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소논문) 길고양이에게 밥주는 것에 대한 견해와 고찰

"소논문) 길고양이에게 밥주는 것에 대한 견해와 고찰"에 대한 내용입니다.
10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23.04.27 최종저작일 2021.12
10P 미리보기
소논문) 길고양이에게 밥주는 것에 대한 견해와 고찰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소논문) 길고양이에게 밥주는 것에 대한 견해와 고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길고양이에게 먹이를 주어야 하는 이유
    2.1. 동물 사랑을 실천하는 방법
    2.2. 길고양이를 향한 동정심
    2.3. 생태계의 안정화와 주변 환경의 청결

    3. 길고양이에게 먹이를 주지 말아야 하는 이유
    3.1. 주민들의 쾌적한 환경 침해
    3.2. 길고양이의 야생성 상실
    3.3. 생태계 불균형 초래

    4. 보완 방법
    4.1. 우리나라의 제도
    4.1.1. 고양이 중성화사업(TNR)
    4.1.2. 길고양이 급식소 설치
    4.2. 서로 간의 이해

    5. 결론

    본문내용

    필자는 어릴 적 학교 내에서 길고양이를 발견하여 친구들과 돈을 모아 고양이에게 먹이를 준 적이 있는데, 몇몇 친구들과 선생님들은 칭찬하였지만, 몇몇 선생님들과 경비아저씨는 위생상 좋지 않다고 사료를 주는 것을 말리시기도 하였다. 여기서 길고양이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을 알 수 있었고, 길고양이와 관련된 사회문제를 체감하고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2012년 7월 30일 자 기사를 보면 길고양이에게 먹이를 주던 한 여성이 50대 남성에게 일방적으로 폭행을 당한 일명 ‘캣맘 폭행 사건’이 알려지면서 길고양이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하고 있다. 여기서 캣맘은 고양이를 뜻하는 cat과 엄마를 뜻하는 mom의 합성어로, 주인이 없거나 유기되어 길거리와 들에서 살아가는 고양이의 사료를 정기적으로 챙겨주는 사람을 일컫는 말로, 캣맘(cat mom)은 캣대디(cat daddy)와 대비되어 여성만을 지칭하기도 하고 남녀를 통칭하기도 한다. 이 사건은 평소 길고양이에게 수시로 밥을 줘 주변이 지저분하게 한다는 이유로 길고양이에게 밥을 주는 것에 대해 불만을 가진 남성이 분노를 참지 못하고 이웃 주민을 때리고 음식물 쓰레기통에 거꾸로 넣은 것으로 알려졌다. 2021년 6월 15일 자의 사건은 강서구 한 아파트 단지에서 발생한 ‘고양이 떼죽음 사건’이다. 이 사건은 범인이 길고양이들에게 밥을 주는 이른바 ‘캣맘’들이 마련한 사료통에 살충제를 바른 생선 뼈를 넣은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범인은 고양이가 하도 시끄럽게 울어 잠 못 이뤄서 범행을 저질렀다고 이야기를 했다. 개체 수 증가로 주택가로 파고드는 길고양이가 빠르게 늘면서 캣맘과 이들을 못마땅해하는 주민 사이의 갈등이 커지고 있다. 심야 소음 등 일상생활 피해를 호소하는 일부 주민들의 분노가 캣맘과의 마찰은 물론 동물 학대로 이어지는 일까지 벌어지는 상황이다. 그리고 2021년 11월 26일 자 사건으로는 부산 동래구에 위치한 절에서..

    <중 략>

    참고자료

    · 강창구, 「길고양이와의 공존…공공 급식소 설치 법적 근거 마련」, 『연합뉴스TV』, 2021년 12월 3일, https://www.yonhapnewstv.co.kr/news/MYH20211203010100038?did=1825m(2021년 12월 14일 접속)
    · 김민지, 「길고양이 생에도 존엄이 있다」, 『경향신문』, 2021년 1월 23일, https://www.khan.co.kr/opinion/column/article/202101230300015(2021년 12월 14일 접속)
    · 김영환, 「인천, ‘캣맘’ 폭행 50대 결국 구속」, 『한겨레』, 2012년 7월 30일, 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544859.html(2021년 12월 14일 접속)
    · 남형욱, 「길고양이 100마리에 점령당한 부산 안락동?!」, 『부산일보』, 2021년 11월 26일, 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1111911021838438(2021년 12월 14일 접속)
    · 박다예, 「경기도의회 게시판 길고양이 공공 급식소 찬반 논쟁」, 『인천일보』, 2021년 12월 9일, http://www.incheon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1123812(2021년 12월 14일 접속)
    · 박민지, 「길고양이 먹이 주면 정말 안되나… ‘캣맘 논쟁’ 다시 갑론을박」, 『국민일보』, 2018년 1월 11일,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2043132(2021년 12월 14일 접속)
    · 박병기, 「‘생태계 폭군’된 들고양이…다람쥐 토끼 꿩 ‘싹쓸이’」, 『연합뉴스』, 2017년 3월 30일,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9147060?sid=102(2021년 12월 14일 접속)
    · 이경혜, 「길고양이 ‘TNR’ A~Z-중성화 수술과 그 이후」, 『매일경제』, 2021년 7월 21일, https://www.mk.co.kr/news/culture/view/2021/07/701143/(2021년 12월 14일 접속)
    · 이환희, 「길고양이와 공생하기 위해 우리가 해야 할 일」, 『시사저널』, 2021년 3월 31일, http://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214183(2021년 12월 14일 접속)
    · 정지윤, 「“길고양이 밥 꼭 줘야 하나요”…’캣맘VS주민’ 끊임없는 갈등」, 『스냅타임』, 2020년 11월 16일, http://snaptime.edaily.co.kr/2020/11/%EA%B8%B8%EA%B3%A0%EC%96%91%EC%9D%B4-%EB%B0%A5-%EA%BC%AD-%EC%A4%98%EC%95%BC-%ED%95%98%EB%82%98%EC%9A%94-%EC%BA%A3%EB%A7%98vs%EC%A3%BC%EB%AF%BC-%EB%81%8A%EC%9E%84/(2021년 12월 14일 접속)
    · 조세형, 「길고양이와 ‘캣맘’이 문제? 과연 박멸이 답일까」, 『오마이뉴스』, 길고양이와 '캣맘'이 문제? 과연 박멸이 답일까 - 오마이뉴스 (ohmynews.com)(2021년 12월 14일 접속)
    · 허진, 「먹이 챙겨주는 캣맘, 살충제 뿌리는 주민 ‘길고양이’ 갈등 풀 공존 해법은」. 『서울경제』, 2021년 6월 15일, https://m.sedaily.com/NewsViewAmp/22NN9D7TQF(2021년 12월 14일 접속)
    · pmg 지식엔진연구소, 「캣맘」, 『네이버 지식백과-시사상식사전』, 2016년 6월 27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404644&cid=43667&categoryId=43667(2021년 12월 14일 접
  • 자료후기

    Ai 리뷰
    길고양이에 대한 다양한 관점과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길고양이 문제의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09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1 오후