용을 요약 정리한다.
27세(여)베트남, 40세(남)한국, 시어머니(72세)
2년전 결혼. 자녀는 없음
코로나 상황으로 인해 가족들과 화상통화로 소통
최근 우울증세 보임. 다문화 가정 모임에도 소극적.
주변에 함께 소통할 만한 사람이 없음. 외부활동 거의 없음.
시어머니와 원활하지 않은 소통으로 고부간의 갈등이 있음
남편의 잦은 야근(3교대 근무)으로 대화가 단절됨.
참고 자료
이영란·문원희·이소영, 「보건교육학」, 2021, p.453
지역사회 보건간호학 편찬위원회 편, 「최신 지역사회 보건간호학」, 2021, p.460
지역사회 보건간호학 편찬위원회 편, 「최신 지역사회 보건간호학」, 2021, p.758
고양시청 공식 사이트, https://www.goyang.go.kr/index.do
여성가족부 공식 사이트, http://www.mogef.go.kr/
2022년 모자보건사업 안내 책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