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강, 『채식주의자』, 창비, 2007.
· 권은중, 『음식 경제사(음식이 만든 인류의 역사)』, 인물과사상사, 2019.
· 권재현, 「문화관광축제에서의 동물권 인식 연구」, 『연기예술연구』 1, 한국연기예술학회, 2021, 187~204쪽.
· 김도균 외, 「국내 동물윤리 이슈 분석」,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기초연구보고서』 2021, 한국환경연구원, 2021, 1~43쪽.
· 김명식, 「산업형 농업 시대의 동물윤리」, 『환경철학』 18, 한국환경철학회, 2014, 91~118쪽.
· 김박수진 『고기가 되고 싶어 태어난 동물은 없습니다:동물에 대한 낯선 생각들』, 싱크스마트, 2019.
· 김학택, 「채식주의와 도덕공동체」, 『철학·사상·문화』 15,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13, 87~109쪽.
· 맹주만, 「톰 레간과 윤리적 채식주의」, 『근대철학』 1, 서양근대철학회, 2009, 43~65쪽.
· 맹주만, 「동물의 고통과 좋은 삶」, 『철학탐구』 28,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0, 85~111쪽.
· 멜라니 조이, 노순옥 역, 『우리는 왜 개는 사랑하고 돼지는 먹고 소는 신을까』, 모멘토, 2011.
· 박만평, 「우리나라 동물학대의 대응 및 한계 그리고 개선방안」, 『法學硏究』 54, 전북대학교 부설법학연구소, 2017, 73~111쪽.
· 유선봉, 「미국의 동물학대금지법과 그 시사점 : 한국의 동물보호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안암 법학』 26, 안암법학회, 2008, 477~513쪽.
· 정동진, 「현대축산시스템의 잔인성을 모티브로한 도자조형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정종진, 「동물학대와 육식에 대한 작가들의 인식과 표현에 대한 연구-최근 시를 중심으로」, 『批評文學』 72, 한국비평문학회, 2019, 259~287쪽.
· 주윤정, 「상품에서 생명으로 : 가축 살처분 어셈블리지와 인간-동물 관계」, 『農村社會』 2, 한국농촌사회학회, 2020, 273~307쪽.
· 천명선, 「인간동물관계로 본 가축 살처분의 경험」,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12, 한국사회학회, 2017, 876~876쪽.
· 최훈, 「맹주만 교수는 피터 싱어의 윤리적 채식주의를 성공적으로 비판했는가?」, 『철학탐구』 25, 중앙대학교부설 중앙철학연구소, 2009, 195~214쪽.
· 피터 싱어, 김성한 역, 『동물해방』, 연암서가, 2012.
· Brian Fagan, 김정은 역, 『위대한 공존(숭배에서 학살까지, 역사를 움직인 여덟 동물)』, 반니, 2016.
· Hermann Parzinger, 나유신 역, 『인류는 어떻게 역사가 되었나(사냥, 도살, 도축 이후 무자 발명에 이르기까지 인간의 역사)』, 글항아리, 2020.
· Keiffer Katy, 강경이 역, 『육식의 딜레마:우리가 먹는 소, 닭, 돼지는 어디에서 오는가』, 루아크, 2017.
· Maguelonne Toussaint-Samat, 이덕환 역, 『먹거리의 역사 (상)』, 까치글방,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